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news] 소액투자후 장투 성공신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암호화폐 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메인주인 비트코인외에도 많은 다른 종류의 토큰에도 투자를 합니다. 2017년도부터 투자를 했을 경우 많은 알트코인 포트폴리오는 최대 -99%까지도 선사를 하면서 자신이 투자를 했는지 투기를 했는지를 되묻게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부 오랜 시간이 지나서 우리는 아직도 일찍이 투자가 되어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들이 이미 지금도 가끔은 공유되기도 합니다.

image.png
소스

한 레딧에 올라온 스샷인데, 2011년도에 비트코인 57개를 구매했다가 2012년도에 다시 대부분 물량을 재판매했다는 포스팅입니다.

2011년도 비트코인 57개면 대략적으로 개당 10불 정도를 지불했을 것이라고 보고 약 6-7십만원 정도의 투자였습니다. (참고로 2011년도 비트코인 가격은 1USD~31USD 사이였습니다.) 2012년도에도 크게 가격의 변화가 높지는 않았던 터라, 비슷한 가격이나 조금의 이익을 보고 대부분의 물량을 다시 팔았을 확률이 높습니다. (참고로 2012년도에는 개당 가격이 약 13불이였습니다.)

그러면서 얼마전 오래된 USB를 정리하면서 거래후 “잔량”으로 남았던 비트코인을 찾았는데 그게 2BTC였네요.

필자도 2030년도에 거래소 먼지를 정리하면서 저런 물량을 찾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잠깐 해봅니다. ^^

행복한 상상을 하는 하루가 되시길~!

[Coinnews] 함부로 대출로 투자를 하면 안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투자 기법중에서 마진거래나 레버리지를 이용한 투자 ROI 최적및 최대화 전략이 있습니다. 이 모든 상품들의 형태는 대출을 이용해서 자기의 자산 규모를 줄이고 대출 이자를 내는 동안에 이익분이 높으면 그만큼 높은 이익을가져가는 단순한 형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는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사는 갭투자도, 단순하게 은행에서 대출을 받아서 자산 투자를 하는 것도, 주식에서 공매도등 마진 거래를 이용한 거래등도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다만 대출의 규모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image.png

암호화폐 투자자분들중에는 활황기에 끝없이 오를것 만 같던 암호화폐시장에서 대출까지 고려해서 일명 ‘영끌(영혼까지 끌어서’ 투자로 대출지분을 암호화폐로 투자하셨던 분들도 계시리라 봅니다.

보통은 대출을 1-2억 잠깐만 신용으로 받아서 암호화폐 투자를 해서 몇% 이익보고 탈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투자의 경우도 자신만의 룰을 세우고 이를 지켜야하는 습관이 들어있어야지 리스크 해칭이 되기 마련입니다. 특히 상승장때는 자신이 세운 이익선을 넘어섰을 때도 오히려 더 오를것 같아서 쉽게 팔지를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며, 막상 다시 하락장으로 들어갈때는 ATH 가격이 머리에 맴돌아서 손해를 본다는 느낌이 들어서 익절상태를 지나치고 손절구간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매달 이자는 빠지면서 손절을 못하는 것은 다시 오를것 같은 느낌이 있거나, 실제로 손절을 한다고 해도 원금을 갚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image.png

실제 아부다비에서 2017년도 말에 약 1억원 (100K USD)의 대출을 받아서 암호화폐에 투자했던 항공사 직원이 그동안 월급으로 이자를 감당하다가 최근 코로나19때문에 항공사들의 불황으로 일자리를 잃고 더이상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서 최대 3년간 감옥을 가게 생겼습니다.

30대 초반에 공격적 투자를 기본 지식 없이 질러버리고 지난 3년간 이자만 열심히 내다가 결국 직장 자리를 잃어서 이자도 못 내고 감옥을 가게 생겼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레버리지를 이용한 투자 방법도 매우 오래되었으며 자신이 컨트롤할 수 있는 리스크 해칭 실력이 된다고 하면 그만큼 ROI를 빠르게 늘릴 수 있는 방법이긴 합니다. 하지만 BitMex나 바이낸스의 마진 시장에서도 보이는 것이지만, 언제 어느순간 원금 청산의 위험을 달고 있어야 하는 관계로 자신이 운영하는 투자 자산중 이정도 하이리스크로 움직이는 투자 %는 제한을 두고 하시는 것을 꼭 추전드립니다.

[Coinnews] 해킹된 자금의 현금화와 거래소의 관계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암호화폐계는 비교적 잦은 해킹 소식들이 들려옵니다. 폰지나 스캠을 통한 자금 갈취도 있으며, 거래소 해킹과 같은 굵직한 보안 이슈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 가격에도 충격을 적지 않은 간격으로 던져주기도 합니다.

코인 텔레그래프의 기사에 따르면 2016년도에 약 비트피넥스에서 도난당했던 약 120K BTC 정도가 다시 일부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해킹된 자금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세탁을 해서 추적이 어렵도록 자금을 쪼개서 움직여 추후 거래소에 다시 유입시켜서 현금화 하거나, OTC거래나 다크넷으로 흘러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 해당 120K 해킹된 비트코인중 약 3000개의 BTC가 이동을 시작했으며 그중 700개가 넘는 BTC는 현재 다크넷인 러시아의 하이드라에 유입이 되었다고 합니다. 다크넷 구매로 이용되었던 BTC는 다시 일반 시중에 흘러들어올 확률이 있는 물량이긴 합니다.

추가적으로 일부 BTC는 중간 세탁 작업 없이 거의 직관적으로 일부 거래소로 유입이 되고 있는 관계로, 사실상 몇몇 계정에 대해서는 해킹된 거래 자금을 받은 계정들에 대한 KYC가 가능하다는 것이 지금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그중 일부는 실제로 해킹당했던 비트피넥스로 다시 흘러들어가기도 했습니다.

AML과 KYC에 대한 의무가 FATF 권고안때문에 안고 있는 거래소들의 경우는 이런 자금에 대해서 대응을 해야하는 의무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로 현재 기관들과 협조해서 움직이고 있을 확률도 있습니다.

하지만 거래소의 입장 역시도 쉬운것은 아닙니다. 실제 자금에대한 트레이싱을 할지언정, 이에 대한 해킹 사실이나 근거를 거래소에 제출하고 힘든 과정들을 거쳐야지만 원래 주인에게 돌아갈 수 있는 상황이 되기 때문입니다.

지난 스팀 하드포크때도 일어났던 하이브 사용자들의 하포 계정 해킹과 총 2천3백만 스팀의 해킹건도 사실상 매우 명백하게 들어나는 것인데, 거래소의 대응속도나 방향을 보면 AML과 KYC에 대한 의지보다는 업계의 눈치를 먼저 보는 것같은 느낌이 들어, 하루 빠르게 해킹 자금과 같은 현금화나 도난사건들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FATF의 권고안이 생활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Coinnews] 사용자들 코인베이스에서 BTC 대량인출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검은 백조 사건

6월 5일날 검은 백조로도 잘 알려진 사용자가 코인베이스 계정을 닫았습니다. 에러가 있었는데 이에 대한 응답이 전혀 없었다는 이유로 코인베이스 계정을 닫고 이동하기로 했답니다.

image.png

사실상 지난 몇달전 비트멕스의 거래소가 응답을 하지 않아서 손실을 보는 사용자들이 나왔던 것 처럼, 이 분은 트위터로 계정을 닫는다고 선포하고, 직후 코인베이스 트위터의 응답이 있었는데도 코인베이스 계정을 끝내 닫는것으로마무리를 했습니다.

결국 6월 7일경 코인베이스에서 약 2만2천개 정도의 비트코인이 거래소를 빠져나가면서 거래소의 전체 비트코인 소유량을 줄였습니다.

지난 2020년 3월 대폭락시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많이 줄어들었었는데, 이중 특히 후오비등과 같은 거래소의 보유량이 줄고 바이낸스나 오히려 코인베이스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유지를 잘하거나 오히려 올라갔던 터였습니다.

그러나 거래소의 기술적 문제점과 그에 대한 즉각적이고 빠른 CS 결여로 유저와 투자자를 잃는 것은 한순간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보게 되는 대목입니다.

[Coinnews] 독일의 주식 거래소 비트코인 ETP 런칭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독일의 ETC 그룹이 6월 9일날 비트코인 ETP (Exchange traded product)를 독일 Xetra 주식시장에서 런칭할 수 있도록 독일의 금융당국의 허가를 받았다고 합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ETP를 통한 거래가 되기 때문에 ETF를 통한 거래는 아니라고 합니다. ETF의 경우는 펀드를 운용하는 것이라 여러가지 자산이 들어가있는 반면에 ETP는 단일 제품 즉, 비트코인을 포함하고 있어서 정확히는 ETF의 성향을 띌 수 없다는 설명이였습니다.

미국 시장과는 달리 비트코인 ETF 시장이 개방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나, 독일의 금융 당국인 BaFin은 미국에 비해 좀더 빠른 허가와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우선 자산가치로의 암호화폐가 일반 주식 거래시장에 나오기 시작하면서 일반인들의 접근성이 월등이 좋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미국을 월스트리트가 주라면, 유럽의 경우는 주식 시장이 영국과 프랑크푸르트정도로 구분이 되는데, 독일의 Xetra 시장에서 거래가 되는 비트코인 ETP 상품이 유럽의 소비자들의 호응을 어느정도까지 받을지 기대를 해봅니다.

[Coinnews] 삼성과 제미니 거래소의 파트너쉽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삼성의 갤럭시폰에 탑재되어 있는 암호화폐 지갑이 미국의 제미니 거래소와 파트너쉽을 발표했습니다.

제미니 거래소의 경우는 윙클보스 형제가 만든 거래소로 삼성 사용자들이 암호화폐 지갑을 직접 제미니 거래소랑 연동을 할 수 있도록 조치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첫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가 삼성과 파트너쉽을 맺은 건이기도 합니다.

미국의 스마트폰 시장은 전통적으로 애플이 강세이긴 합니다만, 애플의 경우는 암호화폐 관련 특별한 움직임이 없는 반면에 삼성은 일찍부터 암호화폐 지갑 탑재등으로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을 보이면서 안드로이드 계열 스마트폰에서 기술적 선두를 유지했습니다.

image.png
소스

특히 2020년 1분기 미국의 삼성폰 점유율은 30%를 훌쩍 넘으면서 iOS 계열을 뺀 안드로이드 계열의 경우 미국에서는 점유율 60%에 육박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삼성 입장에서도 제미니 거래소 입장에서도 영향력은 무시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미국 거래소중 가장 큰 암호화폐 거래소는 코인베이스입니다. 그런 코인베이스를 두고 삼성이 제미니 거래소랑 협약을 했다는 것은 코인베이스가 협상할 마음이 없었거나, 제미니의 조건과 협상력이 더 뛰어났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것 같습니다.

image.png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거래소 규모면에서는 24시간 거래량 기준으로 코인베이스가 제미니보다 10배는 크긴 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바이낸스 US보다는 거래량면에서는 우수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는 바이낸스 US보다는 유리한 파트너쉽이였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관련 프로젝트들이 기성 산업과 연계와 파트너쉽을 이루면서 한발자국씩 제도화와 기성화를 이루는 것을 보면 대중들의 일상생활에 블록체인이 파고들 날 도 멀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 같습니다.

[Coinnews] 제미니 거래소 파운더 Winklevoss 쌍둥이 영화 예정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소스

윙클보스 형제는 페북의 첫 아이디어를 가지고 하바드에서 실현을 하려다가 마크 저커버그에게 개발을 의뢰했다가 아이디어와 운영을 통째로 뺏기면서 모든 성공을 저커버그의 페북이 해버리는 바람에 페북을 고소해서 합의를 본거으로 유명합니다.

당시 2008년도에 현금으로 약 2천만불과 페북 주식으로 4천5백만불치를 받는것으로 협의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협의 시점 자체가 2011년정도이기 때문에 당시에 이미 자산 가치로는 1억 5천만불 정도을 고소를 통해서 받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윙클보스 형제는 이후 암호화폐계에 입문을 2011년도에 1천1백만불치의 BTC 구입을 통해서 이후 가장 잘 알려진 BTC 억만장자인 것으로도 유명세를 탔습니다. 이와 더불어 암호화폐계 관련 비즈니스들을 시작하면서 제미니 거래소등이나 암호화폐계 투자등으로 자주 뉴스에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윙클보스 형제의 일대기를 영화화하는 것은 자커버그에 대한 영화가 개봉된것에 대한 눈치인지도 모르겠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하게 됩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페북의 스토리는 자커버그의 개입 없이 실사와 허구를 섞어서 만들었다면, 이번 윙클보스 형제의 암호화폐 일대기는 구 워너 브라더스 CEO인 Silverman과 윙클보스 형제의 직접 투자로 이미 베스트셀러가 된 ‘비트코인 억만장자’라는 책을 기반으로 만든다는 것 정도입니다.

결국 이들은 페북과 고소건으로 쟁취한 자금 투자로 억만장자 대열에 당당하게 들어서면서 이제는 암호화폐계에서도 자기 목소리를 제대로 내는 거물로 성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Coinnews] 비트코인이 1억을 가기위한 조건?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이번 코인 텔레그래프에서 재미있는 기사를 실었는데, 과연 비트코인이 100K USD를 넘기 위해서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었습니다. 즉, 실제로 비트코인 수유자나 채굴자등이 원하는 1비트 1억에 대한 조건들을 조합해서 시뮬레이션을 한 값들입니다.

물론 해당 기사를 보면 비교적 단순한 논리로 접근을 했으며, 데이터 기반 현재 반감기 후 하루 채굴량 900BTC를 시장에서 100K USD로 소화를 했을 경우 100K USD 이상의 가격을 유지할 수 있다는 단순한 논리입니다.

실제 지난 2년간 약 60%의 전체 BTC 물량이 움직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반감기 전에는 더욱더 비트코인을 모으는 현상이 잦았다는 설명도 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이 기사의 논조는 하루 채굴량 만큼 시장이 100K 가격으로 소화가 가능하다면 100K USD이상의 가격선을 방어할 수 있다는 단순 논리에 의한것입니다. 물론 구멍이 많고 반박할 여지가 많은 부분이지만, 결국은 공급에 따른 수요만큼 시장이 기본적으로 받쳐준다면 가격은 유지된다는 논리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자세히 봐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번 반감기가 끝이 아니고, 지속적으로 4년만다 반감기가 다가온다는 것입니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노드들이 채굴을 통해서 이익을 본다기 보다는 BTC가 하포를 하지 않는 한은, 반감기가 진행되면서 트랜스액션 Fee로 운영이 될것도 사실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언젠가는 POW에 따른 채산성이 직접적으로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transaction fee 대비 노드 운영 채산성이 결정을 하게 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Year Daily mined BTC Daily needed USD
2020 900 90,000,000
2024 450 45,000,000
2028 225 22,500,000
2032 112.5 11,250,000
2036 56.25 5,625,000
2040 28.125 2,812,500
2044 14.0625 1,406,250

하지만 반감기에 따른 실질적인 BTC 채굴량을 보면 얼마 가지 않아서 2040년도만 해도 (지금부터 20년) 하루 채굴량이 28개 정도로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상단의 논리대로 한다면 BTC가 하루 약 3백만불만 소화를 한다면 100K의 가격이 유지가 될 수 있다는 논리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현재 기준으로 비트코인이 100K 정도의 가격을 유지했을 때 총 시총은 금의 25%정도밖에 안되는 것도 특징입니다.

여기서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한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노드가 운영 채산성이 없을 경우에는 유지가 안되는 것 뿐만 아니라 사라지게 됩니다. (비운영에 따른 무가치의 논리) POW 채산성은 어느 순간분터 무의미해진다고 치더라도, 탈중앙화된 자산중에서 그동안 소각량과 빠른 채산성 감소로 인해서 최소 노드 운영비용에 따른 가격 상승은 한동안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거이 결론입니다. 아니면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 자체가 아예 노드 운영이 되지 않아서 사라지던지.

결국, 20년후에 자손에게 1비트를 남기게 되면 액면 가치로는 100K USD 이상의 가치를 남겨줄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물론 20년후에 100K USD의 자산가치에 따른 구매력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것이긴 합니다.

각자 1비트 이상 만들기에서… 10비트 만들어서 자손에게 물려주는 작전으로 이동을 해야하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Coinnews] Brave 브라우저가 BTS와 파트너쉽을 맺음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브레이브 브라우저가 최근에 여려가지로 이슈화가 되고 있습니다. 바이낸스 어필리에에트 문제로 시작하더니 이제는 새로운 뉴스가 일본에 BTS와 협약을 하고 전용 브라우저를 런칭하기로 했다는 것입니다.

현재도 MAU가 1천5백만 이상인 상태에서 BTS와의 협약을 통한 브라우저 파트너쉽은 BAT 토큰에도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해야할 것 같습니다.

BTS의 경우는 일본 시장에 특히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BTS 팬클럽이 한국에 비해 따로 존재하고 있으며, 앨범 발매등도 글로벌 버젼과는 차별을 두고 런칭하는 BTS Army (팬클럽)의 소리가 들릴 정도입니다.

작년 7월달에 일본에서 진행했던 4개의 콘서트는 21만명 이상의 팬을 움직일 정도로 BTS의 일본 입지는 그만큼 견고합니다.

만약 BTS의 일본 아미팬들에게 그들에게만 주어질 혜택을 브레이브 브라우저로 제공을 해줄 수 있다면 적어도 일본이 모든 아미팬들은 열광을 하면서 브라우저를 바꿀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암호화폐 프로젝트에서 글로벌 스타와의 협약이 신선하게 다가오면서 실제로 암호화폐의 레이어는 세컨드에서 서드 tier로 깔아낳고 실질적인 개인정보 보호와 비광고/선택광고 브라우저로 포지셔닝을 하면서 유저를 늘리는 것을 보면,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블록체인 기술이 일반화 되기 전까지 어떤 노선을 타야할지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Coinnews] 이더리움의 네트워크 비용이 비트코인을 앞섰다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최근의 데이터가 이더리움의 네트워크 비용이 비트코인의 네트워크 비용을 넘어섰다는 데이터가 발표가 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의 경우는 현재 POW에서 POS로 넘어갈 준비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당히 중요한 이벤트로 보입니다. 이는 사실상 POS로 전환되면서 노드들의 발권력 역시 줄여가고 있는 시점에서 네트워크 비용으로 운영이 되는 노드들이 늘어나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사실상 비트코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매 4년마다 반감기가 오는 관계로, 이후 노드들이 더이상 비트코인을 채굴하지 못할 경우에는 노드피를 바탕으로한 노드 운영이 현실화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100K 이상의 트랜스액션이 펜딩된 상태로 사실상 현재의 네트워크 비용이 올라가는 것은 그만큼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과부하 상태라는 것도 일컫는 것이기도 해서, 이더리움 2.0에서는 많은 트랜스액션을 차지하는 부분들을 이더클래식으로 이관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그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되면서 트랜스액션 fee는 양날의 검이 될 것으로 보이기는 합니다. 한편으로는 노드들이 수수료를 충분히 챙길 수 있어야지 노드 운영이 점차적으로 안정화가 될테지만, 수수료가 높으면 높을수록 댑들의 부담이 커지는 관계로 댑 활성화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네트워크 사용료라는 수수료는 토큰 이코노미에서는 정확하게 보면 긍정적인 면이 있습니다. 필요시 노드 운영의 비용 충당이나 전환을 가져다줄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소각등을 이용해서 발권과 수요에 대한 균형을 맞출 수 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너무 높은 수수료는 댑 운영 프로젝트들의 경우는 보틀낵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스팀이나 트론과 같이 수수료 체계가 슬림한 블록체인들은 댑 환경에는 최적화가 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