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잇] 플래그 대신 다운보팅 버튼

![](https://cdn.steemitimages.com/DQmNsKQ9dfz6D9CzBDNsge74Jb3pottsEJPmVaLM1g9QueK/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요새 스팀잇이 반응속도가 좀 빨라진듯한 느낌이 듭니다. 몇일 전에 스팀잇 컨덴서에 대한 flag가 맞는지 다운보팅이 맞는지를 물어보는 투표를 했는데, 2시간전에 투표결과에 따라 완료를 했네요. 다운버튼이 생겼습니다. 스팀잇을 쓰시는 분들은 이제 업보팅시 위치가 상당히 가까운 관계로 주의를 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1. 스팀잇에서 다운보팅

![](https://cdn.steemitimages.com/DQmVx2ZyD5akbAuxHopc8SNMcBGPT3JPX3sWJDXipzwssgh/image.png)
## 2. 스팀픽에서 다운보팅
![](https://cdn.steemitimages.com/DQmNpQ8MShoFHHt1aWwxZL1jiz9DteUZbH5zhBeYuMTTui6/image.png)
## 3. Busy에서 다운보팅
![](https://cdn.steemitimages.com/DQmQmL72oTAuPxsWWDE7NLkiE7DyHp1EjcYhEn7HkGeHq5k/image.png)

보시는것과 같이 스팀픽이나 비지의 경우는 오른쪽 쩜쩜쩜을 눌러서 다운보팅이라는 단어를 찾아서 다운봇을 하면 되는데, 스팀잇은 사실상 너무나도 가까운 위치에 다운보팅 버튼을 배치해두어서 UI나 사용자에 대한 생각이 약간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가적으로 업보팅시에는 약간의 애니메이션 효과도 넣어둔 상태이며, 다운봇의 경우는 그냥 색만 변하게 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스팀잇 쓰시면서 업보팅시 잘못해서 다운봇이 안되도록 주의하시면서 쓰셔야 할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나저나 @blockchainstudio님은 이제 스팀잇에서도 MVP라고 부르네요 ㅎㅎ.. 멋집니다 ^^
소스

[Steemhunt] Getting into details of Reviewh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EFQhq6vz-image.png)
Hi, @jayplayco here.

The next pillar of Steemhunt is coming closer and the pre-signup page for hunters and companies has opened now. Steemhunt has also revealed a few screenshots about Reviewhunt and I would like to go into details how the service would look like and how it would work as a hunter.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The main screen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8jAJAtv-image.png)
The screen above is showing a pre-shot of the page a maker would see. A point that has to be mentioned is, that Reviewhunt is a closed platform. It means that you will need to sign-up and confirmed to be able to participate as a hunter. The main reason is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marketing, who prefer to keep their marketing activities not directly visible, as it could also give too much information to competitors.

What we can see on this screen is as followed

  • Different Channels on a tab: Steem Dapps, Reddit, Youtube, Twitter, Instagram, Medium, etc.
  • Hunter profiles with active channels an index called Hype index. As I know the Steemhunt team I guess it will be mainly having the follower numbers included but also different other data like the engagement of their posts, reach and success of former reviews from Reviewhunt, etc.
  • A short overview about the Hunter with a button to request a Review.
  • A visual overview of recent reviews from the specific hunter.

In the first moment, I got the urgent need to have a category for hunters in which categories the hunters are reviewing, but as Reviewhunt is concentrating mainly on products that could be featured at Steemhunt, this kind of category would be obsolete.

From my personal side if I would be a maker I would need a place where I could filter the hunters based on different points. Mainly I would need the following filters.

  • Country
  • Channel
  • Min-Max Hype Index

Judging from the “request for review” button the screen could be used, from the user interface scenario, either before or after the start of a campaign. For hunters, it is going to be crucial to have an up to date portfolio and also the being active and successful on the channels the brands are looking for exposure.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Ih3NYycC-image.png)
The screen above definitely shows a screen after the start of a campaign. The screen is mainly concentrating on showing data visually of your current campaign. We can see the following here. * How much HUNT tokens are planned as a reward * On which channel content is created * What the daily hype index looks like * Information about which content gathered most of the attraction * Download button to get the data on your local disk.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cDOmDS8b-image.png)
This screen is showing the profile page of a hunter. We can see that there are active review offers from makers and below we can see which kind of products are offered for review. Based on the tabs the hunter will be also able to see his former reviews written on different platform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HfoKBCn-image.png)
Another interesting part is that there is also a community-based moderation system planned to review the entries from hunters. Steemhunt has run successfully a community-based moderator system for about a year with over 60K hunts moderated.

2. A few number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yRi62HZ1-image.png)
There are already companies signing up to use the power of over 20,000 blockchain-powered product influencers. And we can see based on the numbers of signed hunters that they can reach over millions of interested users on their channel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SMpDAEZi-image.png)

An interesting fact is, that we have a lot of Reddit Karmas, which are not easy to target from brands due to their specific niches and way of communication.

3. Conclusion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l40hH1NR-image.png)
Seeing a blockchain based startup really running as a traditional startup is great, as we need more of this kind to gain the trust of normal users and companies. It is also one of the slower ways but definitely an effective way to get the words out for the Steem Blockchain.

[스팀잇] 피쳐 기능 지우기

![](https://cdn.steemitimages.com/DQmdmjC2JTf2FzYA353DmQD3dsNoqXhyRF87wH3Npug4s7V/image.png)

아직 스팀잇을 메인 컨덴서로 쓰고 계시는 분들은 아마 어제 좀 의아해 하셨을 확률이 있을겁니다. 모르는 분의 피드가 가장 위에 올라오고, 어랏 내가 이런 사람을 팔로우 했었나 싶었을 겁니다.

이것은 다름이 아니라 스팀잇 Inc에서 steemit.com에 추가 기능을 어제부터 넣어서였습니다.
문제의 발단은 이 기능을 스팀잇 블록의 메인 글로 박았으면 상관이 없었을텐데, 일반 유저에게 양해를 구하고 이 글을 메인 테스트로 박으면서 혼란을 주었던것으로 보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ZvoUSfEJKVEktMeD3WTNiM4zqoNBALUgV9CPmBahxysE/image.png) [Source](https://steemit.com/steemit/@justineh/what-s-with-that-featured-post-thing)

이 유저분의 글이 메인으로 박혀있었습니다.

그러면 이 기능은 왜 나온것일까요?

https://steemit.com/steemit/@justineh/what-s-with-that-featured-post-thing

해당 유저분의 글을 보면 해답이 나와있습니다.

우선 지난 지갑 분리때 @steemitblog에서 지속적으로 안내를 했으나, 막상 도입시에는 유저들이 혼란에 빠지고 이는 스팀잇 Inc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 나왔습니다. (한두번이여야지뭐~)

물론 desktop에서 오른쪽으로 보면 featured 기능이 적용된지 좀 되어서 필요시 글이 보이긴 하는데, 모바일에서는 저 부분이 안보여서 모바일로 접속한 분들은 사실상 지갑 분리에 대한 소식을 알 길이 없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Xu76T1Rwy8b1AG23nLn5n9tLJNCJSs4uZqQN92VRCgRg/image.png)

이에 따라 가장 직접적으로 유저들에게 소식을 전할 수 있는 공간에 Featured 기능을 탑재한 것입니다. 아직 공개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만, 아마도 스팀잇에서는 이 기능을 다음과 같은 용도로 쓸 것으로 보입니다.

  • 스팀잇의 중요 공지사항 표시 (지금의 피쳐와 같이)
  • 스팀에 도움이 될 것 같은 메세지 보여주기? (어제와 같은 일반인의 긍정적 메세지)
  • 광고팔이 - 이게 핵심이 될듯..

다들 steempeak.com busy.org 과 모바일용은 partiko등 잘 쓰고 계시죠 ^^

그래도 아직도 스팀잇을 쓰면서 저 피쳐를 보기 싫은 사람들은 옆에 있는 X 자를 누르면 사라집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Sx512ybK9qPVyFa4ebcjxjTxbbVYvsZ4cwXcceztkS1z/image.png)

오늘도 열심히 일하는 자영업자분들은 화이팅이고요, 쉬시는 직장인분들은 꿀같은 하루를 보내시길~!!!

스팀에대한 생각 - 해외 비젼 공유에 대한 건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hKFvW7tk-image.png) [Source](https://d.tube/#!/v/justineh/u6qoydvy)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해외에서 활동하는 유저분들중 (특히 북미지역 유저중) 눈에 띄는 여성 유저분들이 몇분 계십니다. 그중 한분은 @dramatoken을 만드신 @whatsup이라는 분이랑 최근에 @llfarms 에서 @justineh이라는 계정으로 갈아탄 유저입니다.

이번에는 @justineh 라는 분이 영어권 커뮤니티에 각자 스팀에대한 비젼을 공유하자는 것을 시작으로 몇몇 분들이 자신들이 생각하는 스팀의 비젼에 대해서 공유했습니다.

  • My Vision by @whatsup - 드라마토큰 발행자이며 자기 목소리가 강한 스팀잇의 유저분.

  • My Vision for Steem by @andrarchy - 스팀잇 재단에서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분.

  • My Steem Vision - A Tool For Enterprises by @paulag - 숫자및 엑셀에 능하신 유저분.레퓨 71

  • My Vision For Steem by @midlet - 잘 모르는 유저이긴 합니다.

  • My Vision For Steem By @exyle - 블록브라더스 증인 일원중 한명, vlog를 많이 하는 스티미언이며 지속적으로 스팀구매를 통한 스파업을 하는 사용자. 스팀잇재단이 욕을 많이 먹을때 옹호하는 자세를 취함.

  • My Steem-y Vision by @stuffbyspencer - 최근에 dlotto를 만드신 분이네요.

이 포스팅에 추가로 많은 이야기가 오고갑니다. This Post

https://www.youtube.com/watch?v=f28QsnfWT_U

@justineh분의 내용은 일반적이면서도 편집을 하면 마케팅 비디오로도 쓸 수 있을 듯 해서 몇가지 내용 추려봅니다.

  • Steem is for everyone. A one-stop shop where crypto noobs come just like I did, to grow, learn and adopt the revolutionary technology that is blockchain and then start incorporating it in their day-to-day lives in ways that they never even knew were possible (스팀은 모두를 위한것입니다. 암호화폐를 암-알-못이 와서 블록체인라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으며 매일매일 삶에 녹여낼 수 있는 곳입니다.)
  • Steem is empowering small businesses. I want to sell you my products and I want to buy yours through fast and free peer-to-peer transactions more than that though I want to learn about the people behind those products I want the connection through the community. (스팀은 소기업들이 클 수 있는 곳입니다. 내 제품을 P2P로 빠르게 팔 수 있고 제품 뒤에 있는 사람들과 커뮤니티를 만날 수 있는 곳입니다.)
  • Steem is business and investors seeing a return but also benefiting the whole entire ecosystem. (스팀은 비즈니스와 투자자가 수익을 볼 수 있으면서도 전체 생태계가 이익을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 Steem is where diverse communities come to grow build interact and play and build businesses the way that they want to. (스팀은 여러 종류의 커뮤니티가 크고, 놀면서 비지니스를 원하는데로 만들 수 있는 곳입니다.)
  • Steem is to me the internet the way it was supposed to be where everyone has ownership and everyone is an entrepreneur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that’s what steam is to me what’s it to you. (스팀은 모두에게 오너십이 있고 모두가 사업가가 될 수 있는 끝없는 가능성이 있는 곳입니다.)

다른 분들의 비젼을 봐도 비슷하기는 합니다. 그런 비젼에 토를 다는 유저도 있고 긍정을 하는 유저도 있고요.
제가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각들은 약간은 다르긴 합니다만 (워낙 비지니스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서 그런것도 있는 듯 합니다.)

결론적으로는 해외에서도 스팀에 대한 앞날에 대한 고민들은 많이 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그에 따르는 움직임들도 여럿 포착되고 있고요 (스팀엔진과 같은..) 결국 스팀은 커뮤니티와 댑들이 하드캐리를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시간나면 비젼 공유를 해야하나? ㅎ

[JJM] Today's update 2019-04-29 -Discord Channel opened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OtyiVNDI-image.png)
Important information and daily charts have been introduced from the account @jayplayco but will from now on be informed directly from the @jjm13 account, as we think that it will make it easier for JJM holders to gather information.
  • Steem Power: We have now undelegated another 50K SP which will return at first of May. It will make the total SP of the @virus707 account 550K SP
  • The upvoting platform for JJM tournaments is now ready and had been tested live within our last tournament.
  • We are having currently a poll how we should distribute the dividends this time. In Steem or JJM?. For further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is link.
  • We have opened a discord channel for the international JJM holders to be able to answer questions directly.
    => https://discord.gg/kN6FgwB
  • If you are a holder of JJM, you may manually verify it on the #verification-jjm-holder channel to get the JJM-Holder badge :)
  • Logo change: We have now an official logo for JJM, which is showing two hands holding together and giving trust to each other.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I4nCky0X-image.png)
The JJM Chart is showing the following data. * Price : 0.23 Steem / JJM * Compared before day: + 2,620 JJM (JJM tokens added to the total volume compared to the day before) * Total Qty: 1,800,941 JJM (Total Qty in Market holding without locked-up Qty and found Qty.) * JJM holders: 196 accounts (except the founders' accounts) * The current Market value (except founders Qty.) translates to a holders market cap of 414,216.43 STEEM = 147,419USD (Steem 0.355USD : [Source](https://www.coingecko.com/en/coins/steem?utm_content=steem&utm_medium=search_coin&utm_source=coingecko) / @coingecko) * Details can be found under https://passionbull.github.io/jjm-list/ made by @jacobyu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Mmtg5Z47-image.png)

JJM is open for block deals, as bigger amounts of JJM would directly increase the price. We have an average about 1-2 block deals per day in value between 2-5K Steem. Anyone interested in bigger block deals is free to get directly in contact with @jayplayco at in Discord. Block deals are matched with the actual market price of JJM. The minimum amount for a block deal is 10K JJM.

1. Event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eYq6n3cz-image.png)

The third Steemmonsters tournament had been held successfully and we had 107 players checked in.
Congrats to the winner of the tournament @hendersonp who is now also an honorable member of holding a TROPHY token.

Unfortunately, nobody was able to guess that @hendersonp would win the tournament, so in total 1000 JJM will be moved as a jackpot to the next tournament, which is planned to be opened in 2 week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GxOxZ1iD-image.png)

JJM BLAST ,Beyond the limits!

2. Dividend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QXJnbUG-image.png)
  • There are currently 1,753 Steem and 383.4SP and 14.57 SBD in the @jjm13 dividends account.
  • We are using the holders based on the list at https://passionbull.github.io/jjm-list/
  • If we count all SP, SBD, and Steem we have in total 2,166 Steem
  • On this base for each 832 JJM = 1 Steem could be distributed as dividend. (circulating 1,800,941JJM / 1,753 Steem)
  • The distribution will happen after the 3rd of May - new announcement about it)

3. Important information

[스팀엔진] SCOT 런칭 예정과 그 의미 - 큰것 한방이네요..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PhQ3yAZU-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원본 소스 : https://steemit.com/steem-engine/@aggroed/scot-testing-underway-are-you-ready-for-your-own-token-that-can-distribute-like-steem

스팀엔진에서 이번에는 SCOT라는 주제로 새로운 기능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SCOT는 Smart Contract Organizational Token의 줄임입니다. 결론적으로는 SMT가 하고자 하는것을 적용해서 언제 나올지 모르는 SMT를 대신해서 일부 기능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0. 스팀엔진뒤의 팀

스팀엔진의 경우는 사실상 탈중앙화된 블록체인이 아닌 중앙화된 노드를 이용하는 체인입니다. 사실상 기술적으로 본다면 스팀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고, 단지 모든 트랜스액션 정보를 스팀에 기록한다는 것 정도입니다. 즉, 스팀 블록체인은 스팀엔진이 뭘 하는지 전혀 모른다는 것입니다. (스팀몬스터가 스팀에 기록을 하지만, 스팀 블록체인은 그것의 의미를 모르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스팀 블록체인의 경우는 스팀잇 Inc.가 주도권을 갖고 개발을 하고(있나???) 있는 관계로, 아직까지도 SMT에 대한 정확한 일정은 오리무중이고, 실제로 현재 가장 가시화되고 있는 것은 스팀잇.com의 광고팔이입니다. (광고팔이가 나쁜게 아닙니다, 먹고 살아야하니까요) 하지만 혁신을 지속적으로 해도 순간순간 뒤쳐질 수 있는게 블록체인계의 개발 속도이라, 스팀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유저로써 안타까운 것은 사실입니다. 이런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스팀블록체인에서 한 이름들 하는 사람들이 모여 현재 스팀엔진을 가동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장단점은 추후 따로 언급을 하겠습니다.

@aggroed : 스팀몬스터 파운더및 증인, 각종 스팀 관련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마케팅과 세일즈에 능하며 실질적으로 프로젝트들을 끌고 나가는 힘이 있는 사람입니다.
@yabapmatt : 스팀몬스터 파운더및 증인, 스팀몬스터 개발자이며 스팀엔진의 프론트엔드 개발과 SCOT 시스템 디자인.
@harpagon : 스팀엔진이 돌아가는 smart contract software 개발및 노드 운영
@beggars : 현재 스팀엔진의 추가되는 부분을 개발함.
@someguy123 : BTC,LTC Doge등의 토큰들이 연동될 수 있는 converter를 매니지먼트함.
@holger80 : SCOT에 필요한 보팅봇 개발
@inertia : 블록 익스플로러 개발 (개인노드 운영)
@crystalhuman @clayboyn : 디스코트상에서 Customer support를 도와줌.
@asgarth : 팀은 아니나 스팀엔진의 DEX개발 전담함.
@wehmoen : 역시 팀은 아니나 첫 블록 익스플로러를 개발함.

1. SCOT를 통해 가능한것.

현재 많은 스팀상 댑들이 업보팅이라는 장치를 이용해서 유저들에게 스파/스달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그러나 많은 스파를 보유하고 있어야한다는 전제가 있고, 보통은 임대 플랜을 통해 “사용료”를 받고 임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많은 댑들은 최종적으로는 자기들의 토큰 이코노미를 구축해서 스팀 대신 자신들의 토큰을 이용해서 업보팅등 보상을 해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SMT가 오기 전이라서 현재까지는 불가능하거나, 우회로를 써서 했던것 뿐입니다.

여기에 예시로 해당되는 프로젝트들이 스팀헌트, 트립스팀, 테이스팀, 엔토파즈, 디클릭 등등이 있습니다. (이들이 SCOT를 수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하기 장단점에 따로 언급하겠습니다.)

즉, 스팀잇과 같은 기능이나 (업보팅이나 스테킹을 통한 파워등등) 자기만의 커뮤니티를 구성해서 자기만의 토큰으로 업보팅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SMT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기능을 스팀엔진을 통해서 미리 구현하는 것입니다.

2. 작동방법

기술적으로는 모든 트랜스액션은 custom json을 통해 스팀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이를 해석하는 것은 스팀엔진의 “사이드”체인입니다. 즉, 스팀엔진은 스팀에 기록되는 모든 사항들을 체크하며, 스팀엔진 관련된 custom json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실행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현재는 스팀처럼 여러 증인이 노드를 운영해서 탈중앙화된 시스템도 아니고 consensus layer가 이루어지지도 않았습니다. 스팀엔진측은 그러나 연말쯤되몀 P2p consensus layer와 block production및 block production reward까지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3. 운영방식

SCOT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5월 이후에 스팀엔진팀과 같이 일을 해야합니다.

  • 토큰 생성 및 값을 정하고, 보팅봇 세팅함.
  • 유저들은 받은 토큰을 스테이킹함 (스파같이)
  • 유저들은 스팀상에서 (스팀픽, 비지, 스팀잇등)에서 포스팅 하고 tag를 쓰거나 전용 페이지에서 글을 씀.
  • 유저들은 평소와 같이 포스팅과 업보팅을 하지만, 이제 스팀뿐만 아니라 다른 토큰도 받고 줄 수 있다.

4. 스팀엔진 SCOT의 장단점

우선 필자의 경우는 아무것도 없는 것 보다는 반쪽짜리라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세상에 완벽한것은 없으니까요. 그러면 스팀엔진의 SCOT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잠깐 파고 들어가보겠습니다.

  • 가격적인 방향: 스팀엔진의 쉬운 토큰 생성으로 이미 해외와 KR에서도 많은 토큰들이 발행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현재 스팀 유통의 잠김 현상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jjm13이 이미 55만 스팀을 잠군 상황이며 지속적으로 잠글 예정이며, @ssc-token이 10만 스팀을 잠구고, 추가적으로 48만스팀까지 지속적으로 잠그는 플랜을 갖고 있습니다. 현재 거래소에 풀려있는 많은 스팀이 다시 lock-up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봅니다.

  • 정치적인 방향: 스팀엔진이 사실상 스팀잇 Inc.의 일을 대신까지는 아니더라도, 실제로 쓸 수 있는 놀이터를 만들어주고 있는 것은 현실입니다. 스팀잇도 나름 고민을 하겠지만(하겠죠??) 스팀엔진의 움직임과 실제로 SMT의 개발 속도가 스팀엔진때문에 더 느려질 수 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스팀잇 Inc.가 SMT를 만들고 설 땅이 마땅히 남아있지 않을것 같습니다.

  • 실질적인 사용처: 현재로는 스팀엔진은 “사이드”체인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그냥 중앙 노드 한개에 의해서 한 “개인”이 운영하는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개인이 마음먹기에 따라서 프로젝트는 죽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중 가장 큰 부분이 아직은 consensus layer가 없다는것, 즉 증인 서버들끼리 내용을 맞추는 작업이 없다는 것입니다. 기술적으로는 @jayplayco가 엑셀시트 하나 열고, 주기적으로 엑셀시트를 포스팅하면서 (custom json의 data저장…) 토큰 만들어주는것과 별반 다른것이 없는것도 사실입니다. 이러한 현실이 기존 스팀 기반 프로젝트들이 (스팀헌트, 트립스팀, 테이스팀, 엔토파즈등) 스팀엔진에 올라탈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이유중 하나입니다. 또한, 두번째는 확장성입니다. consensus layer가 없는 중앙화 노드를 운영하는 체인으로는 추후 중앙화된 일반적인 거래소 상장이 불가능합니다. 스팀을 거래소에 올리는것도 작업과 그에 따른 설득이 많이 필요한데, 스팀도 아닌 스팀 사이드체인의 경우는 일개 프로잭트에서 거래소를 설득하기란 현재로썬 매우 힘듭니다.

  • 앞으로의 방향: 스팀엔진의 가장 큰 장점은 속도입니다. 지금 당장은 완벽하게 갖추어진것은 아닐지라도, 이미 많은 사용자들이 스팀엔진을 이용해서 다시금 스팀에 활기를 불어오고 있습니다. 또한 추후 연말쯤 증인제도와 블록 생산에 따른 보상, consensus layer까지 갖구게 된다면, 실질적인 스팀의 사이드체인으로 거듭나서 SMT를 대신할지도 모를것으로 여겨집니다. 결국 현재 스팀엔진은 aggroed와 그의 행동력에 동참하는 많은 스티미언들의 신뢰에 의해 지탱되고 진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만, 지켜본 바로는 스팀에 대한 애정과 방향성은 올바르다고 생각이 됩니다.

[Steemhunt] Marketcap and numbers about Hunt token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RSbYMxo7-image.png)
Hi, @jayplayco here.

HUNT tokens are now listed since 15th of April 2019. Let’s have a look at a few numbers around the listing.

0. Repository

1. Daybi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MFnublrZ-image.png)
We are now based on a price level of 0.016USD and a daily volume of about 1,29 Million USD. Hunt tokens are now the most traded token on Daybit. This is coming together with a lot of marketing events from Daybit to get investors involved with Hunt tokens like trader airdrops and Net-purchase events.

It started around 4 days ago that the trading volume reached the 1 Milllion USD level, which means that we have around 5 Mil. USD traded with Hunt tokens in the last four days alone.

If we compare it with Steem as currency, the total volume for the last 24 hours was around 900K USD. This means that on lower days that HUNT tokens are more traded at the moment than Steem is.

2. Coingecko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5Ksyjge-image.png)
The market cap data on @coingecko is now updated based on an available supply of about 60 Million Hunt tokens. This is giving a market cap volume of about 1 Million USD.

The interesting part is, that the trading volume is in the moment even higher than the circulating available supply, which would mean that investors are both selling and buying their Hunt tokens in massive numbers.

3. Available supply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I2wht6Fr-image.png)

There are two different sources where the Hunt tokens can come from. The bounty pool, which is steadily growing and at the moment at a level of about 80 Million Hunt tokens. Then there is the investor’s pool from three IEO, where the target sales amount was 50 Million Hunt tokens. But not all 50 Million Hunt tokens were offered in these three IEO rounds.

The bounty pool at the off-chain wallet at Steemhunt.com does have a daily withdraw limit of 10K Hunts and for the first 91 days an additional daily limit of 1/91 of the total Hunt token amount, which would limit the available Hunt tokens to a max of 60 Million Hunt tokens at the moment.

4. Peak preview of Reviewhu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31Oo0bTN-image.png)
Steemhunt has released a peak preview screenshot of Reviewhunt and also announced that there will be a pre-signup page for hunters and makers. Will inform about it in detail, as soon as more information is available.

[JJM] Today's update 2019-04-23 - Important Announcemen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TAf19Sac-image.png)
There have been several important parts that need to be announced, as it was already discussed to the Korean community.
  • Steem Power-Up: There have been additional Block Deals and the current Steempower of the main account @virus707 is currently 550K SP (up of 50K SP)
  • Upvoting is not really the main business of JJM, but the only current part that is visible. The vision of JJM is much bigger but to gain direct trust we are proving and showing that we are powering up the main part of the income.
  • This means that JJM is growing together with Steem, as our main strategy is to powering up the Steem as investment.
  • Dividends: The @jjm13 account is holding the dividends for JJM holders. Due to the fact that the SP is also calculated into the dividends, it is difficult to power it down and distribute it. Therefore the account virus707 will “buy” the SP from JJM13 to liquidate it directly. Afterward, the bought SP from @virus707 will be excluded from the dividends.
  • We are currently preparing an MVP to represent the vision we have for Steem and JJM. Based on this MVP there will be another Presale happening for JJM
  • After this Presale the voting rules will change fundamentally, as the main base would be a dividend base business model, the upvoting business model will fade ou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lPFgQwPz-image.png)
The JJM Chart is showing the following data. * Price : 0.19 Steem / JJM * Compared before day: + 52,063 JJM (JJM tokens added to the total volume compared to the day before) * Total Qty: 1,651,347 JJM (Total Qty in Market holding without locked-up Qty and found Qty.) * JJM holders: 178 accounts (except the founders' accounts) * The current Market value (except founders Qty.) translates to a holders market cap of 313,755.93 STEEM = 128,639USD (Steem 0.41USD : [Source](https://www.coingecko.com/en/coins/steem?utm_content=steem&utm_medium=search_coin&utm_source=coingecko) / @coingecko) * Details can be found under https://passionbull.github.io/jjm-list/ made by @jacobyu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DzFWKixX-image.png)

JJM is open for block deals, as bigger amounts of JJM would directly increase the price. We had in the last few days several block deals which ended up in a total of 50K Steem. Anyone interested in bigger block deals is free to get directly in contact with @jayplayco at Telegram or may leave a message. Block deals are matched with the actual market price of JJM. The minimum amount for a block deal is 10K Steem.

1. Events

The third Steemmonsters tournament is planned for this weekend, so stay tuned for @glory7 entry of the tournament.

STEEMMONSTERS , JJM BLAST ,Beyond the limits!

2. Dividend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bGcuubYU-image.png)
  • There are currently 1,153 Steem and 284SP and no SBD in the @jjm13 dividends account.
  • We are using the holders based on the list at https://passionbull.github.io/jjm-list/
  • If we count all SP, SBD, and Steem we have in total 1,438 Steem
  • On this base for each 1,148 JJM = 1 Steem could be distributed as dividend. (circulating 1,651,347JJM / 1,438 Steem)
  • The distribution will happen when 1000 JJM could be distributed 1 Steem (please read the new announcement about it)

3. Important information

[칠순잔치] 드디어 레퓨 70을 달성했네요 ^^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sYnT3f16-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사실상 스팀잇의 레퓨는 봇만 몇번 쓰면 금방 올라가기는 합니다만, 아직까지 한번도 직접 봇을 쓰지 않고 드디어 레퓨 70을 달성했네요. ^^

지금까지 스팀잇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이렇게 성장할 수 있게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조금은 개인적인 기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봅니다.

  • 계정 생성 : 338일전 (2018년 5월)
  • ID 번호 : 1,000,191번 (백만번째 계정 이후 191번째 생성된 계정이네요 ㅎㅎ)
  • 지금까지 쓴 글 : 232개의 글, 3,877개의 댓글
  • 지금까지 보팅 : 4,180개의 보팅을 함 / 24,714개의 보팅을 받음
  • 팔로워 : 888명 (중국에서는 좋은 숫자겠네요 ^^)
  • 큐레이션 SP 수입 총 기간: 175.86 SP
  • 글에 의한 SP 수입 총 기간 : 7,287 SP

그동안 해왔던 주요 스팀상에서의 활동들

  • 스팀헌트 모더레이션과 커뮤니티 매니저
  • JJM
  • 트립스팀 / Kpop스팀 오프라인 모임
  • 스팀몬스터 KR
  • 피크몬 KR
  • 그외 스팀상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일에 대한 관심 ^^

정도네요. 다음 일정은 팔순일텐데 아마도 수년이 걸릴것 같네요 ^^ (실제 이룬 분들 몇분 못 봤습니다 아직은 ㅎㅎ)

[JJM] Today's update 2019-04-19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UTGUgtfE-image.png)
The JJM Chart is showing the following data. * Price : 0.175 Steem / JJM * Compared before day: +10,811 JJM (JJM tokens added to the total volume compared to the day before) * Total Qty: 1,569,171 JJM (Total Qty in Market holding without locked-up Qty and found Qty.) * JJM holders: 171 accounts (+1 account) (except the founders' accounts) * The current Market value (except founders Qty.) translates to a holders market cap of 274,604 STEEM (= 116,707USD (Steem 0.425USD : [Source](https://www.coingecko.com/en/coins/steem?utm_content=steem&utm_medium=search_coin&utm_source=coingecko) / @coingecko) * Details can be found under https://passionbull.github.io/jjm-list/ made by @jacobyu (has been upgraded and is now more detailed)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cK2K3X4K-image.png)

The circulating JJM has now a market cap of over 100K USD (six digit number). There had been also an introduction from @moncia90 to the Italian community about JJM.
https://steemit.com/jjm/@moncia90/introduzione-dei-token-jjm-gd0quced
Thanks a lot to @moncia90 for this great work.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1KhTvXxe-image.png)
We have a strong order book with both buy and sell orders.

1. Event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EkokXLpE-image.png)
* [Steemmonsters Tournament Event](https://steempeak.com/steemmonsters/@jayplayco/jjm-steemmonsters-event-announcement-total-winning-10-000jjm-800-steem)

The next and third tournament is probably going to be postponed to next weeks weekend, as we are still tuning the voting and ranking system in the background. Please have a close look for @glory7’s post, as he is registering the tournaments.

STEEMMONSTERS , JJM BLAST ,Beyond the limits!

2. Dividend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v4I6e1uk-image.png)
* There are currently 783 Steem and 237SP and 25 SBD in the @jjm13 dividends account. * We are using the holders based on the list at https://passionbull.github.io/jjm-list/ * If we count all SP, SBD, and Steem we have in total 1,070 Steem * On this base for each 1466 JJM = 1 Steem could be distributed as dividend. (circulating 1,569,171JJM / 1,070 Steem) * The distribution will happen when 1000 JJM could be distributed 1 Steem (please read the [new announcement](https://steempeak.com/jjm/@jayplayco/jjm-announcements-15th-april-2019-dividend-rules) about it)

3. Important information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