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엔진] 임대와 소수점 자리 추가 - Hardfork 예정 - 한국시간 수요일 09시 AM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CwfqDjOy-image.png)

원문: https://steemit.com/steem-engine/@aggroed/hard-fork-announcement-for-steem-engine-delegation-and-decimal-precision-going-live-on-tuesday-at-8pm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스팀엔진측에서 예고했던것과 같이 임대를 적용해서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서 미국시간 화요일날 오후 8시, 한국시간 수요일날 오전 9시에 하드포킹후 라이브될 예정입니다.

이 시간대에 송금, 전송, 스테이킹등 (한국 출근시간이라) 잠깐 자제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아직까지 하드포크시 별 다른 이상은 없었으나, 하드포크라는 것은 언제나 위험이 따르는 작업입니다. 현재는 테스트서버에서 운영 시험중이고, 이 버젼이 라이브갈 예정입니다.

포함될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임대

임대 시스템은 스팀과 비슷하게 작동할 예정입니다. 현재 스캇파워를 다른 계정으로 임대해줄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업보팅과 다운보팅 풀을 따로 관리를 하지는 못합니다만, 이도 스팀엔진 측에서 조정 가능한지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2. 소수점 자리 증가

토큰 운영하시는 운영자분들은 소수점 자리를 1회에 한해 늘릴 수 있도록 허용이 됩니다. 다만 이는 한번만 허용이 되고 다시 취소가 되지는 않습니다. 또한 현재의 소수점 자리를 줄이는것은 불가합니다.

3. @aggroed의 개인적인 메세지

가끔 일부 커뮤니티에서 토큰을 만들때 할인을 해주거나 무료로 해줄 수 없냐고 문의가 오기도 한답니다. 간단하고 공식적인 답변은 “안된다” 입니다. 사실상 들여다보면 이유는 간단합니다. @aggroed와 스팀엔진팀이 모든 커뮤니티를 스폰서할 수 는 없으니까요.

4. 개인적인 생각

이제는 이러한 스팀엔진의 속도에 서서히 익숙해지고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사실 그게 더 무서운것이 한번 속도가 나면 그 이하의 속도는 실망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MT의 기능성과도 많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고, 스팀엔진은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을 지향한다면, SMT의 경우는 적은 비용으로는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추후 SMT가 나왔을때 이미 스팀엔진상에서 커뮤니티를 조성했을 경우 갈아탈 수 있는 환경이 점점 당연한것에서, 고민을 해야한다는 것으로 가고 있습니다.

[Steemhunt] Hunt Token Data and the economy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YzXAtPnK-image.png)

Hi, @jayplayco here.

HUNT tokens are now available on the Daybit exchange for about 2 month and it seems that the current price is stabilizing between 0.0075 and 0.01USD with a slow increasing in price.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juePCGn-image.p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token is now out in the wild, it seems there is also an interest from investors and the community to have a better overview about some facts of the token.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Overview of numbers for HUNT token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zfp9ILM3-image.png)
It was planned to use 50% of Hunt tokens for the ecosystem and community building. The overview is as below.

Total volume is 500Million Hunt tokens.

  • Ecosystem and community building 50% - 250 Million Hunt tokens.
  • Reserve for future business development 20% - 100 Million Hunt tokens.
  • Team members (2 year vesting) 10% - 50 Million Hunt tokens
  • Token sales via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10% - 50 Million Hunt tokens
  • 2nd round funding 10% - 50 Million Hunt tokens

So, let’s get into the details of how much tokens are now in the wild.

a. Ecosystem and community building - total possible 250 Million Hunt token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apLmXBc-image.png) [Source: rawpixel](https://pixabay.com/de/afrikanische-american-asiatische-3476371/)

We have as of today (14th June 2019) in total 82,013,809 Hunt tokens distributed, which is 32.81% of the original planned Qty. The distribution speed has been dramatically slowed down after the listing of Hunt tokens, as the distribution system has been changed from a fixed pool of tokens to a market related ROI model. As an example with a 10K SP fully upvoting at Steemhunt 10 times, you were able to get an average over 1000 Hunt tokens in the beginning of the year as you would get it distributed based on the voting % of a fixed pool of 40K Hunt tokens per day.

In the moment upvotes at Steemhunt are coupled with an ROI per annum. A 4$STU upvote would get a result of about 46 HUNT tokens as reward which would be about 0.43USD. It is about 10% additionally you are able to get on top of your 25% curation reward. If we assume that there is no change in any price (Steem, Hunt, SBD, USD) and we would upvote 4$ STU per day at Steemhunt, we would have a SP+SBD curation reward of 365USD(Curation) + 156USD(Hunt Tokens) = 521USD. If you are anyhow curating on Steem, direct curation on Steemhunt would definitely increase your reward on a daily base.

But getting back to the total 82Million Hunt tokens distributed to the community. Especially from investors that have invested into the IEO of Hunt tokens, this community build Hunt tokens could be a thread to the price of the hunt token, as if all the Qty would be getting into the market, the price would collapse immediately.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the team has made accessible on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I would like to review these numbers.

  • 82Million Hunt tokens distributed for community building.
  • about 50Million Hunt tokens are unlocked (from the 13weeks lock directly after the listing of Hunt tokens)
  • about 8.4 Million (16.8% of the unlocked Qty) are moved to an external Wallet and 4.4 Million of them moved to an exchange or other external wallet. (A registered ETH wallet hooked to Steemhunt is still counted as staked Hunt)
  • This means that only 5.3% of the total distributed Hunt token Qty. is in the moment available for trading on the market.

We can see that the support of the community is strong and the major Qty. of Hunt tokens are still staked on most of the wallets of Steemhunt users.

There are still about 167 Million tokens left that can be used to build the community, but the team already informed that when the swap to SMT is going to happen and POB and a proper inflation pool is working, that the left over Hunt tokens are going to be burned from the community building pool.

b. Reserve for future business development - 100 Million Hunt token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biWv5xXf-image.png) [Source: Razvan Chisu](https://unsplash.com/photos/Ua-agENjmI4)

These Qty. are mainly for further business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we will see official announcements when this kind of Qty. are going to be used.

c. Team member (2years vesting)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8QF0P5LV-image.png)

The vesting for team members started at the 15th of April 2019 and it is not yet decided how the payment schedule will look like, so there are in the moment no tokens distributed from this vesting at all.

d. Token sales via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 50 Million Hunt token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4Rt7iORj-image.png)
There have been IEO's on three different exchanges, including Daybit, where the Hunt tokens have been listed. Except the second IEO on Probit, all other offerings had been sold out.

Including the bonus Qty. that distributed, about 34 Million Hunt tokens have been sold during the IEO. (30 Million in sales and about 4 Million for bonus) Bonus Hunt tokens from the IEO had different lockup timings from 30-90 days.

Based on this information we can come to a conclusion that even if all the bonus Qty had been released, that we have in the moment about 35-43 Million Hunt tokens in circulation.

I personally think that the liquidity will increase with the launching of further exchanges and the start of Reviewhunt.

e. 2nd round funding - 50 Million Hunt tokens

The team is in the moment concentrating on bringing Reviewhunt into the market and after that Ideahunt to be able to finalize the Hunt token economy.

2. Next Step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oLPECC75-image.png)

The team is in the moment gathered together in Korea and in Crunch mode to increase the speed of development of Reviewhunt. Their main focus is to bring the product as fast as possible into the market and get influencers and makers on board. An important part for Reviewhunt is that Makers will be able to use FIAT for their marketing activities on Reviewhunt and that these marketing activies can lead to direct need on the Hunt token economy. As this kind of process has never been done before the team is working hard to realize this important step. The launch of Reviewhunt is planned for July 2019.

Additionally, the negotiations with exchanges are still ongoing. The listing audit for Hunt tokens are partly finished for some of the exchanges, but there are still strategic priorities and internal issues within the exchanges to clear to get a final listing day. The team is going to decide and move forward based on the biggest synergy effect for Reviewhunt. The target is still to get a final decision from the exchanges within June, which would result in a listing after the decision made.

[거래소 벤치마킹] CryptoCompare Research의 암호화폐 거래소 벤치마킹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FJetBAV-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한국에서는 대형 거래소가 업비트나 빗썸같은 곳들을 떠올리게 되고, 해외는 한국에서 접근 가능한 바이낸스같은 거래소를 이용하기도 하지요. 중소형 거래소의 경우는 자금의 안정성부터 운영주체에 대한 신뢰가 될지 안될지에 대한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거래를 하기도 하고요.

몇일전 @skuld2000님의 포스팅에서 언급된 bte.top이라는 거래소의 대표는 BTC 마진거래로 돈 날리고 세상을 등진 소식도 들리고요.

이번 CryptoCompare Research 사에서 발표된 거래소 벤치마킹 데이타와 더불어 벤치마킹 방법과 그 이유에 대해서 언급을 했습니다. 이 보고서를 조금 더 자세하게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0. 문제점 파악 - 잘못된 거래 볼륨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rM2oAmGo-image.png) [Source: Cryptocompare Exchange Benchmarking Report](https://www.cryptocompare.com/media/35650785/cryptocompare_exchange_benchmarking_2019_06.pdf)

많은 거래소에서는 자체 거래소 코인을 상장하고 거래소 거래시 채굴이 가능하게 하거나, 거래시 할인을 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 쓰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상당히 큰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바이낸스의 BNB가 그런 케이스죠. 하지만 이런 종류의 채굴은 사실상 거래 볼륨을 실체와는 조금 다르게 부풀리는 기능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거래 수수료에 대한 경쟁적 할인으로도 거래볼륨이 비대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CryptoCompare에서는 투자자의 경우 암호화폐 거래소를 볼때 다음과 같은 고민을 갖고 거래를 할것으로 가정을 합니다.

  • 거래소가 제공하는 data를 믿을 수 있는가?
  • 거래소에서 시장 조작이 있을 수 있는가?
  • 거래소에 있는 내 자금은 안전한가?
  • 거래소 API가 좋은가?

이는 사실상 거래소에서 거래 볼륨을 조작하기란 생각보다 너무 쉽기 때문에, 전반적인 거래소의 거래 볼륨과 서비스를 어느정도 신뢰를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는것이 취지입니다.

1. 벤치마킹과 랭킹에 쓰이는 수치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3jzttGei-image.png)[Source: Cryptocompare Exchange Benchmarking Report](https://www.cryptocompare.com/media/35650785/cryptocompare_exchange_benchmarking_2019_06.pdf)

모든 거래소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점수를 주어 %별로 나눴습니다.

  • 지리적 조검 : 13.3% (국가 rating, 암호화폐 규제)
  • 법적 / 규제 적 평가 : 13.3% (KYC여부, 손실보험, 라이센스, 법적 지위의 사업체등)
  • 투자 : 13.3% (VC펀팅, 비 암호화폐쪽 투자)
  • 팀 / 회사 : 13.3% (임원진 정보와 교육, 경험, 거래소 연혁등)
  • 데이터 제공 품질 : 13.3% (API, 과거 데이타 제공등)
  • 거래 감시 : 6.7% (거래 감시 시스템 여부)
  • 시장 품질 : 26.7* (유동성, 분단위 안정성, 거래량 표준 편차, 변동성 및 볼륨 상관관계등)

2. 점수 집계및 채점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zh02TN82-image.png)[Source: Cryptocompare Exchange Benchmarking Report](https://www.cryptocompare.com/media/35650785/cryptocompare_exchange_benchmarking_2019_06.pdf)

점수는 0-100점사이의 점수로 계산이 되며, 90점 이상은 AA, 30점 이하는 F점수를 받게 됩니다.

3. 거래소별 등수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yTzvDF8l-image.png)[Source: CryptoCompare](https://www.cryptocompare.com/external/research/exchange-ranking/)

현재 저 벤치마킹에 의하면 코인베이스, 폴로닉스와 비트스탬프가 1-3위고, 크라켄 7위, 바이낸스 8위입니다.

한국 거래소중에는 빗썸이 10위를 차지했고요, 코빗이 15위, 업비트가 21위, 코인원이 27위를 했네요.

  • 빗썸: 10위, 53.1점, A Rating
  • 코빗: 15위, 47.2점, B Rating
  • 업빗: 21위, 43,3점, B Rating
  • 코인원: 27위, 38.6점, C Rating

4. 개인적인 생각

이 레포트 뒷편에나오는 부분중 한가지가 각 거래소별 트레이딩 패턴에 이상이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가짜 거래 볼륨이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측정을 시도한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MM (마켓 메이커)들의 트레이딩 패턴 변경과 실제로 트레이딩 패턴조차도 거래소의 품질과 직접적인 연관을 짓기 어려워서, 분석만 해놓고 벤치마킹에는 반영이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KLf4YUQX-image.png)[Source: Cryptocompare Exchange Benchmarking Report](https://www.cryptocompare.com/media/35650785/cryptocompare_exchange_benchmarking_2019_06.pdf)

그래서 그런지, 레포트가 제공하는 국내 벤치마킹 순위와 개인적으로 체감하는 순위에는 좀 차이가 많이 나는것도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벤치마킹은 언제니 참고정도를 할 수 있는 사항이라고 보면 될것 같고요, 막연하게, 아니면 여러 소스에서 보고 들었던 data를 바탕으로 각각 만들었던 거래소에 대한 기준점에 참고사항 정도로 활용하면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기사원문 : https://www.coindesk.com/cryptocompare-launches-benchmark-rankings-for-cryptocurrency-exchanges]

[스팀월드.org] 스팀월드 기능 과 접근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MmnAcQhw-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UEV9x775-image.png)
최근에 제가 애용하던 툴중 하나인 steemworld.org가 접속이 잘 안되어서 서버에 이슈가 있나해서 봤더니, 업데이트를 하는 과정에서 일부 ISP들은 접속이 차단된것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VPN으로 연결해보니 접속이 잘 되는것으로 봤을때, 현재 제가 쓰고 있는 ISP도 접속 차단이 된 슬픈 현실입니다. 조금더 파고 들어가봤더니 스팀월드를 만드신 @steemchiller분께서도 이미 인지를 하셔서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는 버젼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호스팅 서버거를 옮겨서 근본적인 문제도 해결한다고 합니다. 현재는 간편하게 다운로드 받아서 html파일을 실행하는 형태로 제공되어서 다시 잘 쓰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스팀월드를 아직 안써보신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기능 설명하겠습니다.

0. 스팀월드.org의 서비스는?

스팀을 쓰면서 여러가지 parameter에 대한 값들을 스팀잇이나 스팀d에서 안보이거나, 힘들게 찾거나 해야하는데, 스팀에서 필요한 많은 기능들을 한곳에 모아서 비쥬얼하게 정리해두어서 자주 쓰게 되는 사이트중 하나입니다.

1. 스팀월드의 기능들.

정말 너무 많은 기능들이 있어서 모두 다 나열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제가 자주 쓰는 기능들을 위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a. Stats (기본 정보)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tpZx4a6O-image.png)
#### 1) 스파 시뮬레이션 현재 임대를 제외한 스팀파워와 이에 따른 보팅 금액을 정확하게 보여주고, 시뮬레이션까지 할 수 있습니다. 즉, 내가 1백만 스팀일때 80%로 찍으면 금일 얼마나 찍힐까가 궁금하면 테스트해보면 됩니다. ^^ 현재 14.55$ STU가 찍히네요.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WdpO7VkD-image.png)
#### 2) VP -> 100% - 보팅파워 회복 시간 보파 회복하는데 필요한 정확한 시간과 로컬 타이밍에 맞게 날짜와 시간 표기 #### 3) Reputation 소수점까지 스팀잇에서는 Reputation이 소수점까지 보이지는 않아서, 60대 이상의 레퓨가 되었을때 언제쯤 올라갈지가 궁금해지기도 하는데, 스팀월드에서는 소수점 3자리까지 보여집니다. #### 4) Post Count - 정확한 Post와 댓글 구분 스팀잇에서는 포스트 카운트를 댓글과 포스팅을 합쳐서 보여주는데, 실제 자기가 했던 포스팅의 수를 볼 수 있습니다. #### 5) Author SP/ All Time - 지금까지 글 써서 받은 스팀(스파) 현재까지 활동하면서 내가 받은 총 스파가 얼마나 될까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이 값을 총 포스팅수로 나누면 포스팅당 평균 스팀(스파)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현재 8857/285=31스팀, 즉 평균 포스팅당 31스팀정도를 보상으로 받은 셈입니다. #### 6) Last 7/30 Days / Total USD - 지난 일주일간 USD 기준 보상 말 그대로 지난 일주일과 한달간 총 클레인됨 보상을 USD로 봤을때, 아 내가 한달동안, 일주일동안 글 써서 얼마나 보상을 받았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 Delegations (스파 임대)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Ldmpfjh7-image.png)
저의 경우는 임대관리를 보통 스팀월드에서 합니다. 임대금액을 수정하거나, 회수할때도 스팀월드를 애용합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WhIaWpP5-image.png)
EDIT 버튼을 눌러서 임대를 늘리거나 회수하고자 하는 계정을 선택하고 수를 입력하면 스팀커넥트나 자체 Active키 입력을 요청합니다. Active 키 입력의 경우는 캐쉬나 다른곳에 저장이 안되기는 하나, 혹시라도 불안하실 경우는 스팀커넥트로 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임대 회수의 경우는 임대금액을 0 으로 하시고 임대를 하시면 회수가 됩니다.
추가적으로 Expiring 탭을 보면 임대회수되는 스파도 추적이되어서 언제 정확하게 회수가 될지 볼 수 있습니다.

c. Mentions (자기 계정 호출된 경우)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kA8VyTWs-image.png)
스팀잇에는 기능이 없고, 스팀픽과 비지에는 오른쪽 상단에 종모양안에 자기 계정에 대한 언급이 있을때 활동을 표기를 해줍니다. 다만, 이 알림 기능이 업보팅, 팔로잉, 멘션등 모든 기능에 대한 알림이다 보니, 실제로 자기를 글에 언급했을때를 놓칠때가 많이 있습니다. 필자는 이때 스팀월드의 멘션기능을 한번씩 살펴봅니다. 그러면 어느 포스팅에서 계정이 호출이 되었는지가 확인이 됩니다. 가서 글도 조금더 자세하게 읽게되고 이웃들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d. Account Operations (계정 운영 정보)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DkxHCZ9t-image.png)
금일부터 일주일간 계정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일일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Data는 steemd.com에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만, 스팀월드는 강력한 필터기능으로 보고 싶은것만 따로 필터해서 볼 수 있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JPvjiWL7-image.png)

예를 들어 스팀엔진상에서 돌아가는 많은 행동들은 custom json으로 처리가 되는데, 이떄 예를 들어 토큰 클레임이나 토큰을 보내는 것, 판매, 구매등도 필터를 통해 쉽게 찾아서 볼 수 있습니다.

e. Posts (포스팅 관리)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dlb1kaoX-image.png)
포스팅 관리를 통해서는 각 포스팅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여기서 자주 쓰는 기능은 어떤 분들이 보팅을 해주셨나와 리스팀을 어느분이 그리고 몇번 되었는지를 확인을 합니다.

f. Coming Reward (앞으로 1주일간 리워드 예상)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SKsN0Sa0-image.png)
Author Rewards (작가 리워드)와 Curation Rewards(큐레리워드)에서 각각 Refresh를 누르면 작성한 글과 댓글 수와 업보팅에 따라 예상되는 $ STU를 산출해줍니다. 최종적으로 큐레이션과 베네까지 자동으로 제외하고 예상되는 SP와 SBD까지 표기를 해줍니다. 사실 스팀엔진 토큰들을 쓰면서 이 기능이 많이 아쉬운 기능중 하나입니다. 언제 토큰 클레임을 할 수 있을지 예상을 할 수 가 없어서요.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KzQKScj7-image.png)

g. Account Creator (계정 생성과 RC를 통한 계정 클레임)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06WfdFqy-image.png)
HF20 이후 RC가 충분할 경우 무료 계정 생성 토큰을 생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 토큰 관련한 스팀엔진측의 재미있는 글은 @donekim님께서도 전달을 해주셨습니다. [링크](https://www.steemcoinpan.com/sct/@donekim/3azcut) 클레임 방법을 스팀커넥트 링크를 생성해서 직접 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보통 스팀월드가서 생각날때마다 하나둘씩 해둡니다. 추가적으로 계정 생성도 생성 토큰을 만들어두었으면 스팀월드에서 직접 가능합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gdEbncsd-image.png)
이때 꼭 저장해야 하는 것은 Master Key, 그리고 각 Private Key 들입니다. 번거롭게 마스터키만 생성되어서 스팀잇 지갑가서 따로 키들을 봐야하는 불편함이 없어서 보통 이방법을 선호합니다. (참고로 저 계정은 생성을 안했기 때문에 저기 보이는 키들은 무용지물입니다. ^^)

h. Transfer Search - 송금 내역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Y4P0i9SF-image.png)
송금 내역을 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스팀월드에서 보이는 송금내역을 자주 씁니다. 특히 지갑 내역 추적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네드가 스팀을 얼마나 옮겼나 확인하기 위해서는 From 부분에 ned 라고 치고, To는 비워놓고 SEARCH를 누르면 그간 ned가 송금했던 모든 Steem과 SBD 내역이 다 나옵니다. 결론은 다들 아시죠? 싹다 거래소로 옮긴것 ㅎㅎ. 이제는 저보다도 스파가 적네요 ^^

2. 개인적인 생각

스팀월드의 기능들이 스팀엔진 토큰에도 적용되어 작용되면 정말 편리하겠다라는 생각을 자주 하긴 하는데, 언젠가 능력자분들이 짠 하고 만들어주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스팀월드 운영하시는 운영자분도 서버비 감당하기 위해서 도네이션도 받고, 포스팅에 업보팅도 받고 있는데, 저도 가끔가다가 포스팅 찾아가서 보팅하곤 합니다. ^^ 부디 좋은 서비스 문 닫지 않기를 바라면서요.

[스팀몬스터] 한국어 적용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mHNbwyCo-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dakeshi 님께서 오랜기간동안 스플린터랜드 팀과 준비해온 한국어 적용이 드디어 완성되어서 스팀몬스터 페이지에 적용이 되었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LtbPIbzs-image.png)

한국어와 중문이 동시에 적용 되어서 사실상 스플린터랜드의 중요 지역이 어디인지도 감이 오는 듯 합니다. ^^

@dakeshi님이 언급하신 것은 스몬팀의 개발속도가 워낙 빨라서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고 하니, 혹시 수정해야할 부분이 보이시는 분들은 스몬방에서 언급을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눈여겨보셔야할 곳은 특히 게임 플레이 방법입니다. 이전에는 영어로만 있었던 곳이 이제는 한국어로도 접근이 가능해서 좀더 편한 게임 설명이 가능해졌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ztEit8Xy-image.png)![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XVWOp7KR-image.png)

얼마전에 선보인 DEC를 이용한 오브 구매등도 한글화 구현이 잘 되어 있어서 새로운 한국 플레이어들에게 충분히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H0Qo9Od-image.png)

열일하고 있는 스플린터랜드 팀과 몇만 단어 이상을 번역하신 @dakeshi님과 교정작업을 힘들게 해주신 @joeypark님께 감사드립니다.

[피크몬] 토너먼트 사용을 위한 PMT토큰 런칭 - 피크몬KR 업데이트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9mCCE75T-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aggroed가 스팀엔진을 통해 거의 하루단위로 새로운 소식을 내고 있습니다만, 사실상 @aggroed와 @yabapmatt의 주무대는 여전히 @steemmonsters의 Splinterlands.io입니다. 스플린터랜드를 애용하는 유저분들은 카드 구매및 트레이딩등을 위해서 그동안 peakmonsters.kr을 이용을 많이 하셨을 겁니다. 이는 @asgarth와 @jarvie라는 유저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은 사실상 제가 애용하는 @steempeak을 운영하는 팀이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스팀상에서 열일하는 팀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피크몬팀과 스팀몬스터팀의 유대관계는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사실상 유일한 스몬용 NFT마켓을 만들어서 운영하는게 피크몬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 유대관계는 스팀엔진의 거래마켓도 결국 @asgarth가 도와서 만들어진 사실을 보고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스플린터랜드 팀에서 토너먼트 입장료를 스팀과 스달로 받는것 말고도 스팀엔진 토큰으로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현재 입장료로 가능한 스팀엔진 토큰은 피크몬스터의 PMT 외에 DEC와 BATTLE이라는 토큰이 있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BAsTmkSe-image.png)

0. PMT 설명

PMT는 스팀엔진 기반 토큰이며 피크몬스터에서 운영하는 토너먼트 입장료로 쓰이는 토큰입니다. 현재 피크몬KR을 2019년에서 한번이라도 1$이상의 거래가 있으신 분들은 각각 1 PMT가 피크몬팀에서 에어드랍 되었습니다. 이 PMT를 이용해서 현재 진행중인 피크몬 토너먼트에 에어드랍받으신 PMT를 사용하시면 무료로 참여가 가능하십니다.

1. 피크몬 100K DEC 토너먼트

사실상 토너먼트에 512명까지 참여한다는 것은 현재 스몬상에서는 가능성이 낮은 관계로 에어드랍받은 1PMT로 거의 무조건 DEC를 받을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DEC 가격과 PMT의 시장가격 형성으로 봤을때는 128등 이내로만 들어와도 이득입니다. ^^ 월요일 아침에 새벽시간에 가능하신 분들은 꼭 고려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7seJTdrV-image.png)

2. 피크몬스터 KR 업데이트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Vr2oIvUv-image.png)

몇몇 KR 스모너분들께서 피크몬KR은 임대가 되지 않는다고 불편함을 호소하셨습니다. 피크몬팀과 확인해본 결과 현재 카드 임대 리징 마켓을 피크몬 자체적으로 개발을 했는데, 각각의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는 피크몬.com 피크몬.kr 과 피크몬.cn 중에서 피크몬.com에만 오픈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코드 복붙으로 kr에도 열 수는 있으나, 그랬을 경우 임대는 kr내에서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피크몬에서 현재 만든 임대 프로토콜이 피크몬.com, kr, cn 사이에 호환되지 않는다는 큰 단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크몬측과 협의한 결과 피크몬KR을 다시 피크몬.com내부로 통합하고, database도 다시 통합하기로 했습니다. 기존 피크몬kr에서 이루어진 내역등도 data는 같이 넘기기로 했습니다. 이 작업이 완료가 되면 피크몬.com내에서 임대를 하시면 됩니다. 물론 언어는 한국어를 계속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 작업은 약 1주일을 full로 개발을 해서 테스트까지 해야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개발시간은 다음달 중에 편성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추후 피크몬측의 개발 일정 변경으로 연기는 가능합니다, 개발은 @asgarth가 혼자서 해야되어서) 불편하시더라도 조금만 더 기다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비트코인 전송 숨기기] CoinJoin을 가능하게 하는 Wasabi Wallet 소개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yIcaXw10-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즐겨찾는 Coindesk에 코인조인 (Coinjoin)에 지금까지 최대 규모의 100명이 참여한것에 대한 기사가 실리면서 사실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모든 전송 기록이 추적이 가능해서 이를 숨기기 위한 방법에 대한 소개가 있어 자세하게 파고 들어가봤습니다.

0. 코인조인 (CoinJoin) 이란?

코인조인은 간단하게 말하면 BTC를 전송할때 혼자 전송하지 않고, 여려명이 같이 모여서 전송을 했을때 누구의 코인이 누구에게 가는지를 모르게 해서 거래내역을 익명화하는 방법입니다.

1. 코인조인의 작동 원리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zP0MMaIU-image.png) [Source: https://en.bitcoin.it/wiki/CoinJoin]

아, 기술적인 저런 분석은 역시 어렵네요. 설명을 드리기 위해서는 잠깐 파고 들어가봤습니다. 간단 명료 요약버젼으로 간추립니다. 상단에 있는 기술표는 실제 BTC의 트랜스액션이 작동하는 원리인데, 저기의 틈을 파고 코인조인이라는 기술을 응용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The signatures, one per input, inside a transaction are completely independent of each other. This means that it’s possible for Bitcoin users to agree on a set of inputs to spend, and a set of outputs to pay to, and then to individually and separately sign a transaction and later merge their signatures. The transaction is not valid and won’t be accepted by the network until all signatures are provided, and no one will sign a transaction which is not to their liking.
[Source: https://en.bitcoin.it/wiki/CoinJoin]

간단해석

  • 하나의 트랜스액션안에 존재하는 여러개의 서명은 각각 별개의 것임.
  • 결국 비트코인 유저는 일정 지출 입력과 지불 입력에 대해 합의했을때, 각각 트랜스액션에 싸인인 하고 추후 서명이 통합가능함.

풀어쓰면, 비트코인 전송에는 트랜스액션 (실제 송금 행위)와 시그너쳐 (서명)가 있는데, 한 트랜스액션안에 여러 서명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여러명이 같은 트랜스액션안에 각각의 서명을 넣어서 트랜스액션이 실행되고 지불될때 누가 누구에게 전송하는지를 알기 어려워짐. 그리고 이것을 코인조인이라고 부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인조인은 많은 사람이 모일수록 추적이 더욱더 어려워집니다.

2. 코인조인을 위해 필요한것들

우선 IP추적을 피하기 위해서 일반 인터넷이 아닌 TOR와 같은 privacy system이 이용되어야지 누가 어디서 무슨 BTC를 보내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또한 사람을 알아서 모아보고 같이 코인조인을 해야할 사람들을 찾아야합니다. 이런 어려운 과정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픈 소스 기반의 Wasabi 지갑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a. 와사비 지갑 링크

b. 와사비 지갑 설명

와사비 지갑은 오픈소스로 하드웨어 지갑기능을 갖고 있으며 빌트인으로 TOR 게이트웨이 (privacy service)가 탑재되어 있으며 코인조인(Coinjoin)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즉, 혼자서 사람 찾아서 “코인조인” 하자 할 필요 없이, 와사비 지갑을 써서 기존에 올라와있는 코인조인 거래에 참여를 하는 방식으로 거래 흔적을 익명화할 수 있습니다.

c. 윈도우 버젼 설치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BRe5I4v0-image.png)
윈도우 버젼을 설치하면 우선 지갑 생성을 위해서 계정명 이름과 암호를 물어봅니다. 이 암호는 자기가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 승인을 하고 난 다음 다시 12개의 암호 단어가 생성이 됩니다. 이 12개의 암호 단어는 잘 기록해두어야지 추후 자신의 암호와 12개의 단어 암호를 이용해서 지갑이 복구가 가능합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ZhEtGf9O-image.png)
Wallet Explorer에 CoinJoin을 누르면 상단과 같은 창이 뜹니다. 여기서 중간에 녹색 방패모양에 Anonymity Set : 50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총 50명의 유저를 모집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2명만 모집할때는 방패 모양이 빨간색으로 변합니다. (2명의 경우는 익명성이 보장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

Tor연결도 되어 있어서 privacy도 보장이 되는것으로 보이고 저 상태에서 코인조인을 통해서 전송을 하면 자기 서명의 익명화가 가능합니다.

3. 개인적인 생각

스팀의 경우는 익명화를 위해서는 스팀으로 계정을 구매해서 준비해놓고 (그래야지 누가 계정을 만들었는지 추적이 안됩니다), 기존 스팀 계정에서 거래소로 전송을 한번 하고 다시 새로만든 계정으로 시간차와 금액차이를 두고 전송하면 추적이 거래소의 도움 없이는 어렵습니다. 물론 지난 매다의 먹튀의 경우는 일부 스티미언들은 거래소에 연락을 하고 협조를 구하기도 합니다. 즉, 거래 익명성의 경우는 스팀도 상기와 같이 가능합니다만, 불법일 경우는 거래소에서도 협조가 가능한 부분이라 익명화가 어렵습니다.

BTC의 경우도 개인적으로 봤을때는 불법 대형물량을 코인조인으로 움직이기에는 확실히 무리가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즉, 불법적으로 탈취된 BTC를 코인조인으로 움직인다고 해도, 보통 flagging이 되어있는 계정들이라서 움직임에 대한 감지가 있어 코인조인을 하는 유저들이 해당 트랜스액션을 기피를 하거나, 물량의 차이가 커서 결국 추적이 될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래도 실질적으로 저런 형태로 기술적인 거래 익명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흥미롭고, 얼마만큼 쓰일지는 BTC의 앞날을 보면서 지켜봐야할것으로 생각됩니다.

[Snax] 스낵스 작동 원리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0LkglmkV-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작일이 Snax의 스팀 에어드랍을 받을 수 있는 마지막날이라고 해서 이미 커뮤니티에서는 많은 SNAX 등록글들이 보이네요 ^^.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FaGjF3e8-image.png)

필자의 경우는 이미 5월중에 등록을 끝내고 소개도 해드렸었는데 그 사이에 스팀과 트위터를 연동해놔서 SNAX가 조금 쌓여있었네요.

따로 한것이 없는데 받는게 있으니 좋기는 한데,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가 궁금해서 조금 파고 들어가봤습니다

1. SNAX 연동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tcOGoeIj-image.png)

스낵스는 현재 트위터와 스팀 이 두가지 SNS가 연동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SNS별 Attention Rate라고 하는 점수를 부여해줍니다. Attention Rate는 컨텐트가 일정 기간 갖고 있는 총 어탠션을 보여주고자 하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저의 경우는 현재 514위입니다만, 저 등수는 스낵스와 연동된 계정뿐만 아니라 스팀 전체 계정을 다 포함하는 값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잘 알고 있는 다른분의 계정이 눈에 띄어서 확인을 해봤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AvWAohSQ-image.png)
@segyepark님이 몇일전 현 JJM와 AAA 관련 개발 [현황에 대해서 공유를](https://steemit.com/aaa/@segyepark/jjm-aaa) 해주셨는데, 이 글이 지난 scoring round에서 어마무시한 영향력을 과시해서 현재 전체 유저의 어탠션레이트중 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함정이, 아직 세계님은 Snax연동을 하지 않으셨다는 사실.~~ (어제 알려드렸더니 설정하셨네요 ㅎ.) 그리고 지금까지 놓친 Snax 리워드가 무려 거의 10K이네요. 어쨌던 자랑스럽습니다. 전세계 스티미언 SNAX 어탠션 레이트 영광의 4위는 @segyepark님입니다. ^^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1O5vzovy-image.png)

2. SNAX 리워드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t2lzn0NX-image.png)

그렇다면 저의 경우는 어떤지 한번 보겠습니다.

  • Scoring 라운드에 포함된 포스팅은 39개입니다. 즉, 작성한 지난 39개의 포스팅을 계산하는데 활용했다는 것입니다.
  • 리스팀은 2개, 댓글은 3개, 업보티은 총 76개가 카운팅 되었습니다.

이때 예상되는 SNAX리워드는 총 2026SNAX 정도이며 이는 이전 Scoring 라운드의 저의 어탠션 레이트를 반영한 값입니다. 즉, 어탠션레이트가 올라가게 될 경우 같은 값일때 더 많은 리워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저 리스팀, 댓글과 업보팅은 무슨 기준으로 측정이 되는지는 잘 몰랐다가, 제 글을 찾아서 보니까 답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8QCs7zn6-image.png)

즉, 정확히 8일전 이미 스팀 리워드가 완료된 직후의 글을 바탕으로 측정되는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실 업보팅 수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고, 리스팀도 확인했을때 수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은데, 가장 근접하고 가장 논리적일것으로 예상되기는 합니다.

마찬가지로 트위터도 활발하게 이용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연동했을때 SNAX를 리워드로 받으실 수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트위터의 경우는 지난 7일간의 트윗을 바탕으로 라이크, 리트위트와 댓글을 확인을 합니다.

3. 리워드 확인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MUflT1Eh-image.png)
스낵스 메뉴중 트랜스액션을 누르시면 그동안 글 쓴것에 대한 SNAX 보상이 나열됩니다. 거의 매일 리워드가 들어오고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팀에서 글을 쓰면 그에 따른 보상이 주어지는 상황입니다.

4. 스낵스 사용처

  • 아직 특별히 없습니다.

스낵스 페이지에서 다른 스낵스 계정, 트위터와 스팀계정에 까지 스낵스를 쉽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즉, 팁이나 후원 개념으로 보낼 수 있는것이죠. 미국 전 대통령의 트위터 계정인 버락 오바마분의 트위터 계정이 어탠션 레이트가 2위입니다. 후원하기 위해서 100 Snax를 보내봅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0kw5T7RB-image.png)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94GZkBA1-image.png)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W60pcFdZ-image.png)

하고 보내고 나면, 오보마 전 대통령분께 알림까지 할 수 있습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ur/CH5wO468-image.png)

우선 스낵스만 보내놓고 저 파란 버튼 눌러서 호출했다가 무슨 일이 벌어질지는 몰라서 우선 안눌렀습니다. ^^ 제 트위터 계정으로 송부한 계정을 호출하고 스낵스에 가입하라고 권유하는 형태의 트윗이 발송될 것으로 예상되기는 합니다. ㅎ

[크립토 레이팅] Weiss Ratings의 역사와 암호화폐 레이팅의 의미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NcgBARCY-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몇일전 뉴스상에 떴던 내용중 EOS의 rating이 다운그레이드되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영향인지 6월 1일 이후 VOICE 발표후 예상했던 바와 같이 EOS가 뉴스 발표후 다시 폭락을 했다가 숨고르기를 하면서 올리가던참에 Weiss Ratings의 뉴스 이후로 다시 가격이 하락을 시작했습니다. (직접적인 연관이라기 보다는 전체적인 암화화폐시장의 영향에 따른것이라고 보기는 합니다.)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ZwVoEvcM-image.png) [소스: Weiss Ratings Twitter](https://twitter.com/WeissRatings/status/1137027785598427136)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oEGLlJZm-image.png) [소스: @coingecko]

그런데 막상 Weiss Ratings는 암호화폐에 무슨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질 것 같아 내용을 공유합니다.

0. Weiss Ratings는?

1971년 Martin D. Weiss 박사에 의해서 만들어진 회사로, 미국 은행을 리뷰하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1987년에는 T.J Holt&Company를 인수하면서 레이팅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주로 은행에 대한 레이팅이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최초로 보험회사 레이팅을 시작하면서 생명보험 회사들의 레이팅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최근의 암호화폐 시장이 커져가면서 최초로 공식적인 암호화폐 레이팅도 시작을 했습니다.
소스: Weiss Ratings Analysis

1. Weiss Ratings을 읽는 방법은?

레이팅 회사마다 뜻하고자 하는 바가 조금씩 달라 점수를 매겼을때 각각의 의미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 해당 레이팅 회사가 주는 점수가 어떤 뜻인지를 알고 보면 조금더 정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 A = excellent (매우 좋음)
  • B = good (좋음)
  • C = fair (중간)
  • D = weak (약함)
  • E = very weak (매우 약함)

그러나 이것도 투자 레이팅과 안전 레이팅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How Weiss Investment Ratings Differ from Weiss Safety Rating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O7tlgGYr-image.png)
구분 Weiss 투자 레이팅 Weiss 안전 레이팅
A 강한 구매 추천 금융위기나 부채위기와 같은 상황에서도 안정성 높음
B 구매 추천 불리한 비즈니스 환경이나 경제적인 환경에서도 안정적일 확률,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재평가해야함.
C 홀드나 회피 추천 유리한 환경에서는 안정적이나 불리한 환경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
D 매도 추천 불리한 사업 환경에서는 실패를 포함하여 재정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E 강한 매도 추천 우호적인 사업이나 경제환경에서도 실패를 포함한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

즉, A를 받은 암호화폐는 현재 없으나, BTC, EOS, Ripple같은 경우는 주변환경이 좋지 않더라도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판단을 하는것이나, 그때 그때 환경에 따라 재평가를 해야한다는 뜻이네요. 강력한 구매 추천까지는 아니더라도 구매 추천모드이고요.

Tron과 같은 경우는 홀드를 해도 되나, 환경이 불리해질 경우 경제적으로 어려워질 수 있다고 판단을 하는 것이고요.

2. Weiss Ratings 가 평가하는 방법은?

우선 기본적인 맥락은 매주 업데이트가 되고 있으며, 투자리스크, 투자 리워드, 기술과 실생활 연계를 기본으로 평가한다고 합니다.

또한 총 5가지 레이어를 바탕으로 평가에 대한 상세한(?) 방향성을 제시해줍니다.

  • Layer 1. 각 통화의 기술, 현실세계 연계, 위험 및 보상에 대한 최신 데이터
    (Current data on each currency’s technology, adoption, risk and reward)
  • Layer 2. 자체적인 계산공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환해서 서로 비교하도록 가능하게 함.
    (Proprietary formulas that convert the data into comparable ratios)
  • Layer 3. 각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의 성공 또는 실패에 중요한 요인 및 주요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비율을 집계하는 자체적인 하위 모델 적용
    (Proprietary sub-models that aggregate the ratios to measure key factors and features considered critical to the potential success or failure of investments in each cryptocurrency)
  • Layer 4. 두가지 등급 :
    (1) 장기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과 현실세계 연계
    (2) 시장 가격 패턴을 기본으로 한 단기 리스크/리워드
    (Two grades: (1) the Tech/Adoption Grade which evaluates the long-term potential of each cryptocurrency and (2) a shorter-term Risk/Reward Grade based on market price patterns)
  • Layer 5. 전반적인 Weiss의 암호화폐 레이팅. 이는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레이어 3과 4를 결합합니다.
    (The overall Weiss Crypto Rating, using a complex algorithm to combine the Tech/Adoption Grade and Risk/Reward Grade)

어렵게 써있긴 한데, 결론적으로는 어떤 방식으로 실질적인 레이팅을 하는지는 블랙박스입니다. 자신들 말고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죠.
소스: How we rate Cryptocurrencies

3. 레이팅의 의미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iXcTdGLe-image.png)[소스: Chris Li](https://unsplash.com/photos/6Y6OnwBKk-o)
레이팅의 경우는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은행, 기업, 국가까지도 레이팅을 합니다. 예를 들어 국가 레이팅의 경우는 Standard&Poor, Fitch와 Moodys에서 레이팅을 하는데 이 레이팅이 중요한 이유는 한 국가가 국제시장에서 돈을 빌릴때 이자율을 높게 받느냐, 낮게 받느냐가 이 레이팅에 의해서 정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a. 예시 대한민국 레이팅

  • Standard & Poor’s : AA (Stable)
  • Fitch : AA- (Stable)
  • Moody’s : Aa2 (Stable)
    소스: Wikipedia
    표시형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비슷하게 Stable한 레이팅으로 표현되어 있고 실제 저 레이팅의 변화가 있을 경우는 신문에서도 뉴스거리가 되기도 합니다. (이자율이 변동되기 때문에요)

이렇게 Weiss Rating’s 측에서 EOS의 레이팅을 중앙화 문제로 낮추는 것이 기사화 되는것도 직/간접적으로 block.one 회사에 대한 평가와 EOS라는 암호화폐의 전망에 대한 척도도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Weiss Crypto Rating은 총 122개의 코인과 토큰을 레이팅합니다. 직접 가서 나의 포트폴리오의 암호화폐들이 어느정도의 레이팅인지를 확인하는것도 나름 재미가 있을것 같습니다.

[Binance] 자체 스테이블코인 GBP 런칭 예정과 그 의미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5DE6TqAU-image.png) [소스: 바이낸스 CEO 트위터]

바이낸스측은 늦어도 2달안에는 자체적은 스테이블 코인을 런칭한다고 공개했습니다. 코인의 이름은 GBP로 영국의 파운드에 패깅을 할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다른 FIAT통화로 패깅된 Stable코인도 추가로 런칭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한 배경과 전반적인 형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 스테이블 코인이란?

Stable 코인은 불안정한 시세를 보이고 있는 암호화폐에 안정적인 통화를 제공하기 위해서 재화나 다른 FIAT, 알고리듬등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코인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스팀에서 쓰이고 있는 SBD도 스테이블 코인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1.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

a. FIAT을 패깅한 코인

USD와 같은 비교적 안정적인 화폐에 패깅을 한 암화화폐들임. 일반적으로는 이런 암호화폐는 발행한 만큼 해당 통화를 보유하고 언제라도 다시 내줄 수 있는 논리에 의해 운영이 된다. 문제가 되는 것은 투명하지 않은 운영일 경우 발행해놓고 정말로 그만큼의 통화가 있는지가 의문이 있을 수 있다는 것과, 실제로 그만큼의 통화량을 보유하지 못할 경우 신뢰가 깨지면서 스테이블해야할 코인은 폭락을 한다는 것이다.

b. 재화를 패킹한 코인

보통은 이런 재화는 가치를 가지고 있고 그 재화에 패깅을 하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금과 같은 재화를 생각할 수 있다.

c. 다른 암호화폐에 패킹된 코인

이는 말 그대로 예를 들어 JAY코인을 발행하는데, 발행된 수량은 1 BTC에 패깅을 시키면 BTC 패깅된 코인이 된다. 스팀의 사이드체인에서 돌아가는 스팀엔진의 경우는 STEEMP라는 스팀 패깅토큰이 있고, 최근에는 EOSP라고 EOS에 패깅된 토큰까지 발행이 되었다. 이는 발행 주체가 언제나 발행된 만큼의 패깅 코인을 언제라도 내주겠다는 표시의 패깅형태이다.

d. 중앙은행 스타일의 스테이블 코인

SBD도 어떻게 보면 그런 형태이다. 일정한 알고리듬을 적용해서 중앙은행에서 화폐를 발행하듯이 암호화폐를 발행해서 가격을 안정화 시키는 정책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inflation이 있을때에는 추가로 발행을 해서 가격을 안정화 시키고, deflation을 있을시에는 소각을 해서 가격을 올려서 안정화를 시키는 정책을 보통 많이 실행한다. 실제 이런 종류의 스테이블코인은 정말로 스테이블하지는 않은것도 사실이다.

2. 스테이블코인의 예시

a. USDT 테더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pbaxGXYd-image.png) [Source: @coingecko](https://www.coingecko.com/en/coins/tether)

가장 잘 알려진 스테이블 코인은 테더이다. 현재 마켓캡이 20억불로 테더를 발행한 측에서는 20억불치의 미국 US달러를 예치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스테이블 코인과 더불어 언제나 문제가 되는 것이 정말 USD를 발행한 것 만큼 갖고 있느냐 없느냐가 핵심이다. 테더의 경우는 여러번 실제 발행한 만큼 USD를 소유하지 않는다는 의심을 받았고, 심사 의뢰를 한후, 심사기관이 도중하차까지 해버리는 바람에 여전히 의심을 많이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b. Digix Gold Token (DGX)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VHvbC8fF-image.png) [Source: @coingecko](https://www.coingecko.com/en/coins/digix-gold?utm_content=digix-gold&utm_medium=search_coin&utm_source=coingecko)

DGX의 경우는 실제로 싱가포르에 토큰이 발행된 만큼 금이 보관되어 있고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입니다. 이는 심사까지 성공적으로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재화 패깅의 경우 보관및 관리에 대한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실제 금의 경우도 암호화폐보다는 덜하지만 가격적인 등락폭이 있는 관계로 토큰 자체에 장단점이 존재하기는 한다.

c. MakerDAO (DAI)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tO9oVIn3-image.png) [Source: @coingecko](https://www.coingecko.com/en/coins/dai?utm_content=dai&utm_medium=search_coin&utm_source=coingecko)
약간은 복잡한 탈중앙화된 스마트컨트렉트를 이용해서 마켓형성을 통한 가격 형성을 하나, 기본적으로는 ETH에 의해 패깅이된 코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d. Basi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P77YMcC3-image.png)
중앙은행 스타일의 코인을 설명하기 위해 가져온 예시이긴 하나, 사실상 2018년 12월에 프로젝트는 문을 닫았습니다. 펀딩으로 무려 133 Million USD (1억 3천만 USD)를 모았으나, 법적인 이슈때문에 돈을 다시 돌려주기로 했습니다.

기본 시스템은 중앙은행처럼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소각하는데, 이를 알고리듬 바탕으로 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3. 바이낸스 GBP의 의미는?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DmloWvC0-image.png) [소스: 바이낸스](https://beta.binance.com/kr) 스테이블 코인으로 테더의 경쟁사인 TrueUSD (TUSD)가 있으나 현재 마켓캡은 2억 5천 USD 수준정도가 된다. 즉, 테더의 1/9정도밖에 안되는 것이다. 바이낸스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거래소라는 것을 감안을 하면, GBP를 바탕으로 런칭을 할때 상당히 빠른 시간내에 스테이블 코인을 장악할 수 있을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또한 그간 테더의 약점 (신뢰성)을 봐왔기 때문에 이미 바이낸스의 CFO인 Wei Zhou 분은 토큰이 100% Fiat에 패깅될 것이고 투명하게 운영을 하겠다고 선언을 한 상황입니다.

이때 왜 암호화폐거래 활성화를 위해 이런 종류의 스테이블 코인이 왜 필요한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암호화폐 시장을 잠깐 벗어나서 해외 시장과 거래량이라는 것을 봐야 한다. 암호화폐로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들은 잘 아시는것이지만, 암호화폐로 이익을 봤다고 할 수 있는 순간은 사실상 현금화를 해서 통장에 들어왔을때 라고 표현을 한다. 실제 EOS의 경우도 펀딩받았던 자금의 큰 부분은 현금화해서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에서는 예를 들어 BTC를 가지고 트레이딩을 할 경우 안전하게 다음 웨이브를 기다릴때는 현금화, 즉 원화로 바꿔놓고 기다린다. 한국의 거래소의 경우는 원화 pair가 비교적 많이 형성이 되어서 그렇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예를 들어 BTC를 잠깐 USD로 바꿀 수 있는 수단이 특별히 없다. 만약에 있다면 테더정도로 바꿀 수 있다. 즉 거래 환경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테더나 앞으로 나올 GBP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이 없으면 암호화폐 거래는 조금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GBP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이 세계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거래소에서 런칭하고 pair를 많이 생성을 한다면, 그만큼 암호화폐 거래 활성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을 예상된다.

기사 소스 - 코인데스크
기사 소스- Coinmonks, Reece Barclay
기사 소스 - Masterthecrypto.com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