[LIV] 리브코인을 통해 확인하는 글의 노출도

![](https://cdn.steemitimages.com/DQmXiMw9SFYeVhet8BVLzJZAwR57qoCAdLmfDXr9VtiAQ9b/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스팀잇에는 조회수도 편하게 누를 수 있는 “좋아요” 버튼도 없습니다. Medium의 경우는 자기글의 노출도및 클릭수등을 볼 수 있으며, 페북에서는 좋아요랑 Share기능을 이용해서 올린 컨텐츠가 어느정도의 반응이 나오는지 확인이 됩니다.

스팀잇은 이전에 조회수가 있었지만 “창피해서” 지웠다는 소문도 있긴 하더군요. 실제 조회수보다 봇을 이용한 업보팅이 더 많은 글들이 발생하기도 해서 그런가 봅니다.

그래도 필자의 경우는 기본적인 조회수나 스파나 파워에 상관없는 “좋아요”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스팀잇의 경우는 스팀코인판이나 짠의 홍보기능, 스팀잇 자체는 봇 사용으로 인한 대세글 등장등이 가능해지고, 업보팅 수도 봇등을 이용해서 조절이 가능해서 사실 스팀, SCT, ZZAN 보팅도 다 간접적으로만 참고가 됩니다.

최근에는 제가 쓴 글이 실제로 사람들에게 얼마나 호응을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LIV코인을 이용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WcYNwoknz89Tb1T1FtshEY9dULtQQ7uapZEWHXA2yKSD/image.png)
* https://liv.steempeople.com/@jayplayco (마지막 계정은 자기 계정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LIV 의 경우는 스테이킹시 사실상 소각으로 이루어지는 명성도 형성코인으로 인지를 하면 되는데, steempeople을 통해 한국 휴대폰 번호로 인증을 하면 300LIV를 강제 스테이킹 해줍니다. (최근에 100개에서 기준이 300개로 바뀌었습니다.)

업보팅시 실제 본인인증된 분들의 계정 업보팅만 카운팅이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계정들, 봇 계정들과 각 커뮤니티의 운영진 계정, 큐레이터 계정및 외국 계정 까지 쏙 다 빠지게 됩니다. 실제 순수하게 본인인증이 된 계정의 업보팅만 카운팅되어서 정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호응을 했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사용자들이 LIV의 본인인증을 한것도 아니고 완벽하지는 않지만, 실제 스팀 한국 커뮤니티의 반응을 어느정도는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호주 세금에 대한 글을 작성했을때는 0.6 LIV가 찍혔는데, 이 글의 경우 SCT 152 홍보, ZZAN 100 홍보와 SCT 및 TripleA 보터 보팅을 해둔 글입니다. 스팀은 32.44STU, 659 SCT와 511 ZZAN이 찍혔습니다.

전세계 중앙은행의 움직임에 대한 글 거의 두배인 1.1 LIV가 찍혔는데, 이글도 SCT 152홍보와 ZZAN 100 홍보 및 SCT와 TripleA 보터 보팅이 된 글입니다. 스팀은 37.08STU, 661 SCT, 515 ZZAN이 찍히면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LIV의 경우로 판단했을때 거의 두배에 가까운 유저들이 실제로 호응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LIV의 경우는 이렇게 나의 글이 한국 유저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Proof of TASK (봇 사용, 홍보비 사용등)에 의한 척도가 아닌 가장 POB에 근접한 수치를 보여줄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어서 외부 커뮤니티에서도 쓸 수 있는 비쥬얼 플러그인 개발로 다른 스팀기반 SCOT 서비스나 추후 SMT에도 명성도 확인 수단으로 쓰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봅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