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news] 흔한 소셜 미디어 사기들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유튜브를 들어가니 Gemini 거래소의 라이브스트리밍을 상단에 띄워주네요. 그동안 암호화폐 관련된 정보를 많이 봐서 그런가봅니다.

그런데 뭔가가 이상합니다. 윙클보스 형제가 5000 BTC를 나눠준다고 하네요. 50M USD정도를 나눠준다고? 맞을리가 없잖아요. 그 친구들이 돈이 아무리 많다고 해도 왜 그렇게 많은 돈을 나눠주겠어요?

image.png

바로 15분전에 스트리밍을 시작해서 화면에는 윙클보스 형제가 SXSW에 나간 동영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화면의 2/3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와 공식 사이트를 보여줍니다.

image.png

저기 나와있는 주소로는 절대로 BTC를 보내시면 안됩니다. 몇일전 트위터에 있었던 흔한 더블스캠의 일종입니다.

image.png

제미니 홈페이지에 가서 확인을 해보니 이들은 유튜브 채널을 역시 운영하지 않고 있고요.

문제는 이런 계정들은 이미 구독자가 있는 채널을 돈을 주고 사서 구독자 1만명을 바탕으로 시작을 하고, 실시간 스트리밍을 할때 동접수가 3만명에 달하는 성공(?)을 한다는 것입니다.

유튜에는 간단하게 Flag버튼을 눌러서 신고를 했습니다. 하지만 라이브 스트리밍이라서 해당 시간에만 틀고 튀는 방식이기 때문에 신고에 대한 효력 역시 제한적이긴 합니다.

image.png

모두들 스캠 주의하시고 소중한 자산 지키세요~!


암호화폐 관련 뉴스들 빨리 받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꼭~. ^^

[Coinnews] 카이버 네트워크 신디케이트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크립토닷컴에 카이버 네트워크가 리스팅되면서 7월 21일 한국 시간 오후 3시에 크립토닷컴의 50% 암호화폐 할인 프로그램인 신디케이트가 열립니다.

지난 ALGO 리스팅이 아직 일주일밖에 안지난 상태에서 일주일만에 다시한번 KNC 리스팅이 되어 비교적 짧은 주기로 신디케이트를 오픈하게 됩니다.

그동안 CRO의 가격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어서 이번에는 1천불 상당의 CRO가 약 7천개정도 될것으로 예상이 된다고 합니다. (최종은 오픈시 공개)

image.png

신디케이트의 인기에 따라 점점 참여자의 효율은 떨어지고는 있으나, 여전히 1만 CRO구간이 가장 좋은 가성비를 보이는 관계로, 새롭게 진입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약 1만7천 CRO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image.png

CRO의 경우는 현재 지속적으로 ATH를 기록하면서, 특히 신디케이트를 시작한 이후부터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CRO의 경우는 자체적인 메인넷을 준비하고 있는 거래소 토큰으로 현재는 거래소 스테이킹에 다른 이자지급과 거래소 내부 pairing및 거래 수수료 사용이 주이지만, 추후 메인넷 런칭과 더불어 payment로 확장을 위한 백서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암호화폐 관련 뉴스들 빨리 받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꼭~. ^^

[Coinnews] 바이낸스 CEO가 바라보는 좋은 토큰이란?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소스: 바이낸스 블로그]

바이낸스에 상세하게 들어가보면 바이낸스 블로그라고 해서 암호화폐 관련 여러가 주제를 다룹니다. 그중에서 이번에는 바이낸스의 CZ가 자신이 바라보는 좋은 토큰을 알아보는 방법을 공유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 자기 토큰을 Fiat으로 바꾸지 않고 지속적으로 들고 있을 경우 장기 홀더들에게 유리하다
  • 소각전 거래소 토큰의 바이백은 사실상 자신들의 거래소 토큰 수입이 없거나 아예 홀딩을 하지 않아서 그렇다.
  • 에어드랍과 소각은 둘다 좋다.
  • 같은 팀에서 여러 토큰을 생성하는것은 좋지 않은 표시이다. (팀 리소스 한계)
  • 한자리수 % 유통량
  • 너무큰 팀 홀딩
  • 자주 변하는 화이트페이퍼

정도입니다.

바이낸스의 경우는 현재 거래소 토큰중 가장 성공적인 토큰을 만들어서 운영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현재 그 뒤를 거래소 토큰으로 바짝 쫓아가고 있는 것이 크립토의 CRO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CRO가 소각을 시작하면…ㅎㄷㄷ)

image.png

바이낸스는 이미 12번째 소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상황에서 USD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BNB 생태계를 자극하고 있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CZ의 토큰이코노적 관점은 거래소 토큰에는 왠만해서는 부합되는 듯 하나, 일반적인 토큰에도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점이 토큰 운영자입장이냐, 토큰 홀더 입장이냐, 둘다냐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보입니다.

EOS의 경우는 그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잘 한 것은 약 50%의 ICO 자금을 현금화해서 비교적 안정적인 미국 국채에 넣어서 이를 통한 회사 운영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이것이 꼭 EOS 홀더와 EOS 가격 향상에 단기적으로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었다는 것인가를 보기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적어도 안정적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에 EOS가 발전을 한동안 멈출 우려는 없다는 장점은 확실히 있습니다. (그렇다고 말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물론, 너무 여유롭게 돈을 써서인지 프로젝트가 산으로 갈 수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기는 합니다.

토큰의 가치는 간단하게는 회사에서 주식과 비슷한 개념으로 다가가면 된다고 보는 입장이긴 합니다. (물론 주식은 아닙니다.) 결국 일반 기업이던 암호화폐 프로젝트건 프로젝트 주체가 잘 이끌어갈 경우 그만큼 성공을 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암호화폐 관련 뉴스들 빨리 받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꼭~. ^^

[Coinnews] 중국의 대기업들 CBDC 테스팅 시작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CBDC관련하여 중국이 이미 심천등 주요 도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소식은 여러번 전해지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대기업들과 손을 잡고 추가적인 테스트를 실시한다는 소식이 알려지고 있습니다.

image.png
[소스: Meituan Dianpingg홈페이지]

텐센트가 투자한 중국의 배민인 Meituan Dianping은 총 4억5천만명의 유저기반과 중국의 우버라고 불리는 DiDi의 5억5천만명의 유저, 넷플릭스나 왓챠와 비슷한 Bilibili의 1억 7천만명의 유저들이 중국의 CBDC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인민 중앙은행이 이런 인터넷 기업들과 손을 잡고 테스트를 하는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절대적인 사용자가 가장 작은 BiliBili가 거의 넷플릭스의 전세계 사용자와 엇비슷하며, 약 3억명 넘는 유저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마존의 사용자량과도 충분히 견줄 수 있는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특히 Didi나 중국의 배민과 같은 기업들은 사용자들이 모바일로 지소적으로 수조원을 결제를 하기 때문에 CBDC를 테스트하기에는 최적의 공간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

이정도 규모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나라가 전세계에 몇 없다는것이 사실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중앙화에서 이렇게 치고 나가면서 아마존을 설득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고, 또한 전세계에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미국 내부만으로는 저정도의 사용자수와 트랜스액션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외에 유럽의 경우는 같은 유로화라는 통화를 쓴다고 하지만, 각국의 서비스들이 미국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러시아의 경우는 중국과 비슷하게 밀고 나갈 힘이 있다고 하지만, 현재는 CBDC에는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CBDC를 넓은 사용자층에 테스트를 하고 실제 전체 사용으로 가장 빠르게 치고 나갈 것이 현재로는 중국의 CBDC가 될것으로 여겨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미국 중앙은행의 넥스트 스텝은?


암호화폐 관련 뉴스들 빨리 받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꼭~. ^^

[Coinnews] 얼론 머스크의 도지 사랑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엘론 머스크는 이전에도 도지코인에 대한 사랑을 트위터에서 보여준 적이 있는데요, 이번에는 장난반 진담반의 느낌으로 도지코인이 금융시장을 잡아먹을 수 밖에 없다고 하는 사진을 올려 123K의 좋아요와 16K의 리트윗을 발생시켰습니다.

참고로, 엘런 머스크는 이제 트위터 계정을 다시 찾아서 정말 직접 트윗을 하고 있습니다.

image.png

아니나 다를까,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지코인 챌린지와 더불어 잠깐 가격이 주춤했었는데, 엘런 머스크의 한마디로 가격은 오늘만 14.5% 이상을 뛰었습니다.

image.png

펌프앤덤프의 전형적인 모습이긴 하나, 유명인들이 달라들어 분위기를 만드면 헛것이 진짜가 되는 세상이기에 흥미로운 움직임인 것은 확실합니다.

참고로 엘론 머스크의 트윗에 바낸의 CZ도 응답을 하면서 도지가 사람이라면 포브지에 나왔을거라고 한마디 하고 갔네요. ^^


암호화폐 관련 뉴스들 빨리 받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꼭~. ^^

[스팀잇] 와사비 지갑을 통한 비트코인 트위터 자금 세탁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트위터 사상 최악의 해킹치고는 비교적 적은 양의 BTC를 갈취한 더블스캠 사건의 지갑이 일부 자금을 와사비 지갑으로 추정되는 지갑으로 전송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들은 KYC를 통해서 자금을 추적을 할 수 있지만, 와사비 지갑과 같은 믹싱 지갑을 이용할 경우 정확한 자금의 추적을 하기가 어려워진다.

지난 트위터 공격으로 총 130명의 유저와 계정이 당한 상태에서 전송한 자금은 찾지는 못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암호화폐 관련 뉴스들 빨리 받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꼭~. ^^

생각의 흐름 정리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정리를 위해 몇가지 키워드만 나열해서 정리합니다. 장황한 생각의 흐름이기 때문에 읽으실 경우 매우 불편하실겁니다.

  • POS와 POW의 차이는?
  • POS와 POB의 조화는?
  • POB유지를 하는것이 가치를 상향시키는가 없애는것이 상향을 시키는가?
  • 블록체인상 소셜 미디어의 필요성
  • 근본적인 토큰 가격의 지지는 누가?
  • 커뮤니티와 제품화된 블록체인의 가치는?
  • 인플레이션 조정을 통한 가치 상승?
  • 커뮤니티=투자자의 필요성?
  •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의 힘은 금전적 보상인가 도파민적 보상이 근본인가?
  • 직관적인 보상은 커뮤니티를 발전시키는가 재미를 반감시키는가?
  • 셀봇을 통한 소셜미디어적 관점을 제거했을 때 사용자의 잘못이 아닌 시스템의 잘못이다.
  • 스팀이라는 시스템이 그정도 충격을 버틸 수 있는 플랫폼인가?
  • KR의 움직임은 POB를 붕괴시는데, 좋은 움직임인가?
  • KR은 재단의 움직임에 언어적 장벽때문에 큰 관심을 보이지는 않는다.
  • 재단의 방향은 스팀의 현재 기반인 POS&POB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하는것으로 판단된다.
  • 만약 두 그룹의 충돌이 일어나면 결과는?
  • 현재의 가격은 누가봐도 유지시키고 있는 것인데, 누구의 자본이 움직이는것인가?
  • 그 자본이 바라보는 방향은 어디인가?
  • 자본은 POB가 없는 투자 DeFi적 보상풀 최적화 집단에 관심이 있을까?
  • 스팀의 전체적 토큰 이코노미적 설계가 다시 필요할 부분이다.
  • 인간의 욕심은 설계가 되지 않는다. 시스템이 잡아야 한다.
  • POS의 탈중앙도 결국 인정하고 Tron도 EOS도 언제라도 재단의 개입 시인(이미 실시) 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했다.
  • 스팀도 POB에서 인플레이션율이 너무 높은 POS로 전환된다면 설계의 변화를 통한 ROI조정이 되거나 POB를 유지하고 그에 따른 조정이 있을까?
  • 스팀은 1만명의 최적화된 POS 사용자가 각각 10만스팀을 높은 ROI를 위해 스테이킹하고자 한다면 스팀의 가격은 유통량 부족으로 뛰어오를 수 밖에 없다. POB를 충분히 죽여도 되는 관점이다.
  • 이것을 이룰때는 POB를 죽이고 커뮤니티도 죽이고 스팀잇도 죽이면 되는 부분이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채굴은 POS로 전환하면 된다.
  • 1만명 십만스팀이나 십만명이 1만스팀을 맞출 수 있을까?

[LOK] 레벨업의 어려움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

메인성 레벨 15를 도달하고 나서 레벨16을 가기 위한 도입에 들어섰습니다. 언제나 부족해서 허덕이는 자원을 뒤로 하고 어디서 자원을 가져올까를 계속 고민하다보면 결국 시간밖에는 해결할 길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아니면 현질) 마음을 내려놓게 됩니다.

image.png

모자르다고 징징거리는 시스템을 뒤로하고 이제는 잦은 업데이트보다는 가끔씩 한번 하는 업데이트가 일상이 되어가고 있어서 중간에 할 것이 없어지고 지루해진다는 매우 큰 단점을 안고 있습니다.

사실상 그렇기 때문에 공성전을 할 수 있는 데스카 몬스터나 길드전등의 활성화를 통해서 지속적인 자극을 줘야 하는데, 현재로는 노가다성밖에 없어서 약 1주일이 지난 시점에서 잠깐의 멈춤이 오는것으로 보입니다.

모바일앱 개발과 노가다성 이벤트가 아닌 스토리성 이벤트나 사용자간 공성전등과 같은 종류의 게임성을 추가해야지 지속적으로 유저를 붙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Coinnews]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필자의 경우는 특히 스팀의 포스팅 언급도 인용도, 그리고 조금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될 수 있는 플랫폼에 정착을 하기 위해서 지난 2달간 코박에서 비교적 많은 스팀의 게시글을 옮겨왔습니다.

일부는 블로그의 내용을 줄여서 프리뷰형태로 방문 유도성도 있었으며, 대부분은 완성된 스팀 포스팅을 옮겨서 포스팅해두기도 했습니다.

코박의 경우도 수익형 포스팅이 가능합니다. 즉 인기글 선정이 되고 나거나 사람들 레퍼럴해주거나 하면 CC라는 포인트를 쌓아주고 이를 이더리움이나 상품권으로 바꾸줄 수 있습니다.

image.png

지난 5월달 이후 총 18번의 인기글 선정으로 매번 500CC씩 적립이 되고 가입 적립금과 기타등등을 합해서 이제 9850원 정도를 만들어놓은 상태입니다. 한달에 3000원정도가 되겠군요.

시간 투자대비 ROI로 치면 절대로 하면 안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사실상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의 구성은 금전적인 보상에 대한 규정이 아닌 도파민 보상에 대한 규정으로 시작되고 정의가 됩니다.

즉, 소셜 미디어를 이용할 경우 “좋아요” “라이크” “업보팅” 등을 받을때 술을 마실때나 담배를 필때와 같이 뇌에서 도파민이 생성이 됩니다. 이 보상(관심)을 받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면서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기본 원리입니다.

스팀의 경우는 토큰 이코노미적으로는 별개로 매우 유리한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즉, 제품도 있고, 스테이킹도 많이 되어 있고, 거래도 비교적 활발하게 일어나는 토큰입니다. 사용자가 투자자가 되는 이상적인 그림의 토큰 이코노미입니다.

하지만 제품의 경우 들여다봤을때 스팀잇.com의 소셜미디어적인 부분은 투자관점적인 ROI만을 따졌을때는 우수하겠지만, SEO적인 가치나 콘텐츠적인 생산량으로 봤을때는 점점 아쉬운면이 많아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필자의 경우도 간단하게는 스팀의 가격이 상향되면 모든 콘텐츠에 대한 것은 자동적으로 해결이 된다는 주장에 동의를 합니다. 하지만 서로 읽지 않는 글이 올라오는 소셜 미디어는 간단하게는 재미가 없다는 것이 개인적으로 아쉽습니다.

[Coinnews] CBDC는 디지털 증권의 초석이 될것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코인텔레그래프를 돌다가 CBDC 관련된 뉴스가 있어서 전달을 드립니다.

image.png

중국의 경우는 기존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배척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반대로 이를 대처할 CBDC (디지털 중앙은행 화폐)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이미 일부 지역에서는 실험에 도입을 한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중국의 공인인 Xiao Gang (이전 중국 증권 규제 위원회 의장)은 중국의 CBDC가 디지털 주식에 까지 영향을 끼칠것이라고 예견했습니다.

크립토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디지털 주식과 비슷한 성향의 토큰을 내놓으면서 일면 시큐리티 토큰을 개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으 중앙은행 화폐인 CBDC와 연결이 되어 블록체인상에서 거래가 된다고 한다면, 완전 새로운 종류의 시장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암호화폐의 거래는 주식의 거래와 비슷한 면이 비교적 많습니다. 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주식 거래보다는 화폐 거래에 가깝다는 것입니다. 즉, 주식은 아마존 주식으로 삼성 주식을 사는 행위는 없습니다. (OTC나 M/A는 예외) 하지만 비트코인으로 이더를 사고, 이더로 스팀을 사고, 스팀으로 다시 USDT를 살 수 는 있습니다. 이것은 주식의 매매 성향보다는 화폐의 트레이딩 성향을 더 강하게 띄고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CBDC가 일반화가 되고, 디지털 주식까지 시장에 나온다면, 충분히 주식과 각종류의 CBDC와의 페어링으로 간편하게 트레이딩 페어가 생기는것은 물론이고, 이론적으로는 직접 디지털 주식과 주식간 거래도 이론적으로는 쉽게 가능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Xiao Gang의 책에서도 언급되어있지만,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금융에 맞춰 다른 트레이딩 시스템들이나 화폐등도 각 국가별로 빠르게 맟줘가야할 것으로 예견하기는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복잡하게 얽혀서 금융 시스템이 탄생하게 된다면 세금적으로는 어떤 방식으로 추적해서 진행을 하게 될지가 관건일 것이며, 어느정도 거래 규모가 된다면 세금이 유리한 국가에서 법인 규모로 활동하는 것을 고려하는것도 분명히 사업모델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기는 합니다.


암호화폐 관련 뉴스들 빨리 받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꼭~. ^^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