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F] 국제자금 세탁방지기구 - 암호화폐 거래소 국제 표준 규제 권가안 발표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ywFfmGx3-image.png)

예정되어 있던 바와 같이 FATF(국제 자금세탁방지지구)에서 암호화폐를 규제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간단하게는 암호화폐 거래소간 거래시 암호화폐뿐만 넘기는것이 아니라 KYC한 고객의 정보까지 같이 전달해야한다는 방안입니다.

간단하게 정리드립니다.

1. FATF 규제 방안

VASP(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포함하며 상호간 거래가 있을시 고객에 대한 정보도 같이 보내는 방안입니다. 이때 포함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보내는 사람의 이름
  • 보내는 사람의 계정 정보 (예를 들어 지갑)
  • 보내는 사람의 실 거주 주소나 주민번호, 여권번호나 고객번호 (트랜스액션 번호는 아님)로 고객의 기업이나 사람을 지정할 수 있는 정보
  • 수신인의 이름
  • 수신인의 계정정보 (예를 들어 지갑 정보)

FATF측은 이를 적용하기 위해 12개월의 유예기간을 준다고 하며, 이는 타겟을 2020년 6월로 하게 되는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일반인들이 암호화폐 지갑을 이용해서 거래를 할 경우 이또한 VASP로 규정할 수 있다고 했으며, 적어도 비즈니스로 했을때는 무조건 규정이 된다고 합니다.

2. 예상 시나리오

실질적으로 FATF의 방안은 법적으로 각 국가에 직접적으로 실행을 요구할 수 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를 따르지 않을시 FATF의 블랙리스트에 오르게 되며 이는 결국 외국 투자를 받는것이 거의 불가능해집니다.

한국의 경우는 그동안 암호화폐 관련 움직임이 없었던 이유중 하나도 이 FATF의 규제방안을 기다리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나올 국내법안과 규제방안을 잘 지켜보고, 각 암호화폐 거래소의 대응 방안및, 잦은 개인간 거래를 하는 프로 트레이더분들은 이에 대한 사항들을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사 소스: Coindesk
기사 소스: Sky Daily
원문 소스: Coindesk

[Coinmine] 가정용 BTC, ETH, GRIN, MONERO, ZCASH 채굴기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7ENxCh9D-image.png) [Source: Coinmine.com](https://coinmine.com/)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BTC의 가격 회복과 더불어 Cloud mining의 제품들도 다시 잘 팔리고 있고, 일부 마이닝을 하셨던 분들도 BTC의 반감기가 오기 전에 채굴기를 다시 켜야하나 고민도 하실 수 있을듯 합니다. 저도 초창기에 멋모르고 구매했던 Sia 채굴기가 있었는데, 당시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그냥 집에서 돌리면 되겠지 하고 테스트 삼아 가동을 시키고 팬 소리에 기겁하고, 한국의 누진제 때문에 다시한번 기겁하고 결국은 가동을 포기한적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채굴의 경우는 ASIC채굴기의 경우는 발열및 온도관리에 따른 팬 소음, 전기값, 그래픽카드 채굴기도 마찬가지로 온도 관리와 전기값을 등을 보면서 채굴하고자 하는 코인의 채산성을 잘 봐야지만 손해를 보지 않는 구조입니다.

이번에 소개드릴 기기는 채굴기같은 느낌보다는 NAS비슷한 느낌의 기계입니다만, 채굴목적 전용으로 나온 상품입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srl31ear-image.png)[Source: Coinmine.com](https://coinmine.com/)

1. 간편요약

180W의 저소비전력및 선풍기 정도의 저소음 모델로 앱으로 Wifi만 연결하면 어디서든 BTC, ETH, MONERO,ZCASH, GRIN을 쉽게 플러그앤 플레이로 채굴 할 수 있는 가정용 채굴기입니다.

2. 스펙

  • 크기: 393mm x 323mm x 80mm (느낌을 보시려면 A4용지 두장 나란히 있는 정도의 깊이와 한장정도의 높이입니다.)
  • 무게 : 5.6kg
  • 소음: 정확한 값을 주지는 않지만 일반 데스크탑 PC나 고출력 게임기정도의 소움이라고 합니다.
  • 연결단자: Wifi 와 이더넷단자
  • OS: 자체적인 MineOS (아마도 linux기반 OS를 마이닝 전용으로 튜징했을것으로 추정)
  • Hashrate
암호화폐 Hashrate
ETH 30.2mh/s
Monero 800 h/s
Grin 1.5 gps
Zcash 300 sols/s
Cosmos Staking
  • BTC마이닝은 기계가 직접 하는 것이 아니라, ETH, Monero, Grin, Zcash중 하나를 마이닝해서 백단에서 가장 좋은 조건으로 BTC로 환전을 하고 지갑에 넣어주는 virtual mining 방식이다. 이는 저효율 마이너의 단점을 시스템적으로 보완하고자 만든 시트템입니다.

3. 채산성과 가격

현재 coinmine의 가격은 6월 24일까지 유효한 할인코드를 이용하면 100불 할인된 가격인 699USD, 거기다가 한국까지 배송하면 115,97USD추가. 여기다가 관세 10%라고 치면 약 895USD정도입니다. 100만원이 넘어갑니다. 현재 Coinmine의 파운더인 Farbood Nivi님은 금일 기준 한달에 (하루가 아닙니다) 약 15-20USD의 BTC를 채굴한다고 합니다. 실제 이더리움 30.2mh/s로 계산했을시 약 20불정도의 채산성이 나오기는 합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8vwZuWM1-image.png)[Source: Crytocompare.com](https://www.cryptocompare.com/mining/calculator/eth?HashingPower=30&HashingUnit=MH%2Fs&PowerConsumption=180&CostPerkWh=0.0&MiningPoolFee=0)
이를 바탕으로 일년간 약 26.8%의 ROI (895USD 구매기준)이 나오기는 합니다만, 채굴기 채산성의 아주 중요한 한가지는 전기료입니다.

180W를 기준으로 한달간 전기사용은 129kWh정도라서 약 1만원정도의 전기료가 예상됩니다. (누진세 고려 안하고 할인없는 주택용 저압 기준)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jVK1Kz3-image.png) [소스: 한전](http://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J/A/CYJAPP000NFL.jsp#)

전기세를 빼면 연간 ROI는 13.4%로 떨어지긴 합니다만, 그래도 Plus입니다.

중요한 것은 사실상 채굴기를 돌릴때는 지금 당장의 채산성이 아니라 미래의 채산성에 대한 betting으로 미리 채굴하는 느낌으로 하기 때문에 암호화폐의 가격이 오를것이라는 생각이 있을때 plus minus 제로게임을 하더라도, 우선 암호화폐를 채굴해서 만들어놓고, 고가일때 판매하는 정책으로 가야합니다. 즉, 같은 채굴량을 유지할수 있다는 가정하에 예를 들어 연말에 이더리움 가격이 다시 5배 뛴다면 그때까지 채굴한 이더리움을 판매시 연간 ROI는 120%로 뛰는 격입니다.

물론 그정도 뛴다고 하면 그냥 이더리움을 사서 다시 파는것이 ROI는 훨씬 높기는 합니다. ^^ 5배니까요.

4. 개인적인 생각

현재 주문시 배송까지 최소 2주, 최대 8주까지 걸린다고 합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oWhyTIo-image.png)
약 한달후에 제품을 받는다고 치고, 채굴기를 돌렸을때 사실상 가장 좋은 조건은 전기료를 따로 내지 않는 조건을 형성했을때 그냥 취미삼아 조용하게 채굴을 직접 체험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정도로 생각하면 재미있는 기계입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그래픽카드 채굴기 6Way를 저가형 1050Ti로 세팅했을때 현재 가격이 약 200만원인것에 비해 실질적인 전기사용은 180W대비 약 350W정도를 (2배가 안됨) 소비하고, Hashrate는 overclock시 ETH 30.2Mh/s대비 87.6Mh/s정도를 예상할 수 있어서 효율측면에서는 상당히 떨어진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안방에다가 그래픽카드 채굴기 6Way를 그냥 놓고 채굴하기는 소음때문에 조금은 무리가 있는것은 사실이지만서도요.

결국, 이 제품은 채산성을 일부 포기하고, 대신에 소음과 사용성을 잡은 제품이라고 보시면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사 소스: coindesk.com

[Steemhunt] A FAQ with the most asked questions about Steemh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NlDpeTMv-image.png)

Hi, @jayplayco here. It is now over a year that Steemhunt has launched and a lot of things have happened. It is still a fact that most of the community are posting their hunts on Steemhunt and leaving comments on the hunts, but the play ground of the community is still happening on the Discord channel that Steemhunt is running.

As in every community it is always difficult to have a soft landing into it, as the information gap between a newcomer and old members is in the beginning quite big. So I would like to summarize some important questions that Newbies have around Steemhunt.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Question : I am totally new, what is this?

Steemhunt is a community driven hunting platform for product enthusiasts. The goal is to find cool and new products within the IT, CE or Software industry and post it to get it ranked on a daily base from other hunters.

2. Question : Cool, I found Steemhunt over Google, how can I start?

For browing and looking at cool hunts from the ranking board, you need nothing special, but in the moment where you want to participate with upvoting other cool products or posting your own hunt, you will need to sign up.

3. Question: Ok, where can I sign up?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md1MuYu9-image.png)
* Link: https://steemhunt.com/sign-up Look for the Sign Up button and create an account. If you create an account, it is going to be a Steem account, which can be used on all Steem based services. You can imagine it similar to a Google account that can be used on all kind of Google services or even as login for other services.

4. Question: Steem Account? I thought I am making a Steemhunt acco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FJ6TodSx-image.png)
Steemhunt is running on a blockchain called Steem and rewarding also in Steem and own Hunt tokens, which can be exchanged later into other cryptocurrencies like BTC. Because of the reward system you will need a Steem account to participate on the services that Steemhunt is offering. But don't worry, the account creation is as easy as setting up a new email account. Make only sure that you will get a password (so called Key) that is fixed and you need to write down on a safe place, as otherwise your account would be lost.

5. Question: OK, I have created an account, should I post a cool h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PIGQgReC-image.png)
Sure, why not. A few tips for the start. * Search with keywords like the brand name or product name if your product is not already hunted. Steemhunt allows a product only for one time. First hunt first serves. :) * Make sure that you get the name of your hunted product right, so others can find it easily. * If you want, describe your hunted product. Other hunters like to see why you have hunted this product and why you think it is cool. * Add a few matching tags and post your hunt~!

6. Question: I have posted my hunt, what happens now?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cUpg4AoC-image.png)
Steemhunt has a moderation process. It means that your hunt is going to be reviewed manually from one of our moderators. As our moderators are also volunteered community members and working from around the world, it can take some time until a moderator has been able to review your hunt. Steemhunt does not offer a service level agreement on reviewing hunts, but in most cases a hunted product is reviewed and moderated within 24 hours.

You can see that your hunt has been either approved and verified or delisted based on a comment from one of our moderators.

7. Question: Delisted? On what base?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9eCY9RM9-image.png)
* Link: https://github.com/Steemhunt/web/blob/master/POSTING_GUIDELINES.md You can find the posting guideline directly on the top right when posting a hunt. Our moderators are verifying each hunt based and against the actual posting guideline.

8. Question: I have edited my hunt and it should be ok now. How can I contact the moderator for another review?

An edit of your hunt is only required when the moderator ask specifically for it. If there has been a request you can leave a comment on the latest moderator comment that you have edited and finalized your hunt. If there was no edit request for your hunt you are free to edit, but your moderator will not come back for a review for it.

9. Question: I have seen that a former hunt has been verified and mine was similar but delisted.

Moderators do not compare a hunt against a former approved hunt from another hunter or moderator. They only concentrate on the hunt they have to review and verify it against the actual posting guideline. If you still think that your hunt is matching to the posting guideline and that the moderator may have wrongly delisted your hunt, you can appeal for it.

  • Link: https://discord.gg/QyCkhSX
    Please move to the #moderation-appeal channel and read the pinned message to appeal. You will need the keep the following format for appealing.
    1) Moderator tag
    2) Steemhunt product link
    3) Reason for appeal

It happens often that hunters appeal that they have edited their hunts after delisting, but an appeal is when somebody wants to appeal that there is a moderation error and not a hunter error.

10. I have appealed but my moderator is not reacting for the last 24 hours!

An appealed hunt needs to be reviewed directly from your moderator. As it can happen that they are not directly available, a review of an appeal may take longer to be finished. If you are not satisfied with the final review of your moderator after appealing you can also escalate it to the community manager. It will then finally reviewed and settled.

11. Yeah, my Hunt is verified and I get upvotes, what now?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ZTu1t8OT-image.png)
If you get upvoted there are two parts that you will get. One part is a Steemhunt internal calculated Upvote Score that is based on the activity of hunters and the staked Hunt token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D3MdJdXC-image.png)
Your daily ranking is going to be decided based on how many Hunt Score points your get. It is important that your hunt is ranked within the first 100 Hunts, because it will influence your User Score within Steemhunt. You can find more about your user score under your profile page directly under your avatar. If you click the ? on the right of "User Score" you can read how the user score is calculated.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lAMiAbE-image.png)
The reward you could get is shown on the left buttom of your h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yZrbCVH2-image.png)
The number is shown in $, but it is not USD but within the Steem economy so called STU $. It is very near to USD and the base how much you will get as reward. The reward is payed in a currency called Steem and SBD (50:50) and can be checked on the Steemit wallet. * Link: https://steemitwallet.com/@YOURSTEEMID Under specific conditions, Steemhunt is also upvoting hunts. The conditions are as below. * Need to have a Steemhunt User Score above 1 * Hunted product needs to be ranked within the first 100 hunts.

12. OK, but if I look into my Wallet at Steemhunt I can see a HUNT token balance, what is tha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GPOOFeW9-image.png)
HUNT tokens are the internal currency within Steemhunt. You can earn Hunt tokens on different ways. A few of them are as below. * Delegating Steem Power to the @steemhunt account * Upvoting other Hunt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SAcnsb6z-image.png)
* Sharing hunts on other platforms and bring traffic to Steemh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eooaDBmH-image.png)
* Boosting a Hunt. (converting your STU into Hunt tokens when posting a h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RRMsR6qC-image.png)

13. What can I do with Hunt tokens and why do I need them?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7ovbFJHG-image.png)
Hunt tokens can be traded on an exchange, but more importantly you will need to have Hunt tokens in your Wallet to increase your User Score within Steemhunt. Steemhunt is upvoting based on the ranking of your hunt and your user score, so if you have a higher user score, the daily upvoting you could get from Steemhunt is also increasing.

There are of course a lot of more questions out there, but for a quick start it should help to have a softer landing at the Steemhunt community. If you have any further questions, please don’t hesistate to join our discord channel and ask the community, as the Steemhunt community is very supportive.

[Libra] 페이스북 리브라 프로젝트에 대한 각종 여론및 반응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2jTABqLb-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작일 페북에서 드디어 리브라에 대한 백서를 공개하면서 여러곳에서 우려, 환영및 분석에 대한 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의 여론을 보기 위해서 여러곳의 목소리를 모아서 간단하게 요약해보고 분석해봅니다.

1. 중국의 PG들은 페북의 리브라를 따라할 생각이 없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br46gM78-image.png)
[소스: China’s Biggest Payment Firms Have No Plans to Follow Facebook into Crypto](https://www.coindesk.com/chinas-biggest-payment-firms-have-no-plans-to-follow-facebook-into-crypto) 중국의 Wechat을 소유한 Tencent나 알리바바의 Antpay측은 페북과 같이 암호화폐쪽으로 코인을 만들 예정은 없다고 합니다. 이들의 경우는 사실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단일 시장및 단일화폐를 타겟으로 하는 관계로, 굳이 암호화폐까지 만들어가면서 대응할 이유가 없어서가 가장 큰 이유입니다.

개척해야할 시장의 경우는 로컬 PG와 손을 잡고 연계해나가는 서비스를 할 예정들이라고 하며, 이는 페북의 유저 베이스와는 현저히 차이가 나는 배경에서 옵니다. 페북의 경우는 2/7억명의 유저가 전세계에 분포가 되어 있어 글로벌하게 페이먼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의 기술과 자체 화폐를 발행하는것이 가장 좋다는 전략적 답변이 나온것이고, 중국계 PG들의 경우는 당이 ICO를 금지한것도 크게 적용하겠지만, 언급된 바와 같이 이미 단일 화폐를 바탕으로 PG를 사용하기 때문에 페북과 같은 유저층의 국적및 필요 화폐가 다양하지 않아서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중국 정부의 움직임을 유심히 살펴야 하는 중국계 PG들의 경우는 암호화폐 코인쪽을 쉽게 가지는 못할것이라고는 예측은 이전부터 있었습니다. 물론 알리바바나 다른 IT기업들이 암호화폐쪽에 관심을 두고 블록체인 기술도 지속적으로 적용은 하고 있습니다. 소스:알리바바 IP에 블록체인 적용 페북도 이미 국가없는 화폐의 첫 단계를 밟으면서 각국가들의 반발이 일어나고 있으니, 이에 대한 진행사항을 잘 지켜보고 필요시 중국 정부차원에서 지원이 나가면 빠르게 움직여서 치고 나갈것으로 생각됩니다.

2. 유럽 기관들 페북 리브라 코인에 대한 반발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bDmsDL5H-image.png)
[소스: Facebook’s New Crypto Faces Scrutiny From European Authorities](https://www.coindesk.com/facebooks-new-crypto-faces-scrutiny-from-european-authorities) 예상했던 바와 같이 유럽의 정치적인 움직임은 페북의 리브라 화폐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유럽 프랑스와 독일의 재무부장관들은 이미 공식적으로 페북의 리브라는 규제 조사를 해야한다고 언급하고 있고 페북이 2억명의 유저를 바탕으로 "그림자 은행"을 만드는것은 규제를 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미국의 인터넷 대기업들은 (구글, 페북, 아마존등) 각 국가에서 많은 실적과 매출을 올리지만, 실질적으로 세금은 잘 안내고 있는 세금 우회를 아주 잘하는 것으로 유명하고, 이에 따라 EU는 예전부터 이런 관례가 마음에 들지 않아 인터넷 기업들에게 세금을 강제로라도 걷게 하려고 법안을 진행하다가 일부 EU국가들의 반대로 실패한 경험이 있습니다. 소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없는 은행까지 만들어서 장악을 한다면 아예 통제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유럽의 경우는 특히 프랑스와 독일이 인터넷 대기업들의 세금우회로 가장큰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유럽내에서 비교적 세금에 관해 우호적인 아일랜드이나 Luxemburg등의 국가들의 도움으로 사실상 그 국가에 세금을 거의 안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에 국가없는 은행격으로 키우려고 하는 Libra까지 성공한다면 실질적으로 무세금으로 운영이 가능한 상황까지 나와서 끝까지 규제를 하려고 들겁니다. 문제는 EU의 경우는 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워낙 어려워서, 과연 독일과 프랑스가 얼만큼 EU의 목소리를 통합해서 규제를 할지를 주목해야할것 같습니다.

3. 미국의 상원 은행위원회 출석 요구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DgAc4nUh-image.png)
[소스: Senate Banking Committee Schedules July Hearing on Facebook’s Libra Crypto](https://www.coindesk.com/senate-banking-committee-schedules-july-hearing-on-facebooks-libra-crypto) 미국의 상원 은행위원회에서 이번 2019년 7월 16일 페북의 리브라에 대해 듣기 위해 출석을 요구했습니다. 일부 미국내 목소리는 프로젝트를 그때까지 멈추라고까지 하기도 합니다. 현재 분위기는" 페북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이 너무 크며,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조치가 미흡해서 더욱더 많은 정보를 줄것이 아니라 (금융 정보) 책임을 지도록 해야한다고", Elizabeth Warren이 트위터를 통해 말하기도 했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WKc5fKc-image.png) [소스: Elizabeth Warren Twitter](https://twitter.com/ewarren/status/1141438225539637248)

개인적인 생각 중국과 유럽이야 어떻게 나오던 페북 입장에서는 우선순위가 떨어질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정치적으로 봤을때는 미국내에서 정치적으로 우려를 지지까지는 아니더라도 중립적인 입장까지만 바꿀 수 있다면 확 치고 나갈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정치적인 분위기로는 현재 상당한 역풍이 예상되기는 합니다.

4. 개인적인 견해

각 국가별로 심하게 규제를 하고자 노력할것으로 생각됩니다. 페북의 정치적 자본적 영향력이 어디까지 될지 지켜봐야할것 같네요. 단, 성공을 하던 실패를 하던 암호화폐에는 페북을 통해 한순간에 대중화가 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아직도 일반적인 대중이 암호화폐라는 매체를 바라보는 시선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것은 확실하다고 생각됩니다.

[스팀엔진] 임대 가능 - 사용법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WGve1i2EXEbTjMJTDatxU5pssBRbxP63zyEjoyaXPbXp/image.png)
오늘은 바쁘네요.

다름이 아니라 스팀엔진 토큰의 임대가 가능해졌습니다. 각 토큰 오너분들은 스팀엔진에서 설정을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aggroed가 주체가되고 있는 Palnet에만 구현이 되어 있습니다. (이럴줄 알고 이를 위해 PAL코인을 소량 구매했었습니다. ㅎㅎ)

1. 스팀엔진에서 임대하기

(아직 Nitrous 지갑상에는 적용이 안된것으로 확인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dFs7BrHk5sv8F27zKNjTYJuabtZrw6eeYLfVZ79s3feD/image.png)
오늘쪽 끝에 선물 버튼이 보이실 겁니다. 그것이 임대 버튼입니다. 누르시게 되면 익숙한 화면이 나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NfrCtJ6AUaK7RPCC1EaKMEpw21uHpPnFNH2b88v7sjAY/image.png)
임대 받을 계정과 토큰 수량을 적고 임대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NdM37vue5FS2Pk8qFgdSfWZ8qkJkwmKrxJ9oq3SvqJnB/image.png)

임대를 다시 취소하고자 하면 맨 오른쪽 폴더에 minus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누르시면 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aNU6XfdTqKQtwaYiJgrhRxhbES15t7ZqySooYX9fo75c/image.png)

이렇게 임대 취소하고자 하는 양을 적어주시고 임대를 취소하시면 됩니다. 여러명에게 임대를 했을 경우는 계정명을 따로 적어줘야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eb7HR6YzS7W5xhV1gTfzvL6iV7pT5ttJCcwevWrG95Vi/image.png)

흠 임대 취소를 하려니 에러가 뜨네요.

![](https://cdn.steemitimages.com/DQmcYh2Eh2fPn49C9TyWzPhaaXCszdS8yKGjUe7DM75auL3/image.png)

추가로 임대를 줬는데 임대를 받은 계정에 해당 코인이 아직 보이지 않는것도 있습니다. 시간을 두고 조금 기다려야 하는지 봐야겠습니다. 아직 기능이 안착하기 전까지는 PAL쪽 임대 기능 활성화를 추천드리지는 않고요, AAA나 SCT도 임대 활성화를 준비중일텐데, 테스트후 유저분들은 활성화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내 5PAL은 임대주고 사라진건가?ㅋ)

이상 빠른 스팀엔진 임대 테스트였습니다.

[스팀엔진] 하드포킹 실시 / 임대의 시작

https://steemitimages.com/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TFFL2YuUFxFC1UTEZiV5feVC8o64ff2FXKoxEApgX1h9/image.png
[소스: Steem-Engine hardfork imminent! Scheduled for 20 minutes from now!](https://steempeak.com/steem-engine/@aggroed/steem-engine-hardfork-imminent-scheduled-for-20-minutes-from-now)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금일 약 1시간 전에 스팀엔진 하드포킹이 실시될것이라는 소식이 전달되었습니다.

잠깐 스팀엔진상의 작업들을 멈추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와 더불어 지난번에 안내해드린 사항들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aggroed측에서는 이미 테스트넷에서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어서 크게문제는 없을것으로 보인다고 하며, 아마도 몇분간 디스플레이 에러정도일거라도 예상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잘못되면 다시 고칠 수 있으니, 걱정은 하지말라고 합니다.

[Libra] 페북 스테이블코인 리브라 백서 공개및 간편 요약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ojL7fCRi-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Facebook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Libra가 드디어 백서를 공개했습니다. 정식적인 번역본은 다른분들의 영역이라 저는 언제나와 같이 빠르게 읽고 핵심만 이해할 수 있는 초요약 및 해석본을 제공드립니다. 하기 초요약본은 기술서를 따로 다루지는 않습니다.

1. 문제점 제기와 기회

크게 색다른 내용은 없고, 저가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wifi만 있으면 전세계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과 그에 비해 약 1,700,000,000명의 성인들이 제대로된 은행시스템에 접속하지 못한다는 것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이 좋다는 점을 어필. 그러나 블록체인이 아직 대중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이를 해결하고자함. 쉽게 Libra를 통해 금융 시스템 개혁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함.

2. Libra 소개

중요 사항은

  • 자체적인 블록체인에 의해 가동됨
  • 실질적인 asset에 기반되어 Libra라는 코인 발행
  • Libra Assosiation이라는 독립적인 비영리 협회가 블록체인 생태계를 책임짐.

이때 Libra Association이라는 비영리 단체는 노드를 운영하는 곳들의 멤버로 이루어지며 (가입비 약 120억원) 스위스에서 이를 위해 비영리 단체를 만들었습니다. 초기 설립 멤버들을 자세히 볼 필요가 있어 나열합니다. (핵심중 하나라서)

1) 금융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vIGg6WD9-image.png)
* Mastercard (신용카드) * PayPal,(세계 최대 온라인 PG중 하나) * PayU (Naspers’ fintech arm) * Stripe(페이팔과 맞먹는 PG) * Visa (신용카드)

2) 기술과 마켓플레이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RHJcWCkt-image.png)
* Booking Holdings (booking.com, kayak.com, agoda.com을 운영하는 업체) * eBay (한국 옥션과 지마켓을 소유한 회사) * Facebook/Calibra (Calibra는 페북에서 만든 libra용 지갑인데 따로 회사를 파생) * Farfetch (영국 온라인 명품 판매업체) * Lyft (Uber의 경쟁업체) * MercadoPago (아르헨티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업체 - 2016년 매출 844Mil. USD) * Spotify AB (전세계에서 가장 큰 음악 스트리밍 업체중 하나) * Uber Technologies, Inc.(스마트폰 기반 승차 공유 서비스)

3) 통신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4yCPCGEi-image.png)
* Iliad - 프랑스 통신사업체 (2016년 매출 4.77 Bil. EUR) * Vodafone Group - 영국 기반 통신사업체 (전세계 서비스) - 2018년 매출 46,571Bil. EUR

4) 블록체인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m0a7G0cH-image.png)
* Anchorage - Andreessen Horowitz VC가 투자한 블록체인 기업 * Bison Trails - 여러 블록체인에 Infracstructure를 운영하는 블록체인 업체 * Coinbase, Inc.-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 Xapo Holdings Limited - 암호화폐 지갑

5) VC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z8AYX4HF-image.png)
* Andreessen Horowitz (Funding 규모 약 4Bil. USD / 2014) * Breakthrough Initiatives * Ribbit Capital * Thrive Capital * Union Square Ventures

6) 비영리단체 등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OuxFRYKo-image.png)
* Creative Destruction Lab - 시드 단계 비영리 펀딩 프로그램 (규모 약 3.5Bil. USD) * Kiva : 비영리 Micro lending * Mercy Corps: 인도주의 비영리 단체 * Women’s World Banking : 저소득 여성 금융 서비스

28개의 노드 운영 확정과 2020년 중반쯤 100개의 노드운영을 목표로함.

중요한 것은 현재로는 Libra의 노드 운영은 “허가제”로 운영이 된다는것과 유료(10Mil. USD,약 120억원)라는 것입니다. 즉, 왠만한 대기업이나 현금이 있는 기업이 아니고선 진입 불가라는 것입니다. 추후 노드 운영은 기술적인 조건만 갖추며 허가 없이 노드를 운영할 수 있도록 전환을 예정하고 있습니다만, scaling을 위해 시작은 허가제 노드입니다.

이를 위해 Libra Blockchain은 opensource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3. Libra 블록체인은?

Libra 블록체인은 수억개의 계정의 transactiond르 소화하기 위해 기존 기술들에서 배우고 아예 새롭게 설계가 되었습니다. 그 핵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 Move 프로그래밍 언어 디자인 및 사용.(아예 새롭게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 비잔티움 내결함성 (BFT) 합의 방식을 사용
  •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사용된 블록 체인 데이터 구조를 채택

Move라는 언어는 개발자분들이 보셔야 알 것 같습니다. 중요부분은 asset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것으로 확인됩니다.

BFT의 경우는 네트워크가 합의를 보지 못하더라도 체인이 멈추지 않고 계속 작동하는 원리입니다. @twinbraid님이 이것 관련하여 조금더 자세한 글을 소개하셨습니다. 링크

4. Libra 화폐

리브라라는 화폐는 스테이블 코인을 지향하는 관계로 발행시 그에 해당하는 asset을 안전자산으로 가져갑니다. 이때 이 안전자산은 특정 화폐 (USDT와 같이 USD라는..)에 연동된 것이 아니라, 비교적 가격 변동이 덜한 은행 예금, 단기 국채등으로 연동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Libra는 연동된 asset의 변동성이 아예 없는 것이 아닌 관계로, 일반 화폐가 예를 들어 금으로 (USD와 같이) 자기 가치를 보장하는 방식과 비슷한 것입니다. 이는 결국 Libra는 한 국가의 통화와 비슷하게 변동폭을 가지고 가격이 변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은행 예금이나 국채에서 나오는 이자의 경우는 Libra의 가치에 재반영되는 것이 아니고 노드 운영비용, transaction 비용 보조와 투자자 배당에 쓰일 예정입니다. 결론은 Libra 운영자들의 몫이고 Libra 사용자의 몫은 아님. 상세 영문 정보 링크

5. Libra Association (비영리 단체)

10Mil. USD를 내고 노드 운영에 참여한 28개 단체가 멤버를 이룹니다. 중요한 것은 이 비영리 단체가 Libra 코인을 생성과 소각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는 것입니다.

Coins are only minted when authorized resellers have purchased those coins from the association with fiat assets to fully back the new coins. Coins are only burned when the authorized resellers sell Libra coin to the association in exchange for the underlying assets. 소스

리브라 코인이 생성되는 것은 승인된 리셀러가 리브라 단체에 Fiat assets으로 구매해서 백업이 가능할 경우에만 생성된다. 소각은 마찬가지로 승인된 리셀러가 Libra 코인을 리브라 단체에 다시 재판매하고 그에 해당하는 asset를 되돌려 받을때 소각됩니다.

6. Libra 다음단계

  • API 생성
  • 오픈소스식 Framework 셋업
  • Reserve (asset로 들어온 Fiat)를 지리적으로 분배
  • 승인된 리셀러와의 프로세스 정의
  • 추가적으로 100명까지 지리적으로 분포가 된 Libra Association Council과 노드 운영자 찾기
  • Libra Association의 Managing Director 헤드헌팅

7. 참여방법

8. 개인적인 생각

우선 참여 기업들이 대부분 대기업에 현금 유동성이 상당히 좋은 기업들이 많고, 실질적으로 자산을 바탕으로 하는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할 경우 5억명의 페북 유저부터 빠르게 잠식해갈 수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USDT와 같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가 되고 있는 코인은 Libra로 묻힐 확률이 상당히 높을 것 같습니다.

우선 Coinbase가 노드 운영에 참여를 한 관계로, coinbase에 상장될 확률이 높다는 가정하에 다른 거래소 상장도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블록체인이 그동안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시각을 단번에 지우고 일명 Mass Adoptation의 첫 단계를 밟을 수 있을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프로젝트로 판단됩니다.

[Breez]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 모바일 지갑 iOS Beta버젼 출시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Ji16cbp-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이번에 Breez라는 곳에서 비트코인용 라이트닝 네트워크 지갑을 아이폰용 베타 버젼을 공개했습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으로 소액결제를 이동중에도 쉽게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한번 파고 들어가보겠습니다.

0. 라이트닝 네트워크란? (Lighting Network)

스팀을 쓰시는 분들은 별로 큰 어려움을 느끼지 못하실텐데, 거래소 내에서 비트코인 거래가 아닌 실질적인 비트코인을 지갑에서 지갑으로 최근에 이동을 시켜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우선 비트코인을 전송하는데 기본적으로 비용이 들지는 않지만, 사실상 transaction이 실행이 되기 위해서는 transaction fee를 포함해야 하는것이 사실이며, 이는 많은 량의 비트코인을 이동할때는 어쩔 수 없다고 하지만, 커피값 정도되는 비트코인을 전송하는데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 현재 비트코인은 블록당 1MB가 들어가게 되는데, 트랜스액션을 처리해야할 마이너(miner)의 경우에는 트랜스액션 fee가 높은 거래를 우선시하는경향이 있고, 소량의 비트코인의 경우에는 그만큼 트랜스액션 비용도 적은 관계로 우선순위가 밀릴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트포크를 해서 1MB의 제한을 풀어버려서 스케일링을 할 수 있으나, 그에 따른 다른 문제점들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전송 속도, 처리 하드웨어등등)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확장성을 위해 블록크기를 늘린것이 아닌 오프체인에서 수수료를 낮추고 소액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임. 즉, 약간 비트코인 오프체인의 사이드체인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1. Breez의 지갑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wHWt0cvm-image.png)

브리즈의 지갑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각각 설치를 하고 소액 결재를 할때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쉽고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게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실제 결재를 할때는 Breeze의 허브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 허브는 Lightning 노드를 이용해서 진행됩니다. 각 지갑에 저장된 비토코인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거래가 있을때 마다 당사자들의 Bitcoin의 변화하는 양을 반영하기 위해 거래가있을 때마다 대차 대조표에 서명을 하면서 증명을 합니다. 트랜잭션이 완료되면 잔액이 최종 비트코인 블록 체인에 등록됩니다. 분쟁이 일어날 경우에는 가장 최근 대차 대조표를 사용하여 지가분 분쟁 발생시, 양 당사자는 가장 최근에 서명 한 대차 대조표를 사용하여 잃어버린 부분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기존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은 Breez의 지갑을 쓸 수 있었지만, 이번 iOS 베타 출시로 전체 모바일 시장의 약 98%를 커버하게 되었습니다.

2. Breez 지갑의 비젼

브리즈 지갑의 경우는 100% 비트코인의 소액 결재를 위해 최적화되었습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사용이 그 단적인 증거이죠. 이제 소비자용 지갑은 완성이 되었으니 사실상 Breez측에서도 다음 단계로 필요한 것은 판매자를 위한 POS 클라이언트 라고 합니다. 이것까지 제공이 된다면, 손쉽게 비트코인으로 소액 결재를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질 것 같습니다.

소스: Lightning Network - Wikipedia
소스: 쉽게설명하는 블록체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소스: Breez Medium 공지
소스: 코인데스크 Breez 기사
소스: Breez Github

[RoadofRich] Findings about the team and projec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lUCJukC-image.png)
Hi, @jayplayco here.

I’ve got a personal message with concerns about the project Road of Rich, which is claming to be a Steem based SRPG game and in the moment in Pre-sale for their tokens on Steem-Engine.

I’ve written a posting a few days ago for the KR community and digged deeper into the team, as they were not well known on Steem, which resulted in a very fast sold out of their first pre-sale.

Link:

After the request I’ve decided to write a short post about my finding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0. TL;DR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MHPzjIiP-image.png)
Road of Rich is a SRPG game based on Steem and a Steem-Engine token called RORS. The team behind the game is organized from members of different companies, which include a blockchain agency (Useb), a HTML5 game maker company (ziplab) and a company that is responsible for the illustration. (AI-Channel)

1. Are they real?

The Steem community has now seen a lot trials of games which partly resulted in disappointing or even runaway over night (like Magic Dice). A steady and continued player is @steemmonsters, now rebranded as Splinterlands and utilizing the advantages of other blockchains, using Steem as main layer and bringing therefore new Steem users on board.

As Road of Rich is a team based in Korea, the Korean Steem Community had also interest in the project, but was not sure because there was not a lot of information available about the team nor have been significant activities noticed before their announcement.

@ai-channel, the account who is responsible for the marketing activities on the Korean Steem side is active on Steem since 2017 but was also not well known nor well integrated into the KR community.
So I got in contact with the team to be able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them. Please find the interview translation, which I had on Discord with one of the Cofounders Nia. The interview happened at 4th of June 2019.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6D4q9QR-image.png)

a. Please introduce yourself.

I am Nia and one of the co-founders of the project ROR. I am responsible for planning the game structure of ROR.

b. How is the team of ROR structured?

Link: http://roadofrich.com/team/
We are key members from different companies gathered together to make ROR possible. In total 5 members including Martin Kim from UseB and Oh-Hyun Kwon from Ziplab are driving the project but we are increasing the members based on the project needs out of our resource pools. (Based on the team introduction on @oadofrich, the team members had been increased since then)
The main companies involved are UseB (https://useb.co.kr/), which is a blockchain technic and marketing related company, Ziplab (http://zip-lab.co.kr/) which is developing the game and AI-channel (@ai-channel) which is the company responsible for our illustrations and also the national marketing on Steem. Additionially, we have VC’s on board.

c. If you create the game based on Steem, you will have speed issues.

Yes it is. We are also worried about the speed. When we experienced STEEM block chain based games, we felt it is a lot slower then conventional games. We are going to use Custom Json and use the Steem blockchain to relate to resource items and production related parts. Most of the parts to be utilized in the blockchain are likely to be included. In terms of speed, we are going to make it not too loose, but I think it is going to be unavoidable to centralize bigger parts. However, parts such as important item resource production facilities will use the STEEM blockchain.

e. Please explain your token economy.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w7RqJWWw-image.png)
First, we are distributing 100% of the game revenue and put in a dividend pool because we believe and rely heavily on the token economy. Our goal is to maximize the company's profits by increasing the token value. In other words, gam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us. We may add advertisement, but only if it is not hurting the playing experience of the user.

We already started to develop the game with our capital and VC investment. In fact, it will cost more in the future. We want to overcome the shortage through sales. As you can see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game, the scale of the game is not much different from a regular RPG game, so it is also true that the expected development time has increased a lot.

Payment is made with RORS token and STEEM OR SBD. This is because users who use the STEEM block chain can receive immediate payments and dividends into their account. 100% of paid items will get back to game players and token holders. The game player can collect game money, transfer it to the daily dividend pool and get a day’s dividend. Token holders can stake(hold) their tokens to receive dividends, players will keep their game money in the dividend pool or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within the game.

Edit: an updated version of their token economy

f. When will the dividend payment start?

It will start with the opening of the game.

g. Do you have a target for opening?

The alpha test is targeted for latest August this year.

2. Other Facts

a. Ziplab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lM8hATlt-image.png)
If you look at the company developing the game, you can find that they have a few days ago launched a game named called "The heritage of Mayhem"

The game is only in Korean, but works on HTML 5 and is mobile optimized.

Link: https://mayhem.zip-lab.co.kr/

So it looks like that the developers are able to deliver a game based on HTML5 and are also used to RPG like games. To make sure that company is really envolved I have personally called the number on their webpage and asked if their CEO Mr. Oh Hyun Kwon is involved in a Steem based game called Road of Rich. The person on the phone confirmed i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gek1R3af-image.png)![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b8ZtK2n-image.png)

b. UseB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8NjqvNUW-image.png)
I have called additionally the CEO of UseB Mr. Martin Kim and asked him several questions about the project. He is closely working together with Nia and Ziplab and also answers questions directly on the ROR discord server. UseB as a company is in the moment working on a solution for KYC to make it possible for companies to engage in cryptocurrency related business. He reconfimed that he is also involved with his team and that they are preparing the launch of ROR. They are also in contact with @birdinc (David from Steemit) who is in the moment in Korea and it is planned to meet with him this Wednesday. As you can see the latest post from @roadofrich is resteemed from the birdinc acco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ZrtWoS1L-image.png)

3. Personal thoughts

First of all, it is a great sign that an external team outside of Steem is seeing the potential Steem-Engine can give and trying to start a funding for their game with a Steem-Engine based token. As far as I can see, there is a real team behind the project and trying to bring the promised game to us. The mastermind is Nia Yoon, holding and pushing the project forward together with UseB, AI-channel and Ziplab.

I can not assure that the project will deliver as promised, as that is a risk that all kind of companies hold but based on the data I have got it looks good. I have asked to put additional Linkedin profiles on their key members on the Road of Rich page, so that international investors can also make their own picture about the team. The team is very responsive on feedback from the community and I hope also for the Steem economy that we can get the next blockbuster game on our Blockchain.

4. Contact Points.

!! Disclaimer: I am not related nor involved with the team of ROR, but have invested personally into their token. This is not an advise for investment but only for entertainment purposes.

[암호화폐 직불카드] Crypterium - 한국에서도 주문 가능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enqrKBG-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축구 다들 잘 보셨지요? 아쉽지만 대견합니다. ^^

새벽에 뉴스를 코인계 뉴스를 보다가 관심이 가는 내용이 있어서 조금더 조사하고 관련 사항 전달드립니다.

0. 간편요약 (TL;DR)

UnionPay 기반 직불카드를 발급 받아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이더리움을 충전해서 실생활에 결재를 하면서 쓸 수 있습니다. 다른 여러 서비스와 비교했을때 가장 큰 차이는 한국에서도 KYC이후 카드 주문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1. Crypterium 배경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aenVaSya-image.png)
회사는 구 소련의 한 지역이였던 Estonia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에스토니아는 스타트업과 암호화폐 관련 비교적 오픈되어있는 있고, 심지어 "ESTCOIN"이라는 국가 단위 암호화폐를 발표까지 계획했으나, EU의 반대로(질타) 그만두었던 국가입니다. [소스](https://complyadvantage.com/knowledgebase/crypto-regulations/cryptocurrency-regulations-estonia/)

Crypterium OU는 A 시리즈때 1백만USD, B 시리즈때 7백만 USD (2015년), 그리고 2017년 ICO떄 5천1백만 USD를 펀딩했습니다. 현재 KPMG와 H2벤쳐가 펀딩을 하고 있습니다.

CEO는 Steven Parker 라는 분으로 이전 동유럽 비자를 General Manager로 담당했던 분이 런던 주재하에 2018년 12월부터 하고 있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KfA0fN0-image.png)![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yMMGInJ-image.png)![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M9S5Eo8o-image.png)

직불카드가 연동된 은행은 Coindesk의 기사에 의하면 필리핀에 있는 은행으로 확인된다고 합니다.

2. 유니온페이 관련

UnionPay는 중국의 은행들이 출자해서 2002년 설립된 중국 국영 독점 신용카드입니다. 현재는 2008년 이후 국내 BC카드와 제휴를 맺고 있다. 소스
Crypterium이 비자나 마스터를 선택하지 않고 유니온페이를 선택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지역관리때문에 그렇다. 보통 비자나 마스터는 지역을 영국, 유럽, 미국, 아시아, 등등으로 나눠서 관리하고 있는데, 유니온페이는 간단하게 중국, 중국외로 관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즉, 제외되는 국가를 가능한 줄일 수 있는 이유와 전세계 서비스를 오퍼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3. 사용관련 (앱 연동)

Crypterium은 직불카드와 앱이 연동되어서 작동합니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앱이 있으며, 설치시 핸드폰번호로 로그인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xmk6tpp-image.png)

암호화폐를 보내고 전송하는것은 앱을 통해서 확인및 컨트롤을 하고 최초 사용시 KYC 없이는 150EUR까지 거래가 가능한것으로 나온다. 물론 카드를 받기 위해서는 결국 KYC를 실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제공해줘야 합니다.

  • 신분증 (면허 or 주민 or 여권)
  • 거주증명 (수도세, 관리세, 신용카드세등)
  • 전자서명 (종이에 서명하고 자신과 직접 사진찍기….)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Ylh4YIgA-image.png)

직불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암호화폐를 입금을 해야하며, 입금시 1.5%의 수수료가 붙습니다. 직불 카드 사용은 따로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만, 아마도 환전시 자동으로 차감을 어느정도 하지 않을까 예상은 합니다. 언제나 카드 환전의 경우는 직접 거래소같은 곳에서 전환하는것 보다는 손해일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KYC를 끝내면 사용 제한은 하루에 10K USD (약 1천2백만원) 이고 한달에 60K USD (약 7천2백만원)정도 됩니다.

4. 개인적인 생각

유럽에 살고 있으면 신청할 수 있는 카드의 종류의 비교적 많은데, 현재 한국에 거주시 비자나 마스터의 경우는 신청 불가능한 카드가 대부분입니다. 그만큰 이런 서비스가 이제 런칭해서 한국에서도 카드를 신청할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UnionPay라는 것, 은행이 완벽하게 밝혀지지 않은 필리핀에 있다는 것과 막상 회사는 에스토니아에 있으면서 대표는 런던에서 활동하는 형태는 암호화폐계가 서비스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많은 법망과 제한들을 뚫고 가야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기사소스 Coindesk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