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NT] The importance of a partnership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s3-us-west-2.amazonaws.com/steemhunt/production/steemhunt/2019-10-20/31406fd2-cyxkEVqiiLy2ofdgrJNxeZC3WCHPBwR7MjUDzY4kBNr81QaZqSLsxK985AjmvVYUnvHJYy7oCEfX3QaXwRdHKZGvCfQfkT4vRtqUZPp15dZ7aSxBJrZRhySHHc3vWwZ3ZK4.jpg

Hi, @jayplayco here.

A few days ago a news article had been released in Korea, announcing the official partnership between the HUNT platform and Lambda256 (Luniverse Blockchain as a service). I would like to get into the story of the startup behind the platform HUNT, how to startup on the Steem Blockchain and what this partnership means.

0. Background

The team and startup behind Steemhunt and the Hunt platform is coming from a traditional startup and cooperate background. After starting to realize their idea to give the original Producthunt platform an upgrade and going back to the roots of ranking cool products, they bootstrapped Steemhunt for over a year with the support of Steemit Inc. ‘s delegation of 1 million Steem Power and from their personal budget. From May 2018 there have been more than 80K products reviewed, shared and ranked, which shows the immense success of Steemhunt.

![](https://cdn.steemitimages.com/DQmTaMLocLeK42FYhceiiYJwhq51uF1SiqcW4Xb7A1TE7wS/image.png)

1. Running a community-based project on Steem

![](https://cdn.steemitimages.com/DQmbfnmiTh2vaHs2B7NUD27Aw5xuBQ7HTLvVq2G1RRxL5cE/image.png)
When you start a business that is based on the Steem blockchain, you will have to get familiar with the community at Steem and also about different kinds of rules based on Proof of brain (POB). Staked Steem Power(SP) gives you the possibility to distribute Steem from the reward pool. Compared as an example with Bitcoin, where you need a lot of hardware power to create Hashpower and running a node to be able to get rewarded in Bitcoin, Steem has also a reward pool that comes from staked Steem Power.

The project Steemhunt was able in 2018 to get the attention of Steemit Inc. and a delegation of 1 million Steem Power. Including other delegations, Steemhunt was able to distribute based on a voting power of about 1.7 million Steem Power, which was on a higher Steem price about 2500 USD rewards per day.

These high rewards attracted a lot of Steem users to the platform and also started the rally of abusers to milk the system. The team needed to start a few month-long battles with these abusers to adapt and develop a system to stop this behavior. Steemhunt has now one of the most sophisticated anti-abusing systems available.

But the real difficulty came with the bear market, which had been affecting all kinds of Blockchain projects on the market. The general active user base was shrinking, not only for Steemhunt but in general for Steem. Not only the users but also Steemit Inc. had its backslashes and needed to release about 70% of their staff, which backfired the development of SMT. Source

Nonetheless, the team decided to move on even in a bearish market with an IEO and launched the ERC-20 based HUNT token on the Daybit Exchange. The IEO had been successful and the team was able to gather funding to move on developing the HUNT platform.

2. Delegated Steem Power is not a Business model but only a non-accessable marketing fund.

![](https://cdn.steemitimages.com/DQmUek5JdGMALWefT66taLBoMZcJvBKPDdsfuTWvgubB4b6/image.png)
If you are preparing a business based on the Steem blockchain, POB is a very powerful tool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your project between Steem users. But if you understand the specifics of how the Steem economy works, you will have to understand that any kind of delegated Steem will not directly convert into a direct income to run your project. The team behind the Hunt platform is running Steemhunt as a company and a full-time project. It means that the business's purpose is to generate income to be able to run the service. Delegated Steem Power does not create any income unless you are going to power-down and sell your Steem Power. Let's see how Steemhunt used the Steem Power.
  • Rewarding users based on the ranking and internal levels
  • Curation reward (started with 25%, now 50%) is getting rewarded also directly 100% in Steem Power.
  • Steem Power needs 13 weeks to gets fully un-staked.
  • Steemhunt staked most of the curation reward (93%) and used part of it for distribution to delegators or for marketing purposes.

As you can see, as long as there is no funding from the outside, delegated Steem Power is a great tool for marketing your project but not directly useable as a business model for your project. At the end, you will need fundings either from customers or from investors.

3. Reaching users

![](https://cdn.steemitimages.com/DQmUxKKgLRSNGRHVjiBcFKLD5VAYJ56GTtxu23exJj2uPWB/image.png)

The biggest strength that the Steem blockchain can offer is the community behind it. With a good product, marketing plan and a reasonable amount of (delegated) Steem Power, it is possible to have in a short amount of time a high number of user engagement, which has already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of a blockchain and the rewarding mechanism. The bigger the Steem community is, the bigger the chance that your niche is going to have sophisticated users investing either time or money on your project.

A very good example of a Steem based project is also Splinterlands (@steemmonsters), having already sold 7 figure dollars virtual NFT in several crowd fundings and general sales.

![](https://cdn.steemitimages.com/DQmQNza9S4vXvJXFKyWv5P9W3oGfrGdfo1eN2cd3DFfQ2Wx/image.png) [Source: Untamed Kickstarter](https://www.kickstarter.com/projects/526764488/splinterlands-untamed-a-blockchain-trading-card-game/description)

Due to the bearish market, the general number of Steem users has gone down under 3000 active accounts, but for a few months, Splinterlands has more active accounts on their platform than Steemit.com itself.

![](https://cdn.steemitimages.com/DQma6CDgYcXyrfvUHstr5zEGpGdU4RSVPAcSBmdTZz56PXd/image.png) [Source: StateoftheDapps](https://www.stateofthedapps.com/platforms/steem)

It means that more active users are using the Splinterlands platform than Steemit.com. One point needs to be mentioned here, as the Steem Social Media Front is not only available from Steemt.com but also from different other condensers like busy.org or Steempeak, etc.

For Steem itself it is a very positive effect that more and more projects are leveraging the Steem blockchain to run their projects. But if we go into details, it is also an invisible barrier for any kind of Steem project, as it is going to need onboard new users on Steem to grow the project.

a. Direct onboarding

![](https://cdn.steemitimages.com/DQmWrxCb7vktj2oGGX6a5CLuLkfbPrWs7MrD9uotc2PdAvW/image.png)

Steemhunt has one of the most convenient and easiest Steem onboarding system developed, that includes a 2-month min. Steem delegation. It reduces the hassle for an account for the Steem blockchain which is, in reality, a very high barrier for new users outside the Steem economy to onboard.

This is the most direct way to increase the account numbers for the Steem blockchain.

b. Indirect onboarding

An indirect way of onboarding is to expand the economy outside of Steem and bring active users to the chain. Splinterlands has already expanded to the Tron chain and it could be not the only chain Splinterlands is expanding. The biggest advantage of this strategy is, that you are targeting an audience that is already used to Blockchain technology and terms. In most cases, also this audience is used to invest in cryptocurrencies.

The Hunt platform is also already running a multi-chain project, as the HUNT token itself is currently an ERC-20 token, which is planned to be swapped to a Luniverse based token.

4. Meaning of partnering with other chains

![](https://cdn.steemitimages.com/DQmThUcUtSuTddimW9MnnZyeotUe9em4DCY5CWBfPwT4uWV/image.png)

There are several beneficial facts about the Steem Blockchain and some hard facts are like below.

  • Only chain to develop based on Proof of Brain
  • Fast and almost free of charge use of Chain (Based on Resource Credits coming from Steem Power)
  • One of the strongest Blockchain community
    Related article link

One downside of Steem is that Steemit Inc.’s main revenue source is selling its liquid Steem on the market which results in an endless spiral of price pressure on the cryptocurrency Steem. Additionally, the only way to for Steemit Inc. to push Steem based projects is delegated Steem, which is great as a marketing tool within the Steem community but also limiting the possibilities to outreach the Steem economy (and increase the user base for a project)

On the other side, there are blockchains and projects that have fundings and also influence the cryptocurrency market that can help a project to get more visibility and also reach more users.

It can start from direct funding to connecting the right contacts and could also mean help to find the right partners for business extensions like increasing the direct user base or listing on exchanges.

5. Halo effect

![](https://cdn.steemitimages.com/DQmeoZwyrq4UzRwnNy4swQMgaEm3X1PrbMZzAdm4RTEbq1A/image.png)

All these kinds of partnerships will have halo effects on each other. Dapps are going to leverage the benefits from each chain for their projects and users. As multichain Dapps are tending to give exposure for all kinds of chains they are using, it will help to increase the visibility not only for the Dapp itself but also for the chains that are onboard of these Dapps.

6. Personal thoughts

The real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will come with the usage of Dapps that will surround our daily life. Blockchain is going to be an underlying technology like we use HTTP without knowing it. The first Killer App for HTTP was E-mail and the revolution came with E-commerce followed by different fields of businesses.

As Blockchain technology comes today together with decentralized financial structures, the struggle from the current world is even higher than we had it from the E-commerce wave, but I am sure that the change has already started and it is going to be adapted even faster than E-commerce has.

Many Steem based projects are showing the first view of the future we will see in Dapps based on Blockchain projects and I think the Hunt project is on a good way to create a successful path for following projects, “How to startup on Blockchain.”


[Coinnews] KISA의 2020년 블록체인 지원 현황

![](https://cdn.steemitimages.com/DQme3xwYNjPSUHzjNezoywQ6JG8GfTW2EynHoDUqQzeeno4/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한국 정부의 경우는 암호화폐 투기에 대해서는 가능한 선에서 제재를 하고 있고, 예상으로는 내년 6월달부터 시작될 FATF의 제재에 맞 현행법도 같이 바꿔야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그와는 별개로 다행이 블록체인 자체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지원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KISA에서는 블록체인 관련 시범 사업을 위해 간담회를 개최했는데, 기사에 의하면 약 9백만불 정도 (100억원)의 지원을 2020년에 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프로젝트들은 각 도시나 도차원에서 필요한 프로젝트에 블록체인을 입히면서 이에 대한 개발을 의뢰하는 형태로 구성이 됩니다.

  • 신뢰기반 기록관리 플랫폼 구축 (국가기록원)
  • 방위사업 지원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방위사업청)
  • 인증서없는 민원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구축 (병무청)
  • 재난재해 예방 및 대응 서비스 구축 (부산시)
  • 의료 융합서비스 시스템 구축 (서울 의료원)
  • 시간제 노동자 권익보호 (서울시)
  • 식품안전관인 서비스 플랫폼 구축 (식약처)
  • 전자우편사서함 (우정사업본부)
  • 전북도 스마트 투어리즘 플랫폼 구축 (전북)
  • 전기차 폐배터리 유통이력 관리 시스템 구축 (제주도)
  • 블록체인 기반 REC 거래소 서비 (한국남부전)
  • 탄소배출권 이력관리시스템 구축 (환경부)
  • 탈중앙화 기부 플랫폼 (이포넷)
  • 블록체인 ID/인증 네트워크 기반 금융, 통신, 교육 분야 서비스 개발 및 응용 확산 사업 (SK 텔레콤)
  • 블록체인 기반 중고차 서비스 플랫폼 개발 (현대 오토에버)
    원본 PDF 링크

개인적인 생각

우선 정부 차원에서 블록체인 기반 기술에 대한 시도를 하기 위해서 재원을 태워서 각종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것은 좋은 현상이라고 평가해야합니다. 기본적인 관심을 가지고 블록체인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를 통해서 앞으로의 먹거리 발전을 위해서 한걸음씩 나아가겠다는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한가지 우려되는 것은, 현재 여러 블록체인 관련 사업에 대한 지원을 추진중에 있는데, 많은 부분은 정부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관계로 PBC (Private Blockchain)이 될 확률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우선 정부 차원에서 자원을 태워서 자체적인 블록체인망을 구성하고 노드를 돌려서 그 바탕으로 서비스들이 개발되도록 하는 것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 이유는 해당 프로젝트들은 실제로 블록체인을 개발해야할 프로젝트라기 보다는 블록체인 기반의 DAPP을 개발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다른 기업들도 비슷하게 하듯이 기존에 존재하는 블록체인필요에 따라서 추가 개발하고 하드포크해서 운영하는 방식을 하던지, 아예 처음부터 개발을 할지는 정해져야하겠지만, 기업 단위의 서비스가 아닌 정부 사업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식약처, 방위사업청등)의 경우네는 통일된 블록체인을 바탕으로 운영이 되면 효율이 확실히 좋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겠죠. 각 부서별로 각각 필요한 부분만 발췌해서 이중, 삼중, 사중으로 비용을 지불하면서 각기 서비스와 그에 따른 블록체인을 개발을 하면서 경쟁적으로 개발이 될 확률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이긴 합니다. 이런 경우의 장점은 비용 지불은 높아질 수 있어도, 경쟁적, 비교적 개발이 되면서 추후 우수한 시스템 개발 될 확률도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앞으로는 특수한 기술이 아니라, 그냥 기본 layer로 깔려 있는 기술중 하나가 될 블록체인의 개발 미래를 한발 먼저 들여다보는 하루였습니다.

[Coinnews] 양자컴퓨터와 블록체인

![](https://cdn.steemitimages.com/DQmcnnYmuQy8hUgkLpuSCFRuGeeH5V5djtnT6ah1vSKVFiM/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이번에 구글에서 Nature지에 실은 논문에는 최초로 양자학 컴퓨터를 개발해서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세계 최고의 슈퍼컴퓨터가 1만년이 걸릴 연산을 양자학 컴퓨터는 200초에 연산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물론 이들 주장에 반박을 하고자 IBM의 컴퓨터학자들은 그들의 슈퍼컴퓨터인 Summit의 경우는 1만년이 아니라 2.5일 정도면 연산이 될것이라고 했지만, 그래도 200초만 연산이 되었다는 것은 대단한 발전인 것은 명확합니다.

이에 따라 한때 암호화폐 가격들도 잠깐 출렁이긴 했는데, 도대체 양자학 컴퓨터와 블록체인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 양자학 컴퓨터란

간단하게는 일반 컴퓨터의 경우는 연산은 1 or 0으로 하는 형태를 취하는데 양자학 컴퓨터는 1과 0을 그리 0과 1의 조합을 동시에 나타내고 저장할 수 있는 양자 비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관계로 연산의 접근방식이 완전히 다르며 이에 따른 연산의 속도차이가 확연하게 들어난다고 합니다. 소스

2. 컴퓨터 연산과 블록체인의 연관성

모든 블록체인이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비트코인의 경우는 pow 방식으로 블록체인에 기록을 하기 위해서 복잡한 연산식을 풀어내는 노드에게 보상을 주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초기 비트코인 연산시에는 CPU만으로 연산이 되어도 비교적 많으 비트코인 보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만, 이 이는 그래픽카드로 넘어가고 최종적으로는 비트코인이나 다른 암호화폐를 전용으로 채굴하기 위한 칩셋을 개발한 ASICS가 개발이 되면서 비트코인 채굴의 HASHRATE를 지배하게 되었습니다.

이 배경으로 현재 ASICS의 대부분을 만들어내는 중국이 가증 높은 해쉬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면 양자학 컴퓨터랑의 연관은?

우선 ASICS의 경우도 결국은 비트코인의 보상을 받기 위해 계산해야할 연산식을 풀기 위해 최적화된 칩셋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른 기능은 없고, 오로지 비트코인의 연산식 계산을 위해 모든 기능들을 집중한 칩셋인 셈이죠.

기존에도 슈퍼컴퓨터가 비트코인 채굴에 참여를 하게 된다면 사실상 51%이상을 순식간에 차지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비트코인이 무너진다는 우려가 있기는 했었습니다. 그보다도 더욱더 뛰어난 양자학 컴퓨터의 경우는 IBM의 주장대로 200초 대비 2.5일일 경우에도 1080배는 빠르기 때문에 비트코인 연산을 풀어내는데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3. 정말 양자학 컴퓨터 때문에 POW는 끝나는것인가?

사실상 그럴 가능성은 적어보입니다. 스탠퍼드의 댄 보네 교수는 지난 24일 발표된 인터뷰에서 언급한것 처럼 사실상 양자학 컴퓨터를 이용해서 블록체인의 노드를 한꺼번에 바꾸려고 한다면 이를 위해서는 최소 30년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예상했습니다. 또한 그 기간동안 예를들어 비트코인의 연산 방식을 하드포크를 통해서 양자학 컴퓨터 수준으로 맞추 아런 문제가 없습니다. (실제 양자학 컴퓨터로 비트코인을 채굴했을 경우 채산성이 맞을지는 둘째치고서라도)

4. 개인적인 생각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을 해왔습니다. 블록체인도 빠른 시간내에 계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고, 사람들과 커뮤니티들은 블록체인 기반의 여러가지 실험들을 하면 발전 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트코인의 POW가 추후 하드포크되어서 어떠한 형태로 바뀔지 모르는 상황에서 무조건적으로 컴퓨터 연산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해서 블록체인 전체가 무너질것으로 본다는 듯한 예견은 조심스러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Coinnews] 중국 국가주도 블록체인 드라이빙 가능성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작일 하루 암호화폐계는 크게 바람이 한번 불어왔습니다. 물론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중국 시진핑 주석의 언급이 비교적 큰 영향을 끼쳤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러면 현재 중국은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전세계 비트코인 Hashrate 50% 이상 운영
  • 거래소와 트레이딩 플랫폼 2017년 말에 전격 금지 (중국발 거래소가 2018년 다 해외로 이주, 바이낸스 포함)
  • Libra 발표 이후 중국 중앙은행 디지탈 화폐 출시 예고 (CBDC)
  • 시진핑 주석 “중국도 블록체인 기술 발전, 업적 혁신을 위한 발전 속도를 내야 한다” 고 언급

기본적인 그림은 여전히 비트코인이나 다른 암호화폐용 Asics의 제조는 100% 다 중국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Asics회사도 다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거래규모의 경우는 중국내의 암호화폐 거래소가 금지된 이후에 제대로 잡히지는 않지만, 많은 암호화폐의 경우 중국의 고래들이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실제로 프로젝트들도 중에 시작된 경우가 많고 (트론, 질리카, 네오등) 아니면 자산 보유량이 대부분 중국인들 손에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EOS)

이렇듯, 중국 주석의 블록체인 관련 긍정적인 언급은 암호화폐 커뮤니티에도 매우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이 한가지가 있긴 합니다.

정책상 블록체인을 양성하자는 취지와 암호화폐 트레이딩에 대한 개방이나 지원등은 다르다는 이야기입니다. 큰 그림을 보면 현재 리브라의 경우는 페북이 진행한다는 미명하에 국가별 공격으로 주춤하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는 CBDC를 이번 시진핑 주석의 언급 이후 더욱 빠르게 밀고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때 주시해야하는 것은 실제로 중국의 finance market이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신용카드라는 금융제품이 널리 활용되고 정착된 곳에는 새로운 금융상품이 자리를 잡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는 기존 상품들의 ‘텃새’와도 비슷한 소비자들의 습관과 기업들의 혁신 의지가 없을때 일어나는 시너지 효과입니다.

중국의 경우는 신용카드라는 금융제품이 자리를 잡기 전에 ‘바코드’ 결제라는 제품이 시장을 잠식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TmHXUHKzDB3gNNP8DEaJ3AGrBf9h7yBCJY7CSFYex1Zh/image.png) [Source: South china Morning Post](https://www.scmp.com)

실제로 일반 시장에서 결제가 바코드로 이루어지는것 뿐만 아니라 길거리의 상인들 조차도 바코드를 인쇄하고 결제를 받을 정도로 확산및 정착이 되어 있습니다. 이는 바코드 결제를 통해 중국내에 제 2의 화폐가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시장에서 중국 중앙은해엣어 블록체인 기반이나 디자탈 기반 CBDC는 충분히 정착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며, 중국 내수정도의 규모로도 충분히 큰 금융시장을 형성 할 수 있습니다. 이에 CBDC는 스테이블 코인을 표항하는 관계로 가치적으로는 기업 규모가 아닌 중국 정부가 이를 보장할 것으로 가장 먼저 치고 나가는 대규모 스테이블 코인이 될 것으로 여겨집니다.

개인적인 생각

중국의 블록체인 관련 발돋움이 국제 금융 시장과 암호화폐 전체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은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CBDC가 발행되었을 시, 어떤 조건과 어떤 담보를 바탕으로 설계되는지에 따라 그 안전성과 가치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직은 위안화가 국제 화폐로의 공식적인 위치를 확고히 잡지 못한 상황이라서, 이를 바탕으로 스테이블하게 설계된 디지탈 화폐의 스테이블성과 환전성을 얼만큼 보장받으며 국제 금융 (암호화폐 시장)에서 받아들여질지도 두고 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각 국가별 중앙은행들의 움직임이 바빠질것으로 보이기는 합니다. 중국이 먼저 치고 나갔을 경우, 리브라의 허용을 통해 대항마를 만들게 될지, 아니면 좀더 가능성이 높은 각 주요국의 중앙은행들도 각기 암호화폐/디지탈 화폐 프로젝트들을 더욱 빠르게 추진해서 정착시키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Coinnews] 텔레그램의 Gram 토큰 최종 2020년 4월 30일 런칭으로 합의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미국 SEC의 공식적인 제재로 현재 2018년도에 약 2조원의 ICO 펀딩을 성공한 프로젝트인 GRAM 토큰이 계약서상 약속했던 2019년 10월내에 런칭하기로 한 계획이 공식적으로 무산되었습니다. 이에 TON 측은 투자자들에게 2020년 4월 30일일까지 연장을 위한 투표를 하거나 초기 투자금의 77%를 돌겠다는 오퍼를 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초기 투자금을 손해를 보고 환수를 하는것을 포기하고 프로젝트가 런칭할 수 있도록 투자금을 묶어두고 내년 4월까지 기다리기로 결정했습니다. 또한 이 7개동안 Gram토큰과 TON 블록체인은 추가적으로 8천만 불을 펀딩에서 더 쓰겠다고 했으며, 이것 역시 투표를 통해 같이 결정이 되었습니다.

코인데스크에 의하면 투자자들과의 비공식 인터뷰를 통해 접한 소식은 투자자들 조차도 TON측이 SEC와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할것이라고 본다고 합니다.

EOS의 경우도 런칭후 SEC가 치고 들어가서 결국 최초 ERC-20기반으로 판매했던 토큰에 대해서 ICO 대금 대비 0.58%를 벌금으로 지불했었습니다. 대신 EOS 자체는 시큐리티로 취급하지 않기로 결졍이 되어서 오히려 잘 풀어낸 경우라고 볼 수 도 있습니다.

TON 투자자들의 경우는 GRAM과 TON은 EOS와는 조금 다른 결론 날 수 있을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공식적인 TON 투자자의 입장은 아마도 4월 30일이 되면 런칭을 하되, SEC에는 결국 이기지는 못할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도 이번 연기에 동의를 한 것은 그들이 결국 투자자이기 때문입니다.

1차 ICO때는 개당 0.37USD, 2차때는 1.33USD로 판매가 되었었고, 세컨더리 마켓에서 판매가 금지되어 있지만서도 (아직 토큰 발행이 안되어서 실제로 넘길 수 가 없습니다.) 그래도 지하 마켓이 형성이 되고 있고, 이미 8월달에 1.6-2USD 정도의 가격에서 거래가 되고 있었습니다. 이는 1차 ICO때 참여했다면 최대 500%이상의 수익률을 보이는 것입니다.

그에반해 투자금 회수를 결정했을때에는 원금의 77% 밖에는 회수를 못하는 관계로 무조건 손절이 되는 형태입니다. 즉, 적어도 투자자들은 1차구매시에는 런칭 후에는 그 이상의 가격으로 매도가 가능할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심지어 SEC에게 질 경우 주요 마켓인 미국, 러시아, 중국및 일부 유럽 국가들까지 투자및 매수층으로써 잃게 되는 사태까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인데도 그렇게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내년 6월달에 발효될 FATF의 강력한 제재들이 지금부터 이미 미국등을 비롯해서 움직여지는 것을 보면 내년 이후의 우리가 접하는 암호화폐계가 많이 변할것이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습니다.

[Coinnews] 리브라와 페이스북의 유체이탈 전략


소스: APnews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리브라 재단은 페이스북이 만들어낸 프로젝트이지만 실제로 비영리 재단이며 페이스북도 재단 설립 목적에 맞게 다른 노드 운영자와 같이 1개의 투표권밖에는 없습니다.

이전에 이미 주요 PG들이 Libra 프로젝트에서 빠지고 각 국가들의 제재가 점점 강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미국의 경우는 그동안 사용자들의 개인정보 유출등과 같은 피해들이 있으며 소셜 미디어에서 거의 독점적 위치에 있는 것을 우려하면서 리브라 역시 페이스북의 영향으로 통화의 독점적 위치를 차지할 것을 우려해서 어떻게던 막겠다는 취지로 제재를 점점 조여가고 있는 상태입니다.

반대로 페이스북의 수장인 마크 저커버그는 이론적으로는 맞게, 페이스북이 갖고 있는 리브라의 영향력은 실제로 다른 노드 운영자들과 마찬가지로 투표권 1개밖에 없다는 것과, 페이스북 입장은 리브라를 규제에 맞추지 않고 미리 런칭하는것은 적극 반대한다는 주장을 계속 펼치고 있습니다.

“I believe we would be forced to leave the association.” , by Zuckerberg

이 답변은 페북의 입장은 리브라를 규제안에 맞추지 않고 조기 런칭하는 것에 대해 반대를 한다는 것이며, 만약에 런칭이 된다면 페북의 경우 오히려 리브라 재단에서 쫓겨날 것으로 보인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다른 질문에도 계속됩니다. 리브라 시작이 되면 중요 한것은 AML이며, AML을 위해서는 지갑 사용시 KYC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 저커버그에거 질문을 했을때 처음에는 비인증 지갑에 대해 돌려서 대답을 했다가, 계속적으로 파고 들어가니까 리브라 전체에 대해서 언급을 회피하고, 적어도 페이스북의 입장에 대해서는 약속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I can’t speak for the whole association, you have my commitment from Facebook.”, by Zuckerberg

이는 저커버그가 리브라에 대해 받고 있는 관심을 점점 떨쳐내고, 리브라 재단이 자체적으로 관심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스쳐인것으로 해석됩니다.

개인적인 생각

아직까지는 리브라 재단은 너무나도 깊숙하게 페이스북과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개발과 로드맵 및 비젼까지도 결국은 페이스북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 상태라서 초기에는 리브라 재단과 페이스북의 연관을 부정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른 프로젝트들의 경우도 대투자자나 초기 프로젝트를 런칭하면서 그 사람들의 영향으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발전을 하게 되는 사례들이 있기는 합니다. 결국은 리브라 재단은 페이스북의 냄새를 성공적으로 지워야지 런칭을 할 수 있는 기회라도 얻을 수 있을거으로 보입니다. 저커버그가 실제로 페이스북의 주식은 일부만 갖고 있는데, 투표권한은 50%이상을 여전히 유지한 것을 보면 리브라 내에서도 페이스북이 갖고 있는 투표권은 1개일지라도 다른 방안으로 컨트롤을 할 수 있는 장치는 그래도 심어두지 않았을까 라는 개인적인 생각은 합니다.

적어도 런칭을 하고 나서 관계형성은 미중은행과 대통령과의 관계와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는 없으나, 분명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계의 형성.

[TripleA] 큐레이션 계정 배분 자동화 및 임대 제한 없음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NUjQL6zYMjUo2P3WcjX1RzR3fLCrw26sNekCHKMcfi23/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상세한 레포트는 @segyepark님께서 따로 작성하기로 하셨지만, 우선 기본적으로 주말동안 작업이 완료되어 @triple.aaa에서 발생하는 큐레이션 리워드에 대한 분배 시스템이 완료되었습니다.

임대자분들께서 아셔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임대 금액에 대한 제한 없음

이전에는 매뉴얼 정산 작업에 따른 임대 금액이 제한이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1000단위로 조정을 했습니다만, 이제 그 제한은 없습니다. 원하시는 금액의 스파를 자유롭게 임대해주시면 됩니다.

2. 임대기간에 따른 배상 변경

이전에는 7일후 배상을 모아서 배분을 드렸습니다. (1회 실행) 하지만 이제 자동화가 되어 있는 관계로 임대후 늦어도 24시간후에는 첫 배상을 받게 되도록 설계가 되었습니다. 다만, 임대 철회후에는 곧바로 배상 대상에서 제외되는 설계입니다.

3. 이전 트플a 봇 임대 회수 요청

현재 이전에 운영되었던 트플a의 봇은 운영이 중단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아직 일부 유저분들의 경우 임대를 철회하지 않으신 경우가 있어서 여기서 다시 한번 임대 회수 요청을 드립니다.

@autoway
@eastmael
@himart
@kimegggg
@kimjaguar
@kingbit
@menerva
@new-jersey
@newcastle-united
@praful
@raah
@sinner264
@storysharing
@strosalia
@theartisticcrew
@yonghwanny

[Tipu] 티퓨 큐레이션 핵심 팁

![](https://cdn.steemitimages.com/DQmV9P5kRg1jPdmqjdLbytq677ov9nQaxnU25wyd6SG6Sy4/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Tipu많이들 하시죠? 게임화 되어서 이제는 4-5분 내에 누군가 모르는 사람일지언정 와서 티퓨 댓글 달고 0.2-1STU를 찍고 가는 경우가 많죠.

보통들 한번씩 찍고 나서 minus로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몇일동안 해본 결과 상위 랭킹을 하기 위한 핵심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시간 타이밍

보통 업보팅을 할때 가능한 4-5분 포스팅후 업보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그때까지 보통은 업보팅이 많이 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조심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보통 업보팅을 할때 Tipu 1%정도로 업보팅이 되는데, 예를 들어 @jayplayco 계정에 업보팅을 하려면 적어도 4분 초반대에 업보팅을 해야합니다.

그 이유는 제 계정에는 자동 보팅이 많이 걸려 있는 관계로 5분부터 STU가 최소 8-9STU가 찍히는 관계로 그 이후에 tipu를 걸어버리면 티뷰 보팅외에 상당히 큰 금액이 들어와야 100%의 계산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 메인 이유는 큐레이션의 경우는 0.5 비선형 보팅인 관계로 금액을 늦게 업보팅할수록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또한 트플A의 매뉴얼 큐레이션이 자동 업보팅된 계정보다 효율이 절대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합니다.

2. 어떤 글에 업보팅?

우선 업보팅이 많이 되는 계정들을 알고 있는 것이 유리합니다. 즉 자신만의 화이트리스트를 만드는것이 필요합니다. 이중에 보팅토큰이 되어 있거나 SCT활동을 왕성하게 해서 krwp보팅등을 많이 받는 계정등을 정리해서 관찰을 하거나 주시해야할것입니다. 스팀잇에서 태그별 최신글을 예를들어 AAA나 SCT, ZZAN등으로 설정하고 최신글을 쓴 계정이 업보팅을 많이 받으 것으로 예상될 경우 4-5분대에서 tipu를 걸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이런 종류의 글도 역시 상당히 경쟁이 심합니다. 몇초 늦었을때 다른 사람 역시 이미 보고 있어서 먼저 찍을 경우가 있습니다.

그외에 가끔 외면된 글들이 있습니다. TripleA의 글의 경우에 그런 경우가 가끔 보입니다. 즉, 리뷰내용 (한글이던 영문이던)은 나쁘지 않고, 태그및 평점, DB링크까지 걸었는데, 매뉴얼 큐레이션인 관계로 아직 큐레가 안되었으나 현재 STU 업보팅은 0.01-0.10정도밖에 안찍힌 글들이 있습니다. 이런 숨겨진 글들을 찾으면 5시간이나 10시간이상 지났을 경우에도 이후 효율이 상당히 좋은 편입니다.

3. 기억해야할 규칙

  • 2일 이상 지난글에는 티퓨를 해도 오지 않는다.
  • STU가 0.3-0.5이상 찍혔을 경우에는 티퓨하고 나서 최소 2STU가 더 찍혀야지 본전이 됩니다. (내가 찍은 이후 전체찍힌 STU의 약 2배 이상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긴 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QmGZ1N9khxV9sfiaTw7mBGSdb8bkAU3qeofpNNkmGmYh/image.png)

예시글의 경우 3STU가 추가로 찍혔으나, TIPU 효율은 116%로 나옵니다. 기존 찍힌 STU가 0.3-0-5이상이 되어서 그렇습니다.

  • STU가 이미 1$ STU 이상 찍힌 글의 경우는 TIPU를 할 경우 이후에 20-40$ STU가 더 찍히지 않은 경우에는 마이너스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june0620님이 제 글에 약 19$ STU가 찍힌 상태에서티퓨를 걸어주셨습니다.

그리고 이후 추가로 큐레가 들어와서 총 큐레는 약 29$ STU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티퓨에 들어가서 효율을 보면 현재는 58% (즉 -42%)의 효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 큐레이션을 할때 명령어를 쓰면 더 많은 업보팅을 줄 수 있다. (자기 Mana안에서)

    tipu curate 2 나 tipu curate 3 과 같이 쓰면 2배, 3배의 업보팅이 갑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tipu curate 2를 해서 2배의 업보팅이 가도록 했을 경우, 그이후 최소 그 두배의 업보팅이 더 들어와야 손해가 안납니다. 즉, 아직 아무것도 안찍혔을때 tipu curate 2를 해서 약 1.5 STU가 찍혔으면 그 이후 최소 3 STU 정도가 찍혀야지 minus가 안난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3. 티뷰 큐레 랭킹 올리기 위한 간단 법칙

  • STU가 0.01-.0.05정도 찍힌 글에 티퓨를 한다.
  • 해당 글의 경우는 이후 최소 2-5STU를 받는 것이 확신이 되어야 한다.
  • STU가 높은 글, 특히 1STU 이상의 글은 티뷰를 하지 않는다.

정도만 지켜도 랭킹을 올리는데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하루 큐레 총 보상이 10STEEM이지만 티퓨팀에서 이를 10배 올려서 100Steem으로 올린다고 하니, 랭킹이 어느정도 올라갈 경우 하루 1-2스팀 정도는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결국 농동력에 비해서는 적은 규모라서, 다른분들 큐레 찍어주는 재미에 하는 것이 맞다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는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어뷰징도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아마도 Tipu도 지속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어서 대응을 할 것으로 예상은 됩니다.

[TripleA] 매뉴얼 큐레이션이 가져다주는 변화

![](https://cdn.steemitimages.com/DQmZM4z5RTSzU7Xa5KKK6uhTwo8n2SGRdtqAXwmTQu488WU/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이제 매일 TripleA의 모든 글을 읽으면서 매뉴얼 큐레이션을 시작한지도 3주가 되었네요.

트플A의 UI 변경과 더불어 매뉴얼 큐레이션도 비슷한 시기에 시작이 되었습니다만, 확실하게 변화가 오고 있는것이 느껴집니다.

1. 데이타의 정리와 축적

매뉴얼 큐레이션과 더불어 트플A의 경우는 비연관 포스팅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경고후 재발생시 영구 블랙리스트로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조치는 특히 해외 유저분들의 경우 요즘 유행하고 있는 “태그 mining”에 따라 태그의 종류가 무엇인지도 모르고 무작정 넣어보는 현상때문에 전혀 연관 없는 내용이 올라오는 현상입니다.

물론 리뷰만 따로 들어가고 있고, 양식이 맞춰지지 않은 경우는 최신글에만 흘러가듯 보이기는 하지만, 추후 카테고리를 통해 세분화를 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플랫폼에 보이는 Data의 정렬및 정리가 필요해서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작업의 경우는 자동화가 아닌 수동 작업으로 처리를 하고 있으며, 해외글의 경우는 영문,독문이 아닐 경우는 번역기를 통해 텍스트 인식을 해서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AAA 태그를 달아도 완전 블랙리스트가 아닌 Plagiarism을 통한 리뷰나 블랙리스트된 유저의 리뷰는 트플A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어 있습니다. 현재 최신글의 경우는 Nitrous의 기능을 아직 그대로 구현하고 있는 관계로 포스팅 단위의 가림은 구현되지 않았으나, 이 역시 추후 작업이 될 예저입니다.

2. 매뉴얼 큐레이션의 2 단계

사실 업보팅을 통한 매뉴얼 큐레이션이 1 단계였으면, 이는 2단계를 위한 준비작업이기도 합니다. 한 홈페이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메인페이지에서 상단 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 부분은 사실상 서비스를 하는 입장에서는 매뉴얼 큐레이션과 부각을 통해서 유저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어필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Ww7q9YrRnjdofbg7CG4cGoULcV96CZGCW4XPt42RCXpa/image.png) [예시: 로튼 토마토](https://www.rottentomatoes.com/)

트플A도 최종적으로는 이 공간에 대한 활용을 최대한 하고자 하며, 단계별로는 매뉴얼 큐레이션된 리뷰중에 언어별로 (한국어/영어) 추천할만한 리뷰들을 부각을 시키고자 합니다. 이 작업은 현재 우리의 마법사 @segyepark님께서 진행중이시고 곧 선보일 수 있을걸로 보입니다.

리뷰어분들에게는 더욱더 많은 노출을 선보일 수 있고, 매뉴얼 큐레이션을 통한 선별로 지속적으로 영감을 받고 볼만한 영화를 찾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3. 찍히는 보상이 보였을때 이것이 주는 영향

트플A의 경우는 현재 포스팅을 다 읽기 전까지는 얼마의 보상이 찍혀있는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또한 보상 규모를 바탕으로 포스팅을 정렬하지도 보여주지도 않습니다. 이에 따라 실제 사용자분들의 경우는 트플A에서 접속해서 리뷰를 보실 경우는 보상 규모에 대한 영향력 없이 포스팅을 보시고, 실제로 이로 인해 사이트에 머무는 시간은 많이 늘었고 이탈율도 줄어들었습니다. 사실 매우 정상적인 논리이긴 합니다. 컨텐츠를 보고 나서 좋아요나 업보팅을 하는 것이 우리가 평소에도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방법이니까요.

4. 개인적인 생각

트플A 프로젝트는 하나씩 단계를 커뮤니티와 함께 밟아가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루하루 한국과 특히 해외의 경우 새로운 작가분들이 도착하고 꾸준하게 활동을 하고 계셔서 리뷰사이트가 가져야할 전문성을 점차 다듬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을것이고, 특히 외부 유저의 유입을 위한 준비가 끝나고 마케팅을 시작하고 나면 현재의 트플A 커뮤니티와 플랫폼은 이들을 받을 준비를 하나씩 하고 있어서 앞날이 기대가 됩니다.

[Coinnews] 텔레그램 GRAM 토큰 SEC 때문에 런칭 연기

![](https://cdn.steemitimages.com/DQmd6rbn4DErA7quSbDACf8iSxKY87yC5ievPhh3ji7fsMg/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암호화폐계나 해외에서 많이 쓰이는 텔레그램이라는 메신저에서 ICO를 2018년도에 진행했었습니다. 여기서 판매되었던 토큰이 GRAM 이며 이를 위한 TON 블록체인은 이번 10월 말에 런칭을 예정하였으나 현재 내년4월달로 연기가 되었습니다.이는 미국의 SEC가 지난 10월 11일날 공식적으로 긴급으로 약 2조원에 해당하는 GRAM 토큰의 발행을 막았기 때문입니다.

SEC입장에서는 GRAM의 발행이 미국내에서는 불법이라고 판명을 했습니다. SEC의 긴급 공지를 보면 몇가지 상세 사항들이 나옵니다만, 총 29억개 가량의 GRAM토큰이 판매가 되었다고 하며 이는 총 171명의 바이어에게 판매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GRAM의 경우는 한정된 고래들에게만 판매를 하는 전략으로 ICO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이 171명중 39명의 바이어가 1조개가 넘는 GRAM을 구매한 것으로 나와, 미국의 GRAM 보유량이 홀더수에 비해서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계약서상 늦어도 2019년 10월 31일 까지는 GRAM을 판매할 수 있도록 기술적 조치를 하기로 했었다는 것입니다.

SEC의 경우는 이러한 계약조건을 바탕으로 긴급 조치로 텔레그램의 GRAM 토큰을 멈춘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지난번 EOS와 SEC가 합의한 결과가 2천4백만불 “밖에” 안되어서 (EOS는 총 4조원이 넘는 금액을 펀딩했습니다.) 텔레그램과의 협상 우위를 지키기 위해서 조치가 된것이 아닌가는 생각도 듭니다. EOS는 최종적으로 Security로 공식적으로 등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결론이 났으며, TON 블록체인의 GRAM도 비슷하게 네고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텔레그램측은 이제 GRAM 바이어들에게 런칭 시기를 2020년 4월로 늦추자고 공식적으로 제안을 했으며, 이에 10월 23일까지 동의하거나 반대하지 않을 경우 (사인을 하지 않을 경우) 투자금의 약 77%를 돌려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24일날 뉴욕에서 GRAM건 관련 법원 심리가 예정되어 있어서 정해진 날짜인것으로 보입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