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news] 중국 국가주도 블록체인 드라이빙 가능성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작일 하루 암호화폐계는 크게 바람이 한번 불어왔습니다. 물론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중국 시진핑 주석의 언급이 비교적 큰 영향을 끼쳤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러면 현재 중국은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세계 비트코인 Hashrate 50% 이상 운영
  • 거래소와 트레이딩 플랫폼 2017년 말에 전격 금지 (중국발 거래소가 2018년 다 해외로 이주, 바이낸스 포함)
  • Libra 발표 이후 중국 중앙은행 디지탈 화폐 출시 예고 (CBDC)
  • 시진핑 주석 “중국도 블록체인 기술 발전, 업적 혁신을 위한 발전 속도를 내야 한다” 고 언급

기본적인 그림은 여전히 비트코인이나 다른 암호화폐용 Asics의 제조는 100% 다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Asics회사도 다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거래규모의 경우는 중국내의 암호화폐 거래소가 금지된 이후에 제대로 잡히지는 않지만, 많은 암호화폐의 경우 중국의 고래들이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실제로 프로젝트들도 중에 시작된 경우가 많고 (트론, 질리카, 네오등) 아니면 자산 보유량이 대부분 중국인들 손에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EOS)

이렇듯, 중국 주석의 블록체인 관련 긍정적인 언급은 암호화폐 커뮤니티에도 매우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이 한가지가 있긴 합니다.

정책상 블록체인을 양성하자는 취지와 암호화폐 트레이딩에 대한 개방이나 지원등은 다르다는 이야기입니다. 큰 그림을 보면 현재 리브라의 경우는 페북이 진행한다는 미명하에 국가별 공격으로 주춤하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는 CBDC를 이번 시진핑 주석의 언급 이후 더욱 빠르게 밀고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 주시해야하는 것은 실제로 중국의 finance market이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신용카드라는 금융제품이 널리 활용되고 정착된 곳에는 새로운 금융상품이 자리를 잡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는 기존 상품들의 ‘텃새’와도 비슷한 소비자들의 습관과 기업들의 혁신 의지가 없을때 일어나는 시너지 효과입니다.

중국의 경우는 신용카드라는 금융제품이 자리를 잡기 전에 ‘바코드’ 결제라는 제품이 시장을 잠식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TmHXUHKzDB3gNNP8DEaJ3AGrBf9h7yBCJY7CSFYex1Zh/image.png) [Source: South china Morning Post](https://www.scmp.com)

실제로 일반 시장에서 결제가 바코드로 이루어지는것 뿐만 아니라 길거리의 상인들 조차도 바코드를 인쇄하고 결제를 받을 정도로 확산및 정착이 되어 있습니다. 이는 바코드 결제를 통해 중국내에 제 2의 화폐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시장에서 중국 중앙은해엣어 블록체인 기반이나 디자탈 기반 CBDC는 충분히 정착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며, 중국 내수정도의 규모로도 충분히 큰 금융시장을 형성 할 수 있습니다. 이에 CBDC는 스테이블 코인을 표항하는 관계로 가치적으로는 기업 규모가 아닌 중국 정부가 이를 보장할 것으로 가장 먼저 치고 나가는 대규모 스테이블 코인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개인적인 생각

중국의 블록체인 관련 발돋움이 국제 금융 시장과 암호화폐 전체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은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CBDC가 발행되었을 시, 어떤 조건과 어떤 담보를 바탕으로 설계되는지에 따라 그 안전성과 가치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직은 위안화가 국제 화폐로의 공식적인 위치를 확고히 잡지 못한 상황이라서, 이를 바탕으로 스테이블하게 설계된 디지탈 화폐의 스테이블성과 환전성을 얼만큼 보장받으며 국제 금융 (암호화폐 시장)에서 받아들여질지도 두고 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각 국가별 중앙은행들의 움직임이 바빠질것으로 보이기는 합니다. 중국이 먼저 치고 나갔을 경우, 리브라의 허용을 통해 대항마를 만들게 될지, 아니면 좀더 가능성이 높은 각 주요국의 중앙은행들도 각기 암호화폐/디지탈 화폐 프로젝트들을 더욱 빠르게 추진해서 정착시키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