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nt] Steemhunt 2.0 and the meaning of swapping Hunt to Luniverse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NTS1dAKghMquDtGvem9HcqqDFvHGTe2UCUP9sjxstZ9T/hunt-platform.jpg

Hi, @jayplayco here.

The team behind Hunt has announced a few updates about the environment regarding the Hunt economy. I would like to give a personal view on this announcement

0. Background

The Hunt team is now already more than 1 1/2 year ongoing on their project Steemhunt and have shortly before introduced Reviewhunt. With Steemhunt a community based hunting platform for new and cool products has been established with more than ten thousand hunters worldwide. Also Reviewhunt is changing the way how companies can get in contact with influencers and tech geeks. The Hunt economy is now moving forward to create and finish the economic circle.

1. Hunt Token is moving to Luniverse. Why?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a5cK629Qar1sR4M7v2aGZoArmiZfEcAVqGHTL4MMSTvo/hunt-luniverse.jpg

Steemhunt was planned as an SMT project based on Steem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team wanted a working self-sustained community based on POB (Proof of Brain). Steem and SMT was the perfect background for it with an existing community and also the needed technology behind when SMT launched. This plan has not changed, but due to the fact that the launch of SMT had been delayed and also the environment for Blockchain projects have evolved, the Hunt team rearranged the strategy based on these facts.

The big picture is to create a Hunt Dapp environment where services and 3rd party Dapps can launch their projects within an existing community. To fulfill this picture the Hunt environment is using Luniverse. Luniverse is a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which is a relatively new concept. Similar to SAAS (Software as a service), Luniverse is offering tools and the environment needed to create Dapps without having to concentrate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but more and the service your Blockchain is offering. Link to Luniverse It means that the basic requirements to be able to scale the economy and also to onboard new Dapps is given with Luniverse.

Another advantage that the Luniverse partnership gives is that the mother company is Dunamu, running one of the biggest Crypto exchanges Upbit in Korea. Getting support based on their influence and experience will help to push the Hunt economy further.

2. HUNT token and STH token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PvVVBGJdzm9VQJGWtXfLQ3V3dNBVrdFGt51SWtkTgxsA/steemhunt-2.jpg

Steemhunt is going to have also big changes after the launch of SMT. A short summary of the parts effected is as below.

  • HUNT tokens based on ERC-20 are going to be swapped to Luniverse based tokens.
  • Steemhunt is moving to Phase 2.0 and switch to SMT with an own token called STH
  • Steemhunt will establish the token environment based on POB
  • HUNT tokens bounties are going to be stopped after the launch of STH and burned. (from the 50% Airdrop pool)
  • STH tokens can be acquired with Hunt tokens at a rate of 1:10 for a limited time.
  • The Genesis Qty is going to be fixed based on the exchange ratio for Hunt to STH.
  • A new roadmap for the Hunt economy (new services and 3rd party Dapp support)

a. STH Token

Steemhunt is currently upvoting based on delegated Steem and also offering Hunt tokens based on bounties or when you upvote postings at Steemhunt with Steem. After switching the system to full POB based on the STH token, it is going to be possible to have a self-sustained community that can create value on their own. The current plan for the settings is to have the Genesis Qty. based on the exchange rate of Hunt tokens into STH, which will then have an inflation rate of 10% for the first year and decreasing 1% each year until it reaches finally an inflation rate of 1% after 10 years.

The current market cap for HUNT tokens is about 400K USD and if we would estimate a exchange of about 25% into STH, it would give the Steemhunt economy a starting market cap of 100K USD. After the launch of STH the prices for STH and HUNT tokens would develop on their own, as STH would be paired with Steem on the DEX and HUNT as Luniverse Token based on the pairs that would be listed on exchanges.

As we have seen on multiple Nitrous and Scotbot projects based on Steem-Engine, a strong community is developing the token environment into a healthy curve.

b. The reorganization of HUNT token economy

The current max supply is set for 500 Million HUNT tokens. 50%, means 250 Million Hunt tokens were planned to build up the community and be used as bounty. As the project has now developed and the switch to STH tokens based on SMT is imminent, the team decided to burn the remained HUNT tokens that are left from the 250 Million Hunt tokens for Airdrop.

![](https://cdn.steemitimages.com/DQmf4LLp8Hs4NwqPQJhht1NSsKjqY5v5XfNtFrT5b52kATg/image.png)

As only 34% of the planned Qty had been distributed, at least 125 Million Hunt tokens are going to be burned after the switch to an SMT based STH token. This means that at least 25% of the whole HUNT token supply is going to be burned.

Additionally, all Hunt tokens that are going to be swapped to STH tokens are additionally going to be burned, which could theoretically increase the burned Qty. up to 42% of the whole Hunt token economy.

The biggest part would be, that after switching to STH, it will be going to be more difficult than before the get your hands on HUNT tokens, as Steemhunt is not going to reward anymore with HUNT but with STH.

3. Next Steps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a9jJ7uPnTboRv5PvP83MLrbhDqmmpFyo4dSvtmpFyHBf/intime.jpg

Ideahunt, a crowdfunding platform with smart contracts for backers to increase the profit for early investors and Intime, a time sales platform based on purchase and tradeable person’s hours are the next Dapps that are planned for the HUNT economy. Also, 3rd party services that can leverage the HUNT community and if needed the Luniverse BAAS economy are invited to align with the HUNT token economy.

There is a lot of work to do for the team, not only product-wise but also on finetuning the economy and strengthen the partnerships. Based on the proofed track, which the Hunt team has shown until now, I personally think that we have exciting times coming for the Hunt community.



Connect with Steemhunt:
Discord | Telegram | Twitter


Disclaimer: This is not advice for investments or a financial advisor. All information given here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Steemit] Hive 커뮤니티에 대한 이해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soyrosa/quGMLzLQ-communities.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오늘 @soyrosa분께서 앞으로 나올 하이브 커뮤니티에 대해서 요약 정리를 참 잘 해주셨습니다. 최근에 스팀잇 재단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이전과는 달리 확연히 달라진것을 느낄 수 있는데요, 소통을 이전과는 달리 많이 한다는 것입니다. 그중 한가지가 비디오 화상쳇이나 온라인 스팀 라디오 톡쇼와 같은 곳에 출연해서 최근에 대한 소식이나 궁금증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쓰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 15일 한국시간 오전 5시경 @pennsif님이 운영하시는 온라인 토크쇼에 스팀잇에서 시니어 제품 엔지니어를 하고 있는 @roadscape분과 스팀잇 MD(매니징 다이렉터)인 @elipowell 님과 참석한 것으로 보입니다.


1. 커뮤니티란?

우선 커뮤니티를 이야기 하기 전에 스팀잇의 UI를 이해해야 합니다. 스팀잇의 경우는 수많은 나라와 관심사들을 가진 사람들이 한곳에 모여 각자의 내용을 포스팅하고 댓글로 소통하는 곳입니다. 검색 기능이라는 것도 사실 유명무실해서 느낌상으로는 페북이나 인스타그램처럼 휘발성 포스팅을 보는 UI를 구성하고 있습니다만, 막상 POB때문에 글을 막 쓰면 커뮤니티에서 제재가 들어가는 움직임을 볼 수 있는 특이한 곳입니다.

또한 UI 상 포스팅 구분이 가능한 것은 4가지 카테고리랑 자신이 팔로우한 사람들의 피드 정도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XGB1byYtuqKCcFkBdG6ixMmiGMVp1BhgyqXfotDhXxuR/image.png)

문제는 대세글의 경우는 로직 자체가 단순히 특정 시간이내 많은 STU가 찍힌 기준이라는 것과 최신글에는 필터링 없이 단순히 시간대별로 나열하는 관계로 유명무실해진 태그 사용으로 어느정도 구분이 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사용환경이 매 전근대적이것은 사실입니다. 즉, UI적으로는 빠른고 간편한 한줄짜리 소비성 소셜 미디어도 아니고 미디엄처럼 큐레이션되어서 하이라이트가 퀄러티 중심의 UI도 아닌 것이였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개발중인 커뮤니티 기능의 경우는 기존 레딧(reddit)이 가진 subreddit의 개념과 가깝다고 생각하시면 될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서 레딧의메인화면은 각종 커뮤니티에서 나오는 인기있는 글들이 보인다면, 섭레딧으로 들어갈 경우 아예 모양이 약간 다르고 포스팅도 해당 커뮤니티에 특색화되어 있는 모양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cVF9UUij7qqdjHmu9a3NfmgACZNbx87WqkARSUbQvCWa/image.png) [예시: 썸네일 트랜딩을 포함한 레딧 전체 포스팅중 인기있는 포스팅을 보여줌]
![](https://cdn.steemitimages.com/DQmSyuTRFkyB4JxG4FUXkK3L7dHBjoj6RXXL53Yc8pVRgkN/image.png) [예시: 스팀헌트의 레딧은 배경색상부터 변경을 하고 포스팅도 스팀헌트 관련 내용만 올라옴]

이것은 커뮤니티 기능이 만들어질 경우 예를 들어 KR 커뮤니티나 코인 커뮤니티, 트리플A와 같은 영화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게 되면서 구독자나 참여자를 늘려가는 방안으로 갈 수 있습니다.

2. 커뮤니티 생성후 사용상의 변화

우선 커뮤니티 세팅은 steemitwallet에서 기본적으로 한다고 합니다. 커뮤니티의 이름과 짧은 설명을 세팅하면 커뮤니티의 어드민이 됩니다. 추가적인 세팅은 steemit.com에서 이루어지 어떤 종류의 태그를 연동시킬지나 사진을 포스팅하기 위한 최소 조건등을 정할 수 있을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어드민은 모더레이터를 설정해서 일부 포스팅을 뮤팅을 통해 숨기거나 Pin기능을 통해서 highlight할수도 있는 기능이 있을 거라고 합니다. 즉, 내용에 맞지 않거나 잘못되거나 제재가 되어야 하는 포스팅의 경우는 해당 커뮤니티에서는 보이지 않을 것이며, 커뮤니티를 위한 공지글이나 중요한 글들은 pinning을 통해서 상단 노출이 가능해집니다.

비용은 현재 최소 비용인 3 Steem으로 나오고 있으나, 이는 아직 확정까지는 아니라서 변경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커뮤니티가 만들어지고 나면 관심이 있는 커뮤니티를 등록하고 스팀잇상에서 자기의 커뮤니티만 방문해서 원하는 내용을 보면 될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 보면 현재의 나이트로 기반의 tribe와도 비슷합니다. Tribe들도 일반적으로는 주제나 성격으로 나뉘어서 활동을 하고 있었으니까요. 그러나 트라이브는 보통 Scot을 붙여서 토큰까지 생성하는것에 반해 커뮤니티는 토큰 생성까지는 동반되지 않고 (SMT로 추후 할 수 도 있겠지만) 단순히 관심있는 주제에 대한 친목을 스팀 기반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즉, 예를 들어 저의 경우는 KR, 영화, 코인뉴스, 스몬, 스팀및 스팀잇등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해당 커뮤니티를 구독하고 그 내용들만 보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UI상 변경으로 대세글, 인기글등에 대한 정의나 표시도 변경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3. 커뮤니티를 통한 gamification

@soyrosa님의 글을 보면 해당 내용이 언급이 되어 있습니다. 상세한 사항은 현재 없고 brainstorming으로 커뮤니티를 단단하게 하기 위해서 랭킹, 랭킹에 따른 추가 혜택, 자체적인 앱 개발, 컨덴서 사용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컨덴서가 따로 사용될 경우는 토큰 없는 나이트로스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고, 이를 바탕으로 전반적이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https://www.triplea.reviews의 UI와 앞으로 변할 모습과 형태를 보시면 짐작을 하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런칭 시기

아직까지 SMT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런칭시기는 언급하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roadscape분이 closed beta의 경우는 몇주안에 준비가 될것이라고 했으며, UI와 Data를 Steemit에서 처리하는 방식의 변경인 관계로 하드포크도 필요 없을 것이라고 합니다.

5. 개인적인 생각

한국 유저분들의 경우 이미 트라이브로 이동을 해서 트플A, 짠, 스코판, 사고다등에서 활동을 하고 부분적으로는 스팀잇은 아예 안보시는 분들도 생기는 것으 알고 있습니다. 커뮤니티를 위한 UI의 개편으로 관심 niche의 segmentation이 일어나게 되면 스팀잇도 더이상 주제의 melting pot이 아닌 subreddit 처럼 niche targeting이 되면서 포스팅의 형태도 많이 바뀔 것으로 생각됩니다. 즉, niche로 들어가서 포스팅할 경우 굳이 무겁고 긴 전문성글 보다는 짧고 간편하게 일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듯 글과 댓글로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참조글

[헌트] 이번 스팀헌트 2.0 발표와 루니버스 스왑의 의미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NTS1dAKghMquDtGvem9HcqqDFvHGTe2UCUP9sjxstZ9T/hunt-platform.jp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헌트 팀에서 이번 대형 소식을 가지고 와서 이에 대한 배경과 그 영향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드리고 합니다. 상세한 사항은 하기 헌트팀의 상세 공지를 보시길 부탁드립니다.

0. 배경

헌트 팀에서는 이미 1년 반전에 스팀헌트라는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를 런칭하면서 스팀에서도 파격적인 마케팅과 에어드랍으로 관심을 받으면서 지속적으로 많은 헌터들을 양성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습니다. 이에 추가적으로 최근에 리뷰헌트라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까지 런칭을 하면서 영역을 넓혀가고 헌트 이코노미를 단계적으로 완성해가고 있었습니다.

사실상 스팀헌트의 경우는 초기부터 SMT 프로젝트로 기획을 하고 진행이 되었는데, 이번해 3월에 런칭하기로 했던 SMT가 늦어지는 바람에 현재 상태 그대로 유지가 되고 있었습니다.

스팀헌트의 경우는 현재 스팀의 POB로 운영이 되며, 일부 바운티는 HUNT 토큰으로 지급되는 멀티체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반해 새로 런칭한 리뷰헌트는 B2B기반 프로젝트라서 헌트 토큰 기반의 플랫폼입니다.

전반적인 헌트 이코노미를 완성하고 단단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 임시로 지정이 되어 있는 ERC-20기반 헌트 토큰이 자리 잡고 스케일링을 할 수 있도록 전략적 계획이 필요했습니다.

1. 헌트토큰은 루니버스로 이동합니다. 왜?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a5cK629Qar1sR4M7v2aGZoArmiZfEcAVqGHTL4MMSTvo/hunt-luniverse.jpg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스팀헌트와 헌트토큰의 개별적 시스템을 이해해야 합니다. 스팀헌트의 경우는 POB를 기반으로 커뮤니티가 베이스가 되는 제품을 만드는게 핵심이였습니다. 이를 위해서 가장 적합한 체인및 성격은 역시 스팀이였고 이후 런칭할 SMT가 이 제품을 위한 답이였습니다. 이에 대한 변화는 여전히 없는 상황입니다.

큰 그림의 헌트의 경우는 멀티체인을 준비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댑으로써는 필요한 체인의 가장 적합한 기능을 활용하고 큰 이코노미인 헌트에서 통합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에 루니버스는 이전 포스팅에서 잠깐 언급드렸던 것 과 같이 블록체인계의 SAAS즉,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기반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여러가지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선 기술적으로는 헌트라는 토큰과 자체체인을 보유할 수 있게 되면서 3rd 파티의 댑들이 헌트 이코노미에 합류하고자 할때 손쉽게 사이드체인 기반 토큰이 발행 가능하고 연합 댑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스케일링을 위한 기본적인 필요 조건들을 충족하는 것이 루니버스입니다.

또한 루니버스의 경우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기술 연구 자회사 람다256의 제품인 관계로, 이러한 파트너쉽을 통해서 블록체인 업계 내에서도 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2. 헌트 토큰과 STH토큰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PvVVBGJdzm9VQJGWtXfLQ3V3dNBVrdFGt51SWtkTgxsA/steemhunt-2.jpg

이번 발표와 함께 대대적인 개편들이 일어날 예정입니다. 간단하게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ERC-20기반 헌트 토큰 루니버스 기반 토큰으로 swapping
  • 스팀헌트 SMT 기반으로 재런칭 및 스팀헌트 전용 SMT 토큰인 STH 토큰 런칭 (스팀잇 일정에 따름)
  • 헌트 토큰 재구성 (소각)
  • 새로운 로드맵 (추가 댑 및 3rd 파티 서비스)

a. STH 토큰

현재 스팀헌트의 경우는 스팀 기반 업보팅을 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헌트 토큰을 업보팅 비율및 바운티로 지급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STH 토큰 발행으로 스팀헌트가 실질적으로 이루고자 했던 자체적인 커뮤니티가 자생할 수 있는 POB 플랫폼을 완성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Genesis물량은 헌트:STH 토큰을 1:10으로 신청시 전환할 예정이며, 이 Genesis물량이 정해지고 나서 커뮤니티 자체적인 평가와 업보팅을 통해서 운영될 예정입니다.

b. 헌트토큰의 재구성

현재 헌트 토큰의 경우 총 발행량을 5억개로 설정했으며, 이중 2.5억개는 50% 커뮤니티 생성 에어드랍으로 설정했었습니다. 현재는 약 18%정도 진행된 상태이며 STH 토큰 생성 이후 이 50% 커뮤니티 에어드랍의 잔여분은 소각될 예정입니다.

SMT가 런칭되는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최소 1.25억개 헌트가 이번 기회에 소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전체 물량의 약 25%정도가 소각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또한 스팀헌트는 STH 토큰으로 전환이 되면서 헌트 토큰중 일정부분도 추가 소각되며, 이후 헌트 토큰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추후 이전과 비교해서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개인적인 생각

헌트의 경우는 팀과의 잦은 교류로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잘 구성된 팀이라는 것을 매번 느낍니다. 속도, 디자인, 아이디어, 진행력, 파트너쉽 체결등 모든 면에서 꾸준하게 성과를 보여주고 한걸음 한걸음 전진하는 스타트업이라는 것이 느껴지는 팀입니다. 앞으로 이 팀이 보여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에 필자는 신뢰를 하는 관계로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더 궁금해집니다.

  • 주의: 이글은 투자자문을 위한 글이 아니며, 투자는 개인의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참고로 필자는 헌트토큰에 투자를 했고 보유하고 있습니다.

[Steemit] SMT Testnet 오픈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UXhPDz7WA8EzjnSWZrvyojxW5BHqTq2hxcNfpfKiK3QD/SMT%20testnet%20live.jp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원문: https://steemit.com/smt/@steemitblog/smt-testnet-is-live

몇시간 전에 스팀잇에서 SMT 테스트넷을 오픈했다고 발표했네요.

개발자분들과 엔지니어분들은 다음 세팅값으로 접속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Seed Node 값: testnet.steemitdev.com:2001
  • Chain ID option: --chain-id=46d82ab7d8db682eb1959aed0ada039a6d49afa1602491f93dde9cac3e8e6c32

1. 테스트 관련

이번 하드포크의 경우는 대대적인 수정이 있는 관계로 상당히 심혈을 기울여 테스트를 진행할 것으로 예고했습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초기에 스팀엔진에서 토큰을 스캇봇까지 이용서 런칭해본 분은 사실상 SMT를 런칭하면서 고려해야할 부분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사실상 많은 나이트로 기반 커뮤니티들이 결론적으로는 초기와는 다른 세팅값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그 반증이기도 합니다.

다만, 차이점이라면 SMT의 경우는 스마트 컨트렉트 기반인 관계로 사실상 한번 세팅값을 설정하고 나면 하드포크가 아니고선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필자가 보는 중요한 세팅값들은

  • 작가:큐레 비율 - 현재 스팀잇은 5:5로변경
  • 보상 리워드 지급 시기 - 현재 스팀잇은 7일, 일반적인 나이트로는 3-5일정도
  • 큐레이션 커브 - 스팀잇은 0.5 (즉, 먼저 보팅할수록 큐레 보상 높음), 나이트로는 0.5-1로 세팅
  • 다운보팅 풀 생성/비생성 결정
  • 언스테이킹 기간 : 스팀잇은 13주, 일부 나이트로는 3일-50일 사이
  • 언스테이킹 방법: 일괄 지급, 일별/주별 지급등
  • 반감기 설정

정도는 꼭 먼저 보고 들어가야 하며, 그외의 세팅값들도 허투루 보고 넘어갈 수 없는 것이, 결국 모든 것이 토큰 이코노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스팀엔진 나이트로때도 그랬지만, SMT의 경우도 사실상 따로 사용설명서와 같은 것들이 제공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나마 API나 설정값에 대한 설명들이 자세하게 제공되면 그것을 바탕으로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팀잇의 리소스가 워낙 적은 관계로 엔지니어들이 문서 작업까지 해줄것에 대한 기대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많은 사항들을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컨트렉트라는 이유로 기업, 프로젝트나 커뮤니티들은 많은 테스트를 거치면서 실험을 해야할 것으로 보이며, 그 와중에 나올 크리티컬한 버그도 잡아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첫 두달동안은 테스트넷을 버그가 잡힐때마다 재런칭을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첫 테스트넷은 몇일마다 하드포크가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테스트넷이 어느정도 안정화에 들어갔다고 판단이 되면 SMT 기능까지 추가해서 테스트네트 런칭을 할 예정입니다.

2. 실제 SMT 런칭 일자

SMT의 경우는 스팀의 블록체인을 워낙 건드는 부분들이 많아서 사실상 테스트를 제대로 하고 시작을 해도 실제 유저를 상대로 라이브를 가면 뻑이 날것 같긴 합니다. 이전 HF21/22의 비교적 간단한 부분에서도 실제 상황에 대비하지 못한 “작은” 버그때문에 블록체인이 멈춘 현상이 있었으니까요. 그러기에 더욱더 개발자들과 프로젝트 및 커뮤니티에서 가능한 테스트를 돌리고 런칭을 하는 것은 맞다고 봅니다.

스팀엔진의 경우도 스마트컨트렉트가 아닌 관계로 비교적 빨리 런칭을 하고 운영중에 고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습니다만, SMT의 경우는 하드포크를 해야하는 대대적인 작업인 관계로 그렇게 운영을 하지는 못합니다.

3. SMT가 만들어낼 수 있는 파장

실제 아직 SMT의 개발과 초기 버젼이 어느정도 완성도를 가져오는지는 확인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욕심으로는 최소 1 년 반전에 런칭을 했으면 시장을 시기적으로도 조금더 편하게 선점 했을겁니다. 그러나 SMT 백서를 바탕으로 본다면, 적어도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들의 경우는 SMT 런칭 이후 간편하게 자기 커뮤니티에 POB기반 토큰을 붙일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이는 꼭 나이트로스의 스팀잇 전체 복사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Instagram, Facebook, Tiktok 과 같은 형태의 소셜미디어 플랫폼기반 커뮤니티에도 추가적으로 SMT layer를 붙일 수 있는 형태가 됩니다.

Steem은 이때 모든 토큰을 서포트하는 기술적인 기반이 되며 금융적 레이거까지 됩니다.

Steem will be the critical computational layer supporting all of these different tokens, while STEEM is the critical financial layer providing transferability, liquidity, and access to exchanges. 소스

4. 개인적인 생각

몇일 전까지만 해도 만나던 분들이 SMT가 나오긴 나올까? 라는 의문을 던지시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적어도 테스트네트까지 런칭을 한 상황이니, 앞으로 테스트 과정을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많이 늦은 감이 있지만, 사실 아직도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에서 이정도 기능성을 제공해주는 블록체인은 없는 관계로 New Game, New Start라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POB가 필요 없는 프로젝트의 경우는 스팀 기반 토큰이 꼭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겁니다. 하지만 POB를 지향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경우는 앞으로 우리가 움직이는 커뮤니티들에서 조금더 자주 스팀기반의 토큰을 볼 수 있을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입니다.

스팀에서 구매가 활성화 되고 있습니다 - 포도즙 구매기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bRFVmMcbyVyvpncfeMNBb9m3XsEFQtuoUJavGADRU6Ar/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지속적으로 짠으로 모으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천운님께서 포도즙을 판매를 하시네요. 스테이킹을 위한 짠으로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서 시장에서 일부 구매를 걸어놓고 매도벽을 긁어서 7천짠을 만들었네요. 절차 자체가 구매를 위해서 구매 신청 포스팅이 있어서 구매기도 이렇게 남겨봅니다.

작일은 서해에 가까운 강화도에서 마지막 강화도 해풍 맞은 포도와 포도즙을 사오면서 포도즙의 매력에 빠졌네요. 아이들이 너무 좋아해서 가평 포도즙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번 사과즙이 성공을 하면서 역시 먹을 거리는 신용 거래라는 것이 다시한번 실감이 나네요.

사실은 강화도 가는 길이 너무 막혀서 길거리에서 파는 뻥튀기 한묶음을 3천원을 주고 사게 되면서 아이들에게 주려고 샀는데, 눅눅함이 하늘을 찌르는 제품을 판매하시고 계신거에요. 다행이 5천원에 2백을 구매 안해서 그렇지 먹으면서도 입에 달라 붙어서 돈주고 산 자신이 후회스럽더군요.

아이들이 한두개 먹기는 했지만, 결국은 강화도 앞바다 갈매기들의 먹이가 되었다는 후문이…

한정 기간 판매라는 매력(?)을 지니고 있어서 빠르게 시장에 나와있는 짠을 한번 제대로 긁고 7천 짠을 만들어서 주문 신청을 했는데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실제 제품 오고 나면 다시한번 후기 남겨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대기대중 ^^

[Steemit] SMT 보팅 마나 관련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WmUU7moPUMnrfh1UHizvUCwHCsvrzsUm2AhhGvwwq5G8/voting%20mana%20deep%20dive.jp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이제 스팀잇측 개발진은 SMT 개발 관련 비교적 잦은 업데이트를 해주면서 개발 진행상황을 전달해주고 있습니다. 아맘도 1-2주내에는 테스트넷이 런칭될 것으로 예상된다고도 합니다. 스팀잇에서 블록체인을 개발하고 있는 @vandeberg분께서 이에 관련한 업데이트를 해주셨습니다. 언제나와 같이 핵심내용만 간략하게 요약드립니다.

(원문글은 상당히 길어요)

1. SMT 하드포크후 보팅마나 관련 변경

a. 보팅과 다운보팅시 보팅마나 계산방식 병경

현재는 보팅후 보팅%를 수정시 이전 보팅 마나는 소멸되고 새로 보팅마나를 쓰게 됩니다. 이는 하드포크후 수정하기로 되었습니다. 즉, 보팅마나를 예를 들어 50%만 쓰고, 그 이후에 다시 100%로 수정했을 경우에 총 150%에 해당되는 마나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50%만 추가로 사용되는 것으로 바뀔 예정입니다.

  • 75% 업보팅을 100%로 바꾸면 25%의 보팅마나 사용
  • 100%의 업보팅을 50%로 바꾸면 보팅 마나를 사용하지 않음 (대신 50%의 보팅마나를 돌려주지는 않음)
  • -50%의 다운보팅을 -100%의 다운보팅으로 바꿀 경우 다운보팅 마나 50%를 사용
  • -100%의 다운보팅을 -25%로 변경시 다운보팅 마나 사용 하지 않음
  • -25%의 다운보팅을 75%의 업보팅으로 바꿀시 -25%의 다운보팅 마나는 소실되고, 75%의 업보팅 마나를 사용하게 됩니다.

간단하게는, 보팅 %를 늘릴때는 추가되는 보팅마나만 사용이되고, 보팅 %를 내릴때는 추가 마나가 사용되지 않으며, 업보팅에서 다운보팅으로, 다운보팅에서 업보팅으로 변경시에는 새롭게 해당 마나가 사용됩니다.

b. SMT별 별도 마나 사용

  • 총 6개의 개별 보팅을 할 수 있습니다. 5개의 SMT와 1개의 Steem을 보팅 가능함.
  • 한개 포스팅에서 개별적 SMT별 마나보팅이 가능함.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를 현재의 스팀엔진과 나이트로를 비교하겠습니다. 현재는 고정적으로 업보팅시 이에 따른 %까지는 각 나이트로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동시에 업보팅이 되는 것은 변화가 없습니다. 즉, 스팀포스팅에 업보팅을 하면서 AAA, TMT, ZZAN, SCT등도 같이 업보팅이 됩니다.

SMT의 경우는 총 5개의 SMT에 대해 개별적으로 업보팅이 가능하도록 될 예정입니다. (스팀을 추가하면 총 6개) 이는 예를 들어서 같은 포스팅에 ZZAN는 업보팅을 하되 AAA는 다운보팅을 가능하게 만드는 시나리오입니다. 이런 경우가 발생하는 것은 ZZAN취지에는 맞는 글이여서 업보팅을 하고자 하는데, AAA취지에는 전혀 연관이 없는 관계로 같은 글에 다운보팅을 하고자 할때입니다.

사실상 이번글에 직접적으로 언급은 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이번에 같이 소개될 비교적 큰 기능인 community기능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현재는 스팀의 UI는.. (ㅠㅠ) 모든 글을 한곳에 모아서 컨텐츠의 무덤화를 만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커뮤니티 기능이 활성화 되면, 이는 현재 나이트로로 따로 페이지를 생성하던 것을 커뮤니티로 스팀잇 내부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예상으로는 아마도 레딧과 비슷한 형태로 커뮤니티를 섭레딧화 해서 운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분들의 경우는 레딧을 많이 사용을 하지는 않으시지만, 섭레딧별 운영자와 커뮤니티가 따로 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SFDG9ojA65VkD5MWX3T8jtArd1zuS9baCcab4fDNAQ41/image.png) [한국 레딧](https://www.reddit.com/r/korea/)
![](https://cdn.steemitimages.com/DQmUf7X9PnyeqztTkGHGDh3rUhXZukLVYp2dWFK9e8RHpfR/image.png) [스팀헌트 레딧](https://www.reddit.com/r/steemhunt/)

같은 레딧인데 상단의 한국 레딧은 멤버수가 9만 8천이고 하단 스팀에서도 익숙한 스팀헌트 레딧의 경우는 7천5백명정도가 됩니다. 올라오는 내용이나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내용들이 완전히 달라서 같은 큰 들인 레딧을 사용하지만 사실상 결국 자기와 맞는 커뮤니티에서 활동을 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찾아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스팀의 경우는 커뮤니티의 SMT화가 되면 자체적은 토큰으로 업보팅 가능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2. 개인적인 생각

지난 1년 반동안 SMT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정보 전달을 했으나, 지난 스팀엔진의 나이트로스와 스캇봇 발표이후 느낀점은 결국 사용자들의 경우는 실질적인 제품을 보고나서 그 실체를 이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SMT와 커뮤니티 기능의 경우는 스팀잇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변화를 제대로 가져올 것으로 예상이 되는 관계로 커뮤니티 기반의 블록체인이 만들고 성장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Steem Market - 협동조합에대한 움직임

![](https://cdn.steemitimages.com/DQmdjUrcxSzJsqysFvZLtBkYm8CsKG9Bn4yVEA2VpD9zNuC/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현재 @oldstone님을 중심으로 스팀 협동조합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접근하는 방식과 이점을 바라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경

우선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기존 스팀에서 가끔 생필품이나 농산물을 판매하시던 분들이 계셨던 관계로 이를 바탕으로 협동조합을 하면 좋겠다는 @oldstone님의 글을 시작으로 점차 제품들이 하나둘씩 올라오고 있습니다.

2. 사용방식

SCT측에서 마켓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현재 태그를 따로 생성해주었습니다.

3. 스팀상에서 구매시 이점

우선 근본적으로는 스팀이나 SCT나 다른 토큰을 통한 구매 자체는 리스크가 따릅니다. 스팀의 가격이 현재 상당히 저점으로 잡혀있기는 하나, 어디까지 내려갈지는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실상 판매자의 경우는 스팀이나 토큰을 통한 판매시 직접적인 현금 환전보다는 제품 판매를 통한 암호화폐 취득과 추후 보유를 통해 추후 가격상승에서 오는 이득을 위해 움직인다고 봐도 될것 같습니다. 일부는 물론 직접적인 현금화가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구매자의 경우는 암호화폐를 이용해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매력이 있으며, 리뷰 작성을 통해 제품 가격의 일부를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실제 현재 @oldstone, @jaydih님이 스팀조합에 대한 제품 리뷰글에 대해서 큐레이션을 하시기로 했습니다.

4. 현재 마켓 상황

현재는 무, 사과즙, 포도즙, 상품권등 여러 제품들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판매가 가능한 제품들의 경우는 리뷰에 대한 관리도 필요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때는 판매자로 할 수 있는 것은 제품을 재판매할때 리뷰어에 대한글을 모아서 제품 소개 끝에 달아주는 것이 마케팅적으로 좋을 것을 생각됩니다.

구매자분들의 경우는 제품 구매후 리뷰를 통해 다른 잠재적 고객분들이 참조를 할 수 있도록 정성스럽게 후기를 남겨주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5. 개인적인 생각

현재는 스팀상의 커뮤니티가 상당히 축소된 형태이며 남아있는 인원간의 신뢰가 비교적 두터운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합 운영 초반에는 크게 문제가 될 거리가 없기는 합니다. 다만 사용자가 늘어나고, 특히 후기에 대한 큐레이션이 분명히 큐레이터들의 선택인데 이것을 확정된 보상으로 여기는 풍토가 자리잡게 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또한, 검증되지 않은 판매자의 등장으로 구매금액은 보내졌는데, 물건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도 분명 일어날 수 있는 관계로 escrow의 필요성도 있을겁니다. 초반에는 시스템적 escrow가 없다는 커뮤니티에서 신뢰되는 계정운영자분에게 보내놓고 거래 완료후 소정의 수수료를 남기고 전달하는 방식을 취해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괜찮은 제품이 있으면 구매자로 활동을 많이 할 것으로 보이는 마켓을 환영합니다. ^^

[TripleA] Changing the Way how we consume content on Steem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VZy9PsP2h7BNoVXMTGqRsCzGnCWrhyxGok1CKB6k9ExN/movie-list-en.png

Hi, @jayplayco here.

A few may know it, but I am co-running a service called TripleA, which is a Movie and TV show review site, upvoted and rewarded with the Steem-Engine(SE) Token AAA. We have used the given tools from the SE team starting from Scotbot to Nitrous. Even planned as a review site, we did know that we will have to change the way how the content is organized, as the current Nitrous page was a 1:1 copy of the current Steemit UI, which is not right for consuming reviews for Movies and TV shows.

It took a while for our developer @segyepark to get into the code and also to get into React as a framework, but we are now moving on a good speed on getting the page coded as we would like.

We are now as far as we that we are able to open the page within the next 10 days and would like to inform about what is going to change and why this kind of content delivery will enhance the whole experience for users getting in touch with Steem and content.

1. Main Screen - Movie Overview

![](https://cdn.steemitimages.com/DQmWiazeTyzowco2LsyX6nR8pZjgJ9qkicripmtjehvGMYc/image.png)
The current screen shows all kind of reviews based on the same logic as we had it before on Steemit. Trending, New, Hot and we changed the Promoted to Donated ([TripleA has a donation function implemented](https://steemit.com/jjm/@jjm13/jjm-today-s-update-2019-06-12)). But you don't really see reviews as you like, as not only reviews are shown, but also related text or even postings that do not have any relevance with TripleA. This is coming from the UI logic that Steemit uses to show content, which is a mixture of a Facebook Feed and Instagram Feed without any followers.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a lot of the algorithm is based on the upvoted amount of token.
![](https://cdn.steemitimages.com/DQmUkpZ2vtqnA2nhRgW78wcamtZBzmF6fbQsezPmzfBw56z/image.png)
TripleA will show as entrance the current Movie reviews. You will see only movies that have at least one review and will have the direct feeling, "Ah, this is a review site."

You can choose Genres like Action, Family, Drama, Science Fiction, Thriller, etc., which allows you to choose reviews that match your Movie taste. A filter that can show reviews based on the Release date or based on when the review has been written can be used to find new movies or also new reviews from your favorite authors.

This means that the first content is not directly a review but a list of movies based on different filters and attached reviews behind the movies.

If you decide to click on a movie that looks interesting and where you would like to read a review about it, you will see the detail page about the movie first.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dX1a9oXMrcv16zwUfg79L4W9uuDX56x7oq4yG6pNsttL/review-detail-ko.png

I have in the current stage only a detail page of a Korean movie in Korean, but we support not only the language setting for the whole page, but also for the movie detail page in English and Korean.

The detail page of a movie is showing the main information like the production team and the actors, what kind of genre the movie has, how long the playtime is and a short summary about the movie itself.

Below the movie summary, you will find finally the reviews for the movies, which are actually postings on the Steem blockchain. The reviews are also showing a screenshot of the review including the date of review, critic and a few lines of the review to be able to see if the review would be interesting for you or not. After clicking the review, you will see the whole review and also would be able to upvote the post if you are logged in into your Steem account.

An important point for UI here is, that all kind of upvoting or amount showing of the upvoted token is only visible in the latest state when somebody is really interested in a review and had read it.

2. TV Show Main Screen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YVxmMZ8wCoW3d815veYYiMLXwoFdmp8fAscg39UvXLmE/tv-list-ko.png
We have devided movies from TV shows, as the detail page and the concept of TV shows is different from movies. The general filter for Genre is similar to the Movie part and also the filter for opening and review date is the same. We are also planning to have a filter for Netflix only Drama.

The main difference is that you will have also information about the Seasons and episodes at the detail page for TV Shows.

3. Review Section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WkBnBv4QrwWTyqtMfcFEd8pd2mVB59ZCqikgXJfeyZjF/review-list-ko.png

Movie and TV-Shows are showing the not directly the reviews but the movies first, but we still can see the demand that some users want to have only the reviews directly to read them. In this case, filtering reviews for your specific needs is essential. If you get into the Review section, you can choose if you want to see only Movie or TV Show reviews and also can choose the language of review, in the current moment for English, Korean and Chinese. We are planning to expand the filters also for Genre later and add a search function to find the right content.

4. New Section

![](https://cdn.steemitimages.com/DQmZf2HV976frSbmv6imBwbwvKPQCAi8q8gYP4qcHNVbuYA/image.png) **Current new Screen**

The NEW section will include all kind of posts that have the AAA tag, but as you can see the visibility is not anymore concentrated on postings that are not review related. A big difference will be that we will NOT show either the upvoted amount nor will it be possible to upvote on the listing. You will have to click on the post and scroll to the end of the posting to be able to vote. Additionally, we will exclude also the thumbnails on the listing, which means that you will have a very lean and clean listing for the NEW section.

5. Future plans

The site will be still in beta phase after launching, as we would like to add a lot more logical content consuming UI options, like easy jumping from one review to another, etc. Additionally, the “feed’ stream will be changed similar to the NEW section.

A next big step would be the implementation of an easy log-in with familiar login methods like Google or Facebook login and a guest account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participating on the page without the need of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Steem or the Blockchain behind it. As the delegation of Resource Credit is still not possible, we will have to see if how we are setting up this system and how fast. The most important part here would be to be able to get users on the platform based on the content and not failing onboarding them due to the Steem login wall, as that can be postponed on a point when the users are established on the platform and would like to get access to their tokens.

6. Technical explanation about the background

We are creating the site based on the data of https://themoviedb.org. It was important for us to keep the usage familiar for Steem users but also to create a site that would be attractive and fun just for Movie and TV Show lovers, who does not have any relevance to the blockchain.

It is now more important than before to create reviews on TripleA with the requested Moviedb Link and your critic as otherwise, your content would not be that visible on the platform as before.

7. Personal thoughts

We are looking forward to launching Phase II for TripleA as soon as possible and also waiting for feedback from the community. We think especially after the integration of our guest account management system, that we will be able to start marketing activities that can get the attention from all Movie and TV Show lovers over the world.

Again we see the start of another great Dapp based on the Steem Blockchain and I think it prooves our bright future for this community.

[스팀] 스팀의 과거, 현재와 미래

![](https://cdn.steemitimages.com/DQmfHFy4gmBuS5GnATPSb67GwspstbFMjexEKhaoNz8yNQH/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스팀을 한번 돌아보게 되는 하루입니다.

1. 스팀의 과거

스팀은 댄과 네드가 만든 블록체인으로 정말 복잡하게 만들었다. 2016년도 당시에는 일반적으로 POW에 의한 코인 생태계가 전부였다면 (비트코인과 같이) 스팀은 코인 발권에 대한 주체를 노드에서 일반 사용자, 즉 채굴에 대한 권한을 소비자에게 까지 확대를 했습니다. 이에 대한 코인 생태계 구성 자체는 안정화를 주기 위해서 SBD라는 코인 기반 스테이블코인과 스팀,그리고 어마무시한 락다운을 한 스파를 통해서 했습니다 (초기 104주).

여기에다가 스팀뿐만 아니라 스팀잇이라는 커뮤니티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에 까지 탈중앙 정신을 입히고, 프리세일 없이 닌자마이닝을 통해서 자체적으로 스팀을 확보해두었습니다.

닌자 마이닝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발권력이라는 것이 스파 (Steem Power)라는 주체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스파를 가진 주체인 스팀잇 재단에 커뮤니티를 제대로 드라이빙을 하지는 않고 커뮤니티에 대한 운영은 방생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aenRaJkpYpwNmAtta5u4r7uUP81cehDxzc952HJ2VVhi/image.png)

스팀은 런칭 이후 4USD를 찍고 다시 하락을 해서 2016년 9월달에는 50Cent가 깨지고 2017년 4월경까지 현재와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했습니다. 이후 전반적인 암호화폐붐과 함계 비트코인과 같은 대상승을 이뤘다가 하락장과 함께 같이 하락을 했습니다.

2. 스팀의 현재

스팀은 하드포크를 이미 22번한 상황이며, 그동안 POB에 대한룰 변경도 비교적 많이 시행했습니다. 현금화에 실패한 중앙화된 재단의 운영에 따라 인원 감축이 일어났으며, 실질적으로 네드도 경영선에서 손을 떼고, 전문 경영인에게 맡겨진 상태입니다. 현재는 광고등 여러가지 재원만들기와 SMT에 주력을 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스팀잇 재단의 주 재원은 보유한 스팀을 시장에 파는것이며, 광고 수입에 의한 재원은 조금씩 마련되고 있지만, 기존 재단의 인건비나 운영비를 채우기에는 역부족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eyzDG5SHyZmMqAygHugEpr2Zr7oocUosee4FWFpjF6Ej/image.png)[소스](https://www.similarweb.com/website/steemit.com#overview)

사용자가 점점 줄어든다고 하지만, 기본적인 트래픽은 지난 6개월간 크게 변화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만큼 아직도 스팀잇의 경우는 SEO가 최적화 되어 있어서 구글에 검색에 의한 트래픽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dVzBYFnKjp1ceY6WAdTgW2uqLiKaYweA1mijbZr7fxi7/image.png)[소스](https://www.stateofthedapps.com/)
기본적인 사용자수도 블록체인 댑들중에는 월등하게 높은 편이고 그만큼 도박이 아닌 실질적인 활용도가 높은 댑의 수도 많은 편입니다.

3. 스팀의 미래

스팀의 미래를 바라보기 위해서는 상당히 여러가지를 고려해야합니다.

a. POB에 의한 발권력의 한계와 가능성

![](https://cdn.steemitimages.com/DQmNv1NQ3bjrd53RgFW5CzAoVFid5orvWjSsGjGfB3KFS6z/image.png)
최초 POB에 의한 발권력을 분산한다는 개념 자체는 매우 혁신적이였고 새로웠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스팀블록체인 위에서 스팀잇이 운영되면서 본질적으로 서로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서로 상충되는 현실세계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 작가 * 투자자 * 컨텐츠 소비자 * 운영진

이 4개의 집단이 가지고 있는 목적을 커뮤니티에서 한곳으로 모아줄 수 있는 것은 운영진인 스팀재단밖에는 없으나, 이에 대한 움직임이 전혀 없기 때문에 스팀잇에서 행하는 POB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고 여겨집니다. 글을 쓰는 작가와 투자자는 같은 선상에서 발권에 대한 이권을 다투게 되면 작가가 유리할때는 글이 좋아질 수 있으나, 투자자가 없어서 코인의 가격이 형성이 될 수 없고, 투자자가 직접 발권에 개입을 하게 될 경우 작가가 떠나는 현상이 일어나, 채굴장으로써의 의미는 있으나, 커뮤니티로써는 가치가 현격하게 떨어지게 되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결국 어떤 종류의 커뮤니티라도 운영주체가 방향성과 중심을 잡고 가지 않을 경우 커뮤니티는 장기적으로는 와해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스팀엔진상의 커뮤니티들도 그래서 결국 대부분 POB를 허용한 POT (Proof of Task)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즉, 일부 발권력을 유저에게 나눠주어진 형태이나, 실제 대부분의 발권력을 운영체제에서 들고 있거나, 방향을 정할 수 있을 정도의 발권력을 유지하고 커뮤니티를 끌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후 스팀의 SMT가 하드포크로 나오고 스팀상에서 자체적인 커뮤니티 코인을 바탕으로 스팀의 발권 자체를 증인과 SPS 정도로만 줄인고 POB던 POT의 역할은 커뮤니티들이 진행을 하면 분명히 가능성은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b. 스팀재단의 움직임

현재는 블록체인의 개발은 스팀재단이 주도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가지고 있는 스팀이나 스파가 상당부분은 되고 있으며 스파에 대해 연간 15%의 interest를 바탕으로 자기 지분의 희석화를 어느정도는 막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팀잇 재단이 가장 필요한 것은 우선 스팀 암화화폐의 가격 회복입니다. 많은 노력을 해도 결국 가격 회복 없이는 사용자가 돌아오지는 않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광고재원도 결국 사용자 수에 비례해서 지급되며, 특히 장기적으로는 사용자 수보다는 광고 ROI에 의해서 결정되는 관계로 일반적인 암호화폐 커뮤니티와 같이 ICO 에어드랍 이벤트같은 이벤트성 광고를 통해서가 아니고선 커뮤니티를 직접적으로 자산화하기는 현재로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까지도 실질적인 제품(댑)/커뮤니티를 선보일 수 있는 블록체인은 스팀 외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한 관계로 한편으로는 투자자를,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를 다시 부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집중을 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글을 써서 채굴하는 생태보다는 이자나 배당개념으로

  • LPOS형태의 증인 제도 변경도 고려할 수 있고,
  • 이와 더불어 13주 락업 해제 (맥스 1주일),
  • 증인 LPOS를 위한 증인 제도 개편과 함계 30 투표를 맥스 5개 정도로,
  • 발권력에 대한 제한으로 증인과 sps 발권만 유지하고
  • 기타 POB는 SMT 커뮤니티에서 짊어지도록 세팅을 하는 형태로

코인 생태계에 변화를 시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c. 변화의 가능성

![](https://cdn.steemitimages.com/DQmdeLEqvnB1Yzb4gwAjiWdN33Rh628C3G6smavvLz8tros/image.png)
스팀의 변화를 가져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커뮤니티 구성에 대한 이해 (스팀잇의 경우는 글 작가, 컨텐츠 소비자, 투자자등)
  • 탈중앙화에 대한 이해
  • Macroeconomics에 대한 이해
  • Microeconomics에 대한 이해
  • 암호화폐 코인 생태계 (스테이블 코인이 아닌)에 대한 이해

이를 전체적으로 보게 되면 스팀의 상황이 보이는, 초반에 언급했던 아주 복잡하고 다양성을 가진 블록체인 입니다. 사실상 정답은 없는 문제이긴 합니다만, 변화가 필요한 것에 대한 필요성은 확실한것은 맞는것으로 여겨집니다.

4. 개인적인 생각

![](https://cdn.steemitimages.com/DQmafkVM4SeKxyNh4FKABhBJ32etwPBt5xEni9qRS5uX5yG/image.png)[소스](https://coinmarketcap.com/currencies/steem/historical-data/?start=20130428&end=20190916)
스팀 재단의 운영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여전히 시장에서 스팀의 최소 25%를 한국이 소화합니다. 다만 거래량이 이제는 일 2억원 가량밖에 안되는 것이 함정입니다. 2019년도 스팀 일 거래량이 가장 많을때가 약 200억이였던 것을 비교하면 스팀이라는암호화폐를 찾는 사람이 전반적으로 적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dRayWQyohokWsMe35L3RRuU9xRfSxfnY7vsnJeK8Rnfv/image.png)

볼륨이 그러나 스팀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몇몇 암호화폐를 제외하고는 거래량이 줄고 있기는 합니다. (유독 스팀이 심하긴 합니다.)

일부 비판의 목소리에서 나오는, 외부에서도 이제는 스팀에 대해서 관심이 없다고 하고, 스팀이 하드포크를 했는데도 관심이 없다고 하지만, 사실상 시총 80위 되는 코인이 받을 수 있는 관심정도는 뻔하다고 봐도 됩니다.

팩트만 체크하겠습니다.

  • 스팀에서만큼 결속되고 활동적인 블록체인 커뮤니티는 없습니다. (암화화폐 관련 일반 톡방에 가입되었거나, 운영하신 분들은 아실겁니다.) 이는 어마무시한 펀딩을 받은 EOS나 트론의 커뮤니티만 봐도 그렇습니다.
  • 블록체인 기반 실제 제품 운영까지 되는 댑이 있는 몇 안되는 블록체인중 하나입니다.
  • 운영주체인 재단은 자금이 없습니다.
  • 애정을 가지고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며 변화를 주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있다.

이것만을 바탕으로 스팀이 다시 과거의 영광을 찾을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블록체인과는 다르게 가장 큰 차이점인 실질적인 커뮤니티의 존재가 개인적으로는 결국 차이를 만들어낼 것으로 생각됩니다. 커뮤니티의 움직임, 그들이 증인들을 움직이고 스팀 재단을 움직여서 스팀이 다시 숨쉴 수 있는 방향으로 끌고 가는데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그리고 해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스팀의 미래는? 암호화폐의 미래와 같이 불확실합니다. Good or Bad인가? 개인적으로는 커뮤니티 때문에 배팅할만 하다고 생각됩니다.

[스팀봇] 이동중에 스팀봇 사용 최적화

![](https://cdn.steemitimages.com/DQmS3cBwDj1T8xwLtBPEyqvrXvTUrNeBFoLwK2tyfCHDVYj/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HF22이후 과도한 봇 사용시 다운봇 제재가 시작되기는 했습니다만, 여전히 스팀엔진 토큰들에게는 프로모터 봇의 토큰 -> 스팀전환은 중요한 가격 안정화 툴 중 하나입니다.

필자의 경우도 스팀 레퓨테이션 70이 될때까지는 봇 사용을 한번도 안했다가, TripleA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AAA의 distribution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많이들 안쓰셨지만, 지금은 많은 분들이 @triplea.bot이나 @sct.voter를 애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실상 AAA나 SCT 봇의 경우에는 다음 윈도우 (Window)가 열리는 시점에 맞춰서 보팅요청을 해야 하는관계로 이 시간대가 이동중에 있거나 외부에 있을때는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그 이유중 하나는 각 고유 사이트에 가서 그냥 transfer로 보팅 요청도 가능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steembottracker 서비스를 이용해서 보팅 요청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야밥의 특징중 하나가, 모바일 고려 0%라는 특성 때문에, 홈페이지가 사용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사용한다고 해도, 스팀커넥트로 연결되면서 대응속도나 반응 속도가 데스크탑에서 작업할때보다는 많이 늦어집니다.

필자의 경우는 그래서 이번에 키체인 기능 지원으로 업데이트된 스팀월렛을 이용합니다.
스팀월렛 관련글은 다음 링크에서 찾아보시면 쉽게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설치후 기본 세팅을 한번 하시고, 스팀봇 트래커 설정 방법 설명하겠습니다.

  • 앱 맨 아래부분에 있는 Browser부분을 클릭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bbrLGddUqyoQogQhx5184NWqYQbDG8EuvNfwggGdjpoc/image.png)
  • 상단에 있는 검색창에 스팀봇 트래커 주소를 입력합니다. (https://steembottracker.com/)
    ![](https://cdn.steemitimages.com/DQmawCnQa8LDjwxDSTKAHXBzWqDWKgjBUn1A824E4fLZoY5/image.png)
  • 사이트 이동후 관심있는 봇을 Favorite 등록합니다. (꼭 하세요!) 을 누르고 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 즐겨찾기를 하는 이유는, 야밥의 스팀봇트래커가 모바일 최적화가 안되어서 부분적으로 표기가 안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특히 원하는 해당 봇이 가장 밑에 있을 경우 Action창을 열어도 창이 안보이는 현상이 있습니다. 즐겨찾기 등록을 해서 가장 상단에 띄우면서 이 버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계정과 금액을 넣고 비딩을 합니다. 키체인이 연결되어 있어서 아이폰의 경우는 Face ID로 그냥 비딩이 되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

이상 이동중에도 편하게 비딩을 할 수 있는 약간의 우회방법을 소개해드렸습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