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몬] 앞으로 개발 예정 사항들 정리

![](https://cdn.steemitimages.com/DQmSj345NPSYNZi991kirPnP5wGHaNhNHrrwZF3ZfyjLcdZ/image.png) [Source: Matt Foster](https://unsplash.com/photos/Y467x86KgaE)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오늘 아침 스몬 discord를 살펴보니 @aggroed가 유저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들을 했는데, 그중 개발 예정관련 이야기중 흥미로운 부분만 발췌해서 전달드립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f72aGFQNUHH3dNpFTQpWyTqJtu2SUFGQg3r1aG8zfyBc/image.png)

스몬이 그동안 보여왔던것과 같이 개발 예정에 대한 “확정”은 아니라서, 미리 커뮤니티에 뿌리고 피드백 받아서 최종 진행되는 점 감안 부탁드립니다. ^^

1. 토너먼트 버그 고치기

![](https://cdn.steemitimages.com/DQmXQpbe9iME2n1XejhJJ4Cos4z3Ad3Wk5Nan53FNmHnoym/image.png)
현재 토너먼트를 공식 런칭하고 몇일이 지났습니다만 early 버젼인 관계로 여기저기 버그가 발견되고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수정 작업이 개발 우선순위에 들어갔습니다.

2. DEX 개발

스몬측에서 현재 스몬 security 토큰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실상 스팀 엔진 개발에 참여했고 스팀엔진 개발과 같이 공지했던 DEX 개발 진행 예정입니다.

글 수정 전에 프리덤 엑스가 스티엔진측 Dex로 말씀드렸었는데, 이는 잘못된 내용이였습니다.

간단히 요약드리면

  • 스팀 엔진내 DEX가 됩니다.
  • 스몬 토큰이 여기서 거래가 될 것입니다.
  • 스몬 베타백 / 알파팩 (안깐것)도 여기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 있습니다.
  • 추후 런칭될 Dark Element Crystal (DEC)도 거래 예정

3. 카드임대

![](https://cdn.steemitimages.com/DQmPgpBHaZMQn2pT3Y57hgfHRKBJus6Dsnh7uXjqJvZHgDq/image.png) [Source: Josh Appel](https://unsplash.com/photos/Ud4RUKEdfWU)

기존 파워 유저들중에는 카드를 실제 게임을 할 수 있는것보다 많이 소유하신 분들과, 투자를 위해 구매하신 분들도 계십니다. 투자하신 분들은 게임을 하지 않으시기 때문에 초기부터 언급되었던 임대 시스템에 기대를 하고 계시는데요, 임대 시스템도 현재 개발 로드맵에 비교적 높은 우선순위로 올라와서 기대가 되는 바입니다.

4. DARK ELEMENT CRYSTAL (DEC)

발음하기 정말 어려운 다크 엘레멘트 크리스탈, 줄여서 “덱”이 개발될 예정입니다. 자세히 들어가면 복잡한데, KR 분들을 위해 언제나와 같이 간단하게 요약드리겠습니다.

  • DEC은 스몬의 인게임 currency가 될 예정입니다.
  • DEC은 추후 상단에 언급한 DEX에서도 거래가 될 예정입니다.
  • DEC은 게임을 통해 얻어지거나 카드를 소각 하거나 DEX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DEC의 사용용도는 익스펜션에서 쓰일 Cosmetic과 Structural 부분에 쓰임 -> 쉽게는 스킨과 길드 빌딩에 필요함.
    ![](https://cdn.steemitimages.com/DQmUQeb5Uz3TxFfath4Sd2X4FhJHJu33gg1ZBiX8rH3wBVd/image.png)

DEC의 정확한 사용 용도는 현재 튜닝중인 것으로 보입니다만, 길드를 만들때 중요한 요소로 쓰이며 추가적으로 전투를 부스팅할 수 있는 옵션에도 쓰일것으로 보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SHy6JhohMWxXv6UnR1yVzcXHFNU8RpyTvkZZ6UAKuuW7/image.png)

DEC의 사용용도를 매력적으로 만들어두면 카드소각 속도가 확실히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불필요한 카드는 들고 있는것보다는 소각해서 DEC으로 전환해서 길드 형성이나 전투 부스팅에 쓰일 수 있으니까요.

5. 개인적인 생각

![](https://cdn.steemitimages.com/DQmW36cqvcsZioW68Kypt48qbsc5cVLvMahgEuFWyy7vHVE/image.png)

@aggroed가 언급한 것과 이전에 해왔던 행보를 보면 커뮤니티와 가능성 있는 기능에 대한 빠른 커뮤니케이션과 실제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feedback을 받고 진행을 했습니다. 상기 언급된 부분이 모두다 그대로 진행될것이라는 약속은 없으나 개인적으로는 카드 소각 부분에 대해서는 관심이 크게 가는 것은 사실입니다. DEC의 경우는 현재 타겟을 3-4월 정도로 잡고 있긴 하나 열일 하는 @yabapmatt이 모든것을 혼자 쳐내기란 쉽지 않아 실질적인일정은 봐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dclick-imagead

[스팀잇 재단] Elizabeth Powell Managing Director 인터뷰 내용

![](https://cdn.steemitimages.com/DQmSGjWr5NZQM8rwkW92NLpT41g5Qrnfe7oVoiomvaacuY2/image.png) [Source: @coruscate](https://steemit.com/dtube/@coruscate/pmmz2t9p)
안녕하세요 @jayplayo 입니다.

미국 스티미언중 특히 @dtube에서 열정적으로 활동중인 @coruscate님의 인터뷰 시리즈중에 스팀잇 재단의 MD(Managing Director => 이전 한국어로 대표라는 표현을 썼는데, 회사와 상황에 따라 의미가 상이해져서 그냥 영문의 MD로 표현하겠습니다.) 와 인터뷰가 있어서 간단하게 요약드립니다.

https://youtu.be/PVforh9tucA

1. 주요내용

질문: 다음 1년간 계획은?

  • 현재 스팀잇 재단은 사실상 “살아남기 모드”에 있다고 보면 됩니다.
  • 주요 타겟은 기존의 비용을 줄이는것에 있고 현재 목표의 75%정도는 달성한것으로 봅니다.
  • 지속적으로 Databank와 Mirror 최적화를 통해 API 비용을 줄이고자 합니다.
  • 비용 줄이기 작업이 완료되고 나서는 SMT 개발과 커뮤니티에 집중을 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스케쥴을 잡고자 합니다.
  • 추가로 이전 공지를 하지 않았던 것은 지갑을 컨덴서로 부터 분리할 예정입니다. (즉 지갑 부분이 따로 처리되어서 나온다는 이야기입니다. 광고를 넣는 과정에서 보안 문제때문에 진행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 또한 광고시스템 도입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로그인 안한 유저만 보이는데, 추후 로그인을 한 상태에서도 보이게 하고자 합니다.
  • 광고는 가능한 애드 네트워크보다 (구글 애드센스 같은) 우리가 내용을 컨트롤 할 수 있는 광고로 진행을 하고자 합니다.

질문: MD로 와서 잘한것은?

  • 스팀잇 재단의 파워다운을 멈춘것. 실제 우리가 커뮤니티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증명했다고 생각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QtgprXQBMRWJ8qtVVbeH7154UhVAxHAFvZXKjr21tm45/image.png) [Source: @steemit 지갑](https://steemit.com/@steemit/transfers)
    (실제 22일전 파워다운을 중지했으며 정상적으로 총 스파의 10%만 파워다운을 하고 있습니다.)

기타 언급 내용

  • 커뮤니티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시간이 많지 않으나 Discord, 스팀잇, Telegram, Slack등을 다 모니터링은 하고 있습니다.
  • 이번 4월 10-13일에 미국 오스틴에서 Global Block builders conference에 speaker로 출연해서 스팀잇에 대한 노출을 하고자 한다고 합니다. (https://globalblockbuilders.com/)
  • Andrew 라는 분이 현재 커뮤니케이션 HEAD로 임명되어서 @steemitblog를 통해서 소통하고 있음.

2. 개인적인 생각

스팀잇 재단이 깨어나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파 파워다운을 통한 스팀 판매로 회사 운영의 한계가 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고 빠르게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는 방안중 비용 절감과 광고 수입 최대화를 선택해서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스팀 생태계(즉, 스팀잇 재단이 책임지고 있는 부분)는 커뮤니티에 의해서 살아나고 이는 수많은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들이 증명합니다.

  • SMT 기반 서비스 댑들 : @steemhunt, @trips.teem, @tasteem, @ntopaz등
  • 스팀 기반 게임댑들 : @steemmonsters, @drugwars
  • 미친듯이 쏟아져나오는 스팀기반 도박앱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스팀 생태계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유저들의 유입및 정착이 꼭 필요하며, 이는 꼭 스팀잇.com이라는 social media를 이용하기 보다는 STEEM economy와 생태계를 이용하는 유저가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실제 도박앱들의 경우는 기존 스팀 유저들의 유입은 가능하나 외부 유저가 와서 정착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쉽지 않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스팀 통화의 흐름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스팀 기반 게임댑들의 경우도 장벽이 비교적 높긴 합니다. 스팀몬스터는 예를 들어 투자에 대한 장벽이 있습니다. (결국 높은 상금과 안정적인 NFT소각으로 해결이 가능하며, 현재 계획들이 수립이 되어는 있습니다.) 제가 EOS knights를 시작하기 까지 걸린 시간과 장벽을 고려하면 외부 유저들도 스팀 기반 게임 진입이 마찬가지일것으로 보입니다. (아 EOS Knights 투자는 망 ㅠㅠ - 역시 하려면 빨리 해야함) 드러그 워의 경우는 아직 매우 초기 단계라서 현 폰지형 모델에서 지속 가능한 모델로 (전투, 길드등으로) 빠르게 pivoting을 해줄지 기대해볼만 합니다.
  • 가장 진입 장벽이 낮은 것은 Niche별 서비스 기반 댑들인 스헌, 트립스팀, 테이스팀과 같은 프로젝트들입니다. 다만 이 프로젝트들의 경우는 제품은 있으나 현금흐름을 만드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 토큰의 private sale이던 IEO던 funding 성공을 통한 도약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보듯, 커뮤니티에서 스팀 생태계 기반 비즈니스들이 하나둘씩 분위기를 형성하면서 생태계를 키워나가고 있고, 스팀잇 재단의 경우는 우선 살고 봐야겠지만, 비용 최적화와 광고 수입에 의한 현금 흐름을 빨리 만들고 나면 이런 커뮤니티 움직임에 대한 적극적인 생태계 지원을 해야 실질적으로 스팀 통화 가치의 상승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 되는 SMT좀 빨리 만들어주셈 ㅠㅠ)


dclick-imagead

[스팀헌트] IEO 10% 보너스 챙기기

![](https://cdn.steemitimages.com/DQmdbU8GQpuGKXZZGrgtUzAwsP9zchu3BCJzRkzdcFq4Nzz/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어제 스팀헌트의 @project7 님께서 스팀헌트 IEO 관련 공지를 했습니다. 중요내용 간략하게 정리드립니다.

원문글 : https://steemit.com/kr/@project7/ieo-10
제 영문 공지 : https://steemit.com/steemhunt/@jayplayco/steemhunt-ieo-coming-in-march
화이트페이퍼 한글본 : https://token.steemhunt.com/HUNT_Whitepaper_v1.1_KR.pdf
피치댁 (간략 요약버젼) : https://token.steemhunt.com/HUNT_Pitch_Deck_v1.2_KR.pdf

1. IEO 로드맵과 상세사항

간략하게 요약하면 IEO는 총 3번에 걸쳐 각각 3개의 거래소에서 할 예정이며 3월달 이내에 합니다. 마지막 거래소 IEO가 끝나고 나서 데이빗 거래소에 상장이 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 판매 수량 : 5천만 헌트 토큰 (총 공급량의 10%)
  • IEO 토큰 가격 : 0.02 USD per token (약 22원)
  • IEO 라운드 : 3월 11-15일 / 3월 18-22 일 / 3월 25-29 일(거래소는 몇일내 공지 예정, 그중 하나는 데이빗일것으로 예상)
  • 하드캡 : 1백만 USD. (약 11억원)

헌트토큰의 현재 형성된 가격과 IEO 가격을 비교해보겠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f24d5NG2dYL4LNchL3wzDVfeauNMEHHNjqFpioaXGQ4z/image.png)
스헌에서 제공하는 부스트 헌트 기능을 이용해서 현재의 헌트 토큰 거래 가격을 산출하면 우선 스팀헌트 계산 비율은 금일 1STU$에 19.91헌트 토큰을 줍니다. 이는 1 헌트토큰에 0.05 STU$의 가격이 시장에서 정해진 것입니다. 1 STU$가 1 USD는 아닌 관계로, 이에 대한 현재 USD 환산을 보면 @coingecko의 [가격을 바탕](https://coingecko.com/)으로 해보겠습니다. 제 글중 금일 보상이 3.757SP 와 1.259SBD 으로 총 3.95 STU$를 받는다고 합니다. 가격은 현재 스팀이 0.332USD와 SBD는 0.95USD 입니다. (금일 오전 기준으로 현재는 약간의 변화가 있기는 합니다.)
  • ((3.757SPx0.332USD)+(1.259SBDx0.95USD))/3.95STU$=0.618576 -> STU$를 USD로 환산하는 비율.
  • 1HUNT (0.05STU$) x 0.618576 = 0.0309USD

즉, 1 헌트토큰의 현재 시장 유통 가격은 약 0.031USD 이며 IEO에서 제공해주는 가격은 0.02USD 인 관계로 IEO시 취득시 약 50%의 이익입니다. 여기다가 스티미언들을 위한 10% 특별보너스 까지 챙길 경우 이익은 더욱 커집니다.

2. 스티미언들을 위한 10% 보너스

스팀헌트 측에서 스티미언”만”을 위한 특별 보너스를 만들어두었습니다. 참여를 위해서는 서둘러야 하는데요, 우선 27일 (명일)까지는 하기 구글 문서에 참여의사를 간단히 적어주셔야지 참가 요건이 됩니다.

참가 방법

  • 상단 구글 문서 설문조사를 27일 (한국시간) 까지 끝낸다.
  • 추후 IEO가 오픈되면 원하시는 거래소에서 IEO를 참가한다.
  • IEO에 참가한 인증 동영상을 이메일 admin@hunt.town으로 보내준다. (인증 동영상 관련하여서는 구매 영상을 찍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 사항은 이메일로 따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 인증 동영상과 거래 내역 검증을 완료되면 구매 수량의 10%가 스팀헌트 지갑으로 전송~!

IEO 최종 거래소 정보는 이제 계약 마무리 단계에 있어 싸인이 되는 순간에 공개가 될 예정인것으로 보입니다.

스팀 SMT 기반 첫 프로젝트의 IEO라 꼭 성공적으로 마무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실제로 유저가 사용하고 제품이 사용되며 게임과 도박이 아닌 스팀 외부의 유저 유입이 가장 유력한 댑의 월 60-100K의 실 사용자를 갖춘 프로젝트의 펀딩인 만큼 스팀헌트 뿐만 아니라 스팀 전체 생태계에도 좋은 영향을 끼질 것으로 믿습니다.

IEO에 많은 참여 부탁드리며 곧 데이빗에 상장도 될 예정이라 www.daybit.com 계정 하나씩 파두시고요, www.steemhunt.com에 가셔서 각자 헌트 토큰 지갑도 한번씩 점검하는 시간을 가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데이빗 상장되고 나서 www.coingecko.com에서 다른코인들과 비교해서 보실 수 도 있습니다. 많은 리스팀 부탁합니다~~ 널리 알려주세요!!

스팀헌트 가즈아~!

[Busy.org] 10% 베네피셔리 자동 체크 버튼

![image-1551148087243.png](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dclick/image/jayplayco/1551148087968)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인터페이스중에 busy를 쓰시는 분이 많으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Busy.org 측에서도 수익모델을 찾다가 현재 다른 댑들이 쓰고 있는 beneficiary를 자동 설정해두어서 알려드립니다. 정확히 수정된 시점은 알 수 가 없네요.

일반적으로 busy에서 글을 쓰면 맨 마지막에 자기글을 자동 업보팅을 하겠냐는 세팅이 있어 보통 자동 선택되어 있어 그냥 쓰게 되면 셀봇이 자동적으로 되는 기능이였습니다. 이 기능이 지금은 busy.org에 베네피셔리 10%를 자동으로 주는 세팅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image-1551147903020.png

즉, 글을 올렸을 경우 저 세팅을 해지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리워드의 10%를 비지에게 돌려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인터페이스의 수익형 모델이 사실상 광고일텐데, 광고를 선택하지 않고 참여형 수익 공유모델을 선택하였네요.

기본적으로는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공식 공지도 없이 그냥 조용히 기능을 올려서 opt-in 형식도 아닌 기본 체크인 상태를 이용하는 것은 좀 보기가 좋지 않네요. 혹시나 해서 비지의 공홈계정에 가서 공지를 봤더니, 4개월전 스팀페스트 공지가 마지막이네요.

![image-1551148258607.png](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dclick/image/jayplayco/1551148259665)

비지 업보팅이나 글 쓸때 이용하시는 분들은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dclick-imagead

[Steemhunt] IEO coming in March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KQvRqlm3-image.png)

Hi, @jayplayco here.

@steemhunt just announced officially that they are going to start their IEO in March 2019 and that we will have the first SMT based project tokens listed officially on a centralized exchange.

To be able to initiate the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Steemhunt needed to check all legal matters, as the HQ is located legally in South Korea.

https://steemit.com/steemhunt/@steemhunt/hunt-token-ieo-and-listing-via-exchanges-will-begin-10-bonus-chance-for-steemians

Let’s dive into some facts and background.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The way to an IEO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PurvZV8z-image.png) [Source: M. B. M.](https://unsplash.com/photos/ZzOa5G8hSPI)

Steemhunt is a service created and run by a company named BourbonShake Inc., officially registered in Seoul, Korea. Due to the fact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still banned ICO’s in Korea, it is legally not possible to start an ICO as a Korean company. Steemhunt has been very keen on making the right steps to carefully grow the service with the community. The preparation of their token offering has been done the same way. The first step was to increase the holders of HUNT tokens, but not for speculators or dumpers but for real users. Steemhunt started an innovative approach and decided to airdrop 50% of the initial tokens mainly to users and contributors to the project. This had two effects.

  • Being able to market directly to your target group.
  • Being able to create actual value and needs for your token (as targeted users acted based on hunt tokens airdrop)

The airdrop was designed (and pivoted also) in different ways to engage the user base.

  • Delegation Airdrop (Sponsors) - HUNT tokens for delegated Steem Power
  • Steem Power Holder one time 1:1 Airdrop
  • Social Share Airdrop - A social media referral airdrop system
  • Voting Airdrop - Voting Hunts will reward not only Steem/SBD/SP but also HUNT tokens
  • Promotion Contributors - Rewarding contributors on different platforms. (Writing, Video, etc.)
  • Role Contributors - Rewarding HUNT tokens to community roles
  • Boosted HUNT - creating real value for HUNT tokens/ converting STEEM to HUNT

After creating value for HUNT tokens the next step was funding the project to step up to the next pillar. As ICO’s were not an option if Steemhunt was keeping the company in Korea the team looked into different kind of options.

IEO relies on running the necessary token funding process via exchange so that the project can save much time and resources dealing with the sales contract, KYC, and heavy marketing.
Source: @steemhunt

The biggest advantage of Steemhunt is, that they are running on a small and agile team. Co-running their project with the community and using HUNT tokens as an accelerator to reward contributors has been a core strategy to keep the project as effective and development concentrated as possible. But on the other hand, as funding is a matter of a lot of preparation and can be very time consuming, an actual full ICO would have been very difficult to run, so an IEO where most of the funding activities are outsourced to the exchange is actually a great strategy to go with.

2. Founding members and community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OWggW2mJ-image.png) [Source: IT Chosun](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3/2018050385056.html)
### - Sebastian Kim @tabris As one of the co-founders, Sebastian is overseeing the development of @steemhunt. He has been more than 6 years as a founder in different startups from Australia to South Korea and 8 years as a consultant for different projects. He is used developing on different platforms like iOS/Android and is also still putting the code into the Github repository.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BOQmjBi-image.png) [Source: Stateofthedapps](https://www.stateofthedapps.com/dapps/steemhunt)
If we check the dev activity on stateofthedapps.com we can see that the project is very active, even with all the preparations for their IEO. After meeting with Sebastian and working with him the last year I can say that Sebastian is a detail orientated professional with solid experience and deep insight into the Blockchain industry and behavior. As an expert in agile development, it was a pleasure to see the product pivoting from real life problems to solutions. He is able to adapt to situations and move forward with fast code implementations. Sebastian is one of the pillars that Steemhunt was able to develop and implement their own rewarding system and mechanism to avoid abusing (Hunter Score, ABV, Influencer Evaluation Score).

- YoungHwi Cho @project7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DArtt47-image.png) [Source: IT Chosun](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23/2018032385002.html)

The other important pillar from @steemhunt is YoungHwi, better known in the Steem community as @project7. YoungHwi is a general thinker and capable of solving a diverse set of problems like design language, system implementation and impacts, and community integration. He is presenting creative ideas, outlining and drafting them, so that they can be adapted directly into the project. We have seen the pathways based on different pivots happening with Steemhunt. The outcomes of these pivots have been always successful or a fast path of FLEARN’s. (ABV, Hunter Score, Resteem Contributions, etc.) Also, the ability to implement small steps to the next iteration and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is one of the great abilities that YoungHwi has shown and proved the eagerness to bring this project to a success.

- Community role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406snOc3-image.png)
The similarity to other Steem based projects, but a big differentiator compared to ICO's or other startups is that the community is heavily involved in the live product. I can sure say that @steemhunt would not be there where it is today if it was not for the founders. But it would also not exists if Steemhunt had not a passionate community. Members have taking over important roles and following the path from all over the world. They have been asked for feedback and this kind of communication had been melted into the code and established the typical Steemhunt community. One of the biggest assets and strength Steemhunt has is and will be also in the future this international community power.

3. Timelines and Details

There are in total three rounds planned on three different exchanges. After the last IEO on 29th of March, the HUNT token is going to be listed on DAYBIT exchange. Depending on the trading volume more exchanges are planned. The exact exchanges are not yet announced as the contracts are not yet fully signed, but it looks like that we will get that information in a few days.

  • Sales allocation: 50 Million HUNT tokens (10% of total supply)
  • IEO Sales price: 0.02 USD per token
  • IEO Round : 11-15 March / 18-22 March / 25-29 March (Exchanges to be announced)
  • Hard Cap: 1 Million USD.

We will have to look into the actual calculation for HUNT tokens and see how the IEO price compares to that.

![image.png](https://ipfs.busy.org/ipfs/QmRFR7pF8zCt7Zj4i9gfcSGewbcF8QTYrHQpYo1WVeoy2H)
The actual conversion rate on Steemhunt is 19.91 HUNT tokens per STU. This means that 1 HUNT tokens equal 0.05 STU $. Based on today's reward calculation I would get 3.757SP and 1.259SBD for 3.95 STU$. Current Steem price on @coingecko is 0.332USD and SBD is 0.95USD
  • ((3.757SPx0.332USD)+(1.259SBDx0.95USD))/3.95STU$=0.618576
  • 1HUNT (0.05STU$) x 0.618576 = 0.0309USD

This would mean that the current market price for a HUNT token is around 0.031 USD but the offered IEO is at 0.02USD, which is a gain of about 50%. If you are able to activate your special offer for Steemians (10%) your profit would be even bigger.

Special offer for Steemians

Steemhunt has prepared a special 10% Bonus for Steemians.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is event you will have to hurry up, as it is only going to be active until 27th of Feb (KST). Please follow the instruction here and commit your participation in the following document.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ng5R5OlvuySH0GDcPkp0LUfYtz-csTjGgnlgPE9Dc60gu5A/viewform?usp=sf_link

4.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see how this IEO is going to show a new way of funding for Steem and SMT based projects. Not launching funding with a Whitepaper, but starting the product, growing the community and pivoting the product from an MVP to a stable stage and after that starting to think about funding means that you need to have a very long breath to keep your project alive until momentum. I wish the best for this IEO and also sure that we will have other successful SMT projects following this path.

[스몬] 자동 토너먼트 시작~!

![](https://cdn.steemitimages.com/DQmTNTyz8Fpu8NAUewqoRGnGt31Mt9d1AhAZrN16Y6SQiqo/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빠르게 간결하게 전달드립니다.

오전 7시에 첫 공식 자동화 토너먼트가 시작하네요. 공홈에 드디어 토너먼트가 시작을 한답니다 야홋! 아쉽게도 아침 7시라는 시간때문에 많은 KR분들은 놓칠것으로 보입니다만, 그래도 기능 자체가 활성화 되면 많은 분들이 자체 토너먼트를 시작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byz6FPL6stjuFirtygohvSfWcUvSyz498GKi9oD2t5rF/image.png)

첫 경기는 야밥이 직접 주최하는 경기입니다. 이벤트 인포에 보시면 여러가지 정보가 나와있는데 중요정보는

  • 일시
  • 몇명의 플레이어가 참여를 신청했는지
  • 입장료
  • 리그 정도
  • 카드 종류
  • 전투방식
![](https://cdn.steemitimages.com/DQmRVtr1bQunuH43igi4a2ttaJmxp7Ask3JLz5JU3v1D2NU/image.png)
![](https://cdn.steemitimages.com/DQmUg8y5hfNgEapk1ijY9hzUsisQJaDiW6mh8W7UgDwdPRm/image.png)
자동 토너먼트도 체크인 제도가 있습니다. 시작 15분전에 체크인을 하지 않으면 자리를 빼앗깁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dMXLqzZjeBVKz3pwuBhGPAypoopyQQDg47yzkY4rFL3c/image.png)

이런식으로 토너먼트 시작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보여줍니다.

아직 시작단계라서 그런지 직접 토너먼트를 열 수 있는 곳은 보이지 않네요. 테스트후 오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image.png](https://ipfs.busy.org/ipfs/QmaBhGekmNzu6EcoWFkg7wCwrxLKV5w9gQf4nk1Qob6aSv)
@aggroed에 의하면 첫 토너 끝나고 야밥이 테스트 다 하면 자체 토너 버튼 오픈할것으로 보입니다.

신난다, 자동 토너먼트의 시작입니다.

아직 스몬 시작 안하신 분들? 스몬 하러 가자

[Steemhunt] Getting Pre-SMT projects on an exchange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KW1UabOe-image.png)
Hi, @jayplayco here.

This week was full of exciting news and the biggest one was that Steemhunt was leading the initiative with other Steem based Dapps to create a trade market on an exchange for Pre-SMT projects. Let’s dive into the details and see why Steemhunt is currently trying to launch their IEO and HUNT token on an external exchange.

Source: SMT-Tokens Market Initiative in Daybit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Current PRE-SMT situation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Lb5VcTkJ-image.png)
At the beginning of 2018 it when Steemhunt started the business, it was estimated to get a fully working SMT latest in March 2019. As we know due to the change at Steemit Inc. the current development of the Steem blockchain is slowed down. The next milestone for SMT is currently a "light" SMT without a DEX and no inflation functionality. There is also no ETA (estimated arrival time) mentioned so that all Pre-SMT projects are currently operating without knowing exactly when they can deliver.

A problem is, that all Dapps with a planned own token economy are depending on SMT to move forward. One of the parts is funding for their projects. Steemit Inc. has seen the same issue when the Steem price went down as selling their Steem was their only revenue model. You need to have enough cash (FIAT) in your wallet to move forward with your project.

Steemit Inc. has decided to keep the priority in direct cash flow (advertisement on Steemit.com) and lowering the cost for running nodes so that also the community (or witnesses) are able to run full nodes at a much lower cost. SMT is also on the short term roadmap as light version, but as mentioned even the latest post from @steemitblog is not giving any mention for SMT.

To be able to fund a project, Steem based Dapps have currently two possible ways.

  • Create a token for swapping (ERC-20, EOS, TRON, etc.) into an SMT later.
  • Create a token with @steem-engine

Let’s se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option and the pro and cons.

2. Comparing Steem-engine tokens and Temporary SMT tokens

a. Steem-engine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nHz5ag4G-image.png)
https://steem-engine.com/ is a service to create tokens based on a side chain of Steem within minutes at a low cost. #### PRO * Easy interface * Low cost to issue token (100 Steem) * Steem sidechain based * no transaction cost * Open source * 5 min. token issuing possible * DEX planned * Keychain enabled (also included token information in Keychain) * custom smart contracts planned * fast transaction

CON

  • No P2P consensus
  • separate Steem smart contracts software Link
  • Difficult access to external investors based on DEX.

b. Temporary SMT tokens

Temporary SMT tokens can be created on any other blockchain like Ethereum, Tron, EOS, etc. All of them would have the base promise that they would be swapped to SMT later. Even Steem-engine tokens could be used as temporary SMTs. But most of the projects have chosen ERC-20 tokens based on Ethereum. Let’s see why that is so.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CpiSAHMq-image.png)

PRO

  • ERC-20 standard is supported by many exchanges
  • More than 57 Million unique addresses are already available for ETH Link
  • Second biggest market cap with 15 Billion USD.
  • Easier access to exchanges to launch ERC-20 standard tokens
  • Wider access to investors

Con

  • High transfer cost
  • Higher barrier creating a smart contract based on ERC-20

c. What is the best solution?

There is no golden goose nor a right answer what the right strategy is. It highly depends on how your project is strategically planned. If you have the power and influence to attract enough investors on your own channels and need a simple and effective solution, Steem-engine is a very good alternative. As you can see on the Pro-Cons list there are a ton of good points to use the Steem-engine token.

If that is not the case, it is much easier to convince a new investor to use a known centralized exchange to invest in a new token or coin. Even if there is no centralized exchange, it is definitely much easier to find an investor who has already an ETH address, where you could send your ERC-20 tokens.

3. The exchange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vc5WulU-image.png) [Source: Chris Liverani](https://unsplash.com/photos/dBI_My696Rk)

“Visibility doesn’t automatically translate into value, don’t just be everywhere, be where you are most needed.”
― Bernard Kelvin Clive

So in the end, funding is a very important part when choosing your strategy for your PRE-SMT token. The best would be, as an example, to be able to launch PRE-SMT’s directly on bigger exchanges like Binance or Upbit. Also, Gopax, registered as a third party exchange for Steem, would be a great partner. But here we are reaching the reality of the business world.

Steemhunt tried to contact Gopax but wasn’t able to establish a connection to move forward. A lot of different exchanges had been contacted to be able to launch a PRE-SMT token. But there are a few points that Steemhunt needed to make sure when negotiating with an exchange to be able to move forward.

  • Exchange needs to have the ability to launch ERC-20 tokens
  • Exchange should not be built on a white label solution (can’t swap the ERC-20 to a later SMT)
  • Exchange does need the development power to integrate later the SMT protocol for tokens.

But most importantly the exchange should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Steem economy and the will to grow together, as otherwise, it would be just another coin/token on their exchange.

If you look into the current Steem Volume more than 50% is done in South Korea.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A8Xh6n15-image.png) [Source: Coingecko.com](https://www.coingecko.com/en/coins/steem/trading_exchanges#panel)

So it would be an advantage to get an exchange on board, who can understand also the Korean market quite well. Based on these factors Steemhunt has signed an MOU with Daybit.

4. MOU and Steem community power

![](https://cdn.steemitimages.com/DQmP7vJrjAVXqSJn3BsgJHizrHCnJ6wPGuJw3EaT6BrbjG3/image.png)
The MOU between Steemhunt and [Daybit](https://daybit.page.link/eC9v48ERfH8XEwD57) is as following.
  • List Steem and SBD tokens on Daybit
  • List the temporary SMT tokens on Daybit (such as ERC20) with STEEM trade pairs
  • Support fundraising for SMT projects via IEO (Initial Exchange Offering)
  • Support token swap of those temporary tokens to the SMT version when it’s ready
  • Support fiat currency trade pairs for the SMT tokens that have enough market volume
    Source

A few users pointed out that Daybit is a very small exchange and if we see the volume it is indeed true. They have started a few months ago and made it into the top 20th globally, but the failure to protect the value of their own DAY token crashed the MAU numbers. A 50% burning of DAY tokens and launching FIAT (Korean Won) are measurements they have already taken to move forward. Additionally, a whole strategic realignment planned for March is coming to increase the volume on Daybit. Daybit themselves may be still small, but their mother company ChainPartners (working mainly in Blockchain business) is funded with over 13 Million USD, so that Daybit has still enough room to move forward and grow big.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0CsDfOZf-image.png) [Source](https://thevc.kr/ChainPartners)

Another part is that Steem based Dapps have agreed to list their tokens on Daybit when the MOU becomes an agreement. If we have a look at the list of Dapps, we can see the combined power of Dapps from the Steem blockchain.

  • Steemhunt (@steemhunt) - Rank 14 / SP 1.81M
  • eSteem (@esteemapp) - Rank 9 / SP 0.55M
  • Utopian (@utopian-io) - Rank 341 / SP 3.61M
  • Actifit (@actifit) - Rank 15 / SP 0.28M
  • Fundition (@fundition) - Rank 25 / SP 1.03M
  • Tasteem (@tasteem) - Rank 83 / SP 1.09M
  • Tripsteem (@trips.teem) - Rank 125 / SP 0.19M
  • Dclick (@dclick) - Rank 57 / SP 0.17M
  • nTOPAZ (@ntopaz) - not ranked yet / SP 0.34M
  • Kpop Steem (@kpop-manager) - not ranked yet / SP 0.08M

We have in total 9.15M Steem Power in these Dapps, which is a huge amount of combined project power.

Also, @coingecko, who is since a while an active member on Steem, joined the force to make the tokens visible in co-working with Daybit on coingecko.com. This part is important to have visibility on the market and Coingecko with more than 9 Million visits per month looks like a good partner here.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8ky1l1xu-image.png) [Source: Similarweb.com](https://www.similarweb.com/website/coingecko.com#overview)

5. Next Step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jxuKgH94-image.png) [Source: Cytonn Photography](https://unsplash.com/photos/GJao3ZTX9gU)

First of all, Steemhunt needs to negotiate with Daybit to close the deal and get a signed agreement. Until then, Steemhunt will need all kind of negotiation power to be able to convince the exchange. One part, all Steemians can do, is to vote for Steemhunt as a witness, as that would help them in their negotiation. If you haven’t voted yet, please find the link as below.

6. Conclusion

With their agile approach and proven track in pivoting their strategy successfully, I am personally convinced that Steemhunt will come to a positive result, not only for Steemhunt but for the whole Steem economy and Steem based Dapps. I am looking forward to trading not only HUNT tokens into Steem but also tokens from Utopian, Tripsteem or Tasteem and all other Dapps joining this force. It would be great to be able to establish Daybit as the first centralized exchange supporting real-world services with existing products and users. That would be the first step to expand the exchanges supporting SMT projects. The future for Steem and Steem based Dapps looks brighter than ever. Hope and wish the best that @elipowell and her team is able to keep the speed on development for SMT, as the community is moving forward.

Bookmark - Create a website with AI in 30 seconds

Bookmark

Create a website with AI in 30 seconds


Screenshots

bookmark2.JPG
bookmark.JPG
View Image

Hunter’s comment

Just answer 7 questions and your AI assistant is going to create your webpage based on it. Test created a website as IT consultant and the result is a good baseground. You still need to edit of course the text to match it to your desire, but even a fast wordpress template installation is not faster.
https://www.youtube.com/watch?v=xH4eGJzDg50

image.png0


https://www.bookmark.com/



![Steemhunt.com](https://i.imgur.com/jB2axnW.png)
This is posted on Steemhunt - A place where you can dig products and earn STEEM. [View on Steemhunt.com](https://steemhunt.com/@jayplayco/bookmark-create-a-website-with-ai-in-30-seconds)

[SMT] Daybit 거래소 SMT 관련 토큰 런칭 예정

![](https://cdn.steemitimages.com/DQmVVd9s311VNFyXXgUwecrAPqtmfCQJjSFYyAsJZBermtT/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몇시간전 스팀헌트에서 그간 데이빗에 SMT토큰 런칭에 관한 노력을 발표했습니다만, (한글 버젼은 @project7 님의 글을 참조) 간단히 요약하면 현재 국내외 스팀상에서 SMT를 지향하는 많은 댑들이 같이 참여를 결정했습니다. 해외의 반응도 좋아서 KR의 지지를 받고 토큰런칭들이 성공적으로 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져 가서 좋은 것 같습니다.

1. MOU 체결이란?

MOU란 실제 아직 계약화까지는 되지 않은 상태이나, 기업과 기업간 정해놓은 방향으로 같이 추진을 하자는 강한 의지를 표현한 것입니다. 즉, 아직은 갈길이 좀더 남았지만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 스팀헌트팀이 주축이 되어서 데이빗측과 협상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요 내용은

  • 우선 스팀과 스달 상장
  • ERC-20과 같은 SMT 임시 토큰을 스팀 기축으로 상장 => 스헌, 트립스팀, 테이스팀과 같은 토큰을 실제 거래할 수 있습니다.
  • SMT 출시후 (스팀잇 재단 일해라~!) 스왑 지원 (매우 중요하죠)
  • 데이빗이 원화 FIAT 도 지원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되는 토큰은 KRW 거래 지원

스팀헌트가 데이빗과 성공적인 네고를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2가지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 스팀 내에서 증인 순위 증명을 통한 입지 확보 => 스팀헌트 증인투표 하기
  • 제품력을 바탕으로 하는 충분한 MAU/DAU (월간/일간 실 사용자) => 이를 위해 SMT 댑들이 힘을 합쳤습니다.

2. 참여 SMT 관련 댑

  • Steemhunt (@steemhunt) - 제품 헌팅 사이트/ 댑순위 14위
  • eSteem (@esteemapp) - 모바일 스팀 인터페이서 / 댑순위 9위
  • Utopian (@utopian-io) - 오픈소스 리워드 / 댑순위 341위
  • Actifit (@actifit) - 액티비티 앱 / 댑순위 15위
  • Fundition (@fundition) -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 댑순위 25위
  • Tasteem (@tasteem) - 음식, 식당 맛집 큐레이션 /댑순위 83위
  • Tripsteem (@trips.teem) - 여행 큐레이션 / 댑순위 125위
  • Dclick (@dclick) - 온라인 광고 / 댑순위 57위
  • nTOPAZ (@ntopaz) - 아트 큐레이션 / 댑순위 (아직 미등록)
  • Kpop Steem (@kpopsteem) - kpop 큐레이션 / 댑순위 (아직 미등록)

상기 프로젝트들은 보면 국내의 주요 SMT 프로젝트들과 해외의 굵직한 프로젝트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포함된 프로젝트들의 경우는 게임쪽이나 도박쪽입니다.

3. 왜 데이빗인가?

우선 의문점이 들 수 있습니다. 왜 데이빗이여야 하는가? 이전 한번 언급한 바 있으나, 다시 정리드리겠습니다.

실제 ERC-20의 토큰까지는 어떻게던 지원이 가능할 수 있겠으나, 우선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whitelabel (소프프트웨어를 통으로 사서 이름만 바꾸는)이 아닌 거래소가 그렇기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추후 실질적으로 SMT가 나오고 나서 swapping 이 가능한 거래소는 whitelabel이 지원하지 않을 경우 국내에서는 업비트와 Elixir기반의 데이빗 정도입니다. 물론 대형 거래소에 다이렉트로 런칭을 하면 좋을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아직 스티미언에게도 실체가 잡히지 않는 SMT를 대형 거래소에 설득하기란….. (스팀잇 일하잣!!)

데이빗의 경우 런칭시 촉망을 많이 받은 거래소였으나 (실제 아직도 찌라시를 받으면 DAY 코인이 추천으로 들어가있음둥..) 시장 논리(?)에 따르지 않고 투명하게(?) 운영을 해서 가격 방어, 펌핑등의 정책이 부재한채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게 되어서 현재는 거래소 100위권 정도에 안착되어 있습니다. 결국 경쟁사는 이길 수 있어도, 소비자가 원하는것이 없으면 소비자를 절대 이길 수 없는 시장 읽기에 실패한 것은 사실입니다.

현재 데이빗은 시장을 제대로 보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DAY 코인의 소각 정책, 원화 시장 런칭등을 시작으로 대대척으로 2/3월에 개편이 예정되어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현재 SMT나 스팀 관련 프로젝트 토큰에 대한 움직임은 크게 2가지로 나뉘고 있습니다. Daybit에 런칭하는 움직임 하나와 스팀엔진에 DEX로 런칭하고자 하는 움직임 둘. Daybit에 같이 상장을 추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들의 공통점을 보면 SMT의 Inflation기능이 절실하게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사실상 거래소 상장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면 스팀 엔진에 저렴하게 런칭해서 추후 스와핑도 고려할 수 있으나, 스팀엔진의 한계는 그 시스템을 실제 거래소에 런칭, 즉 거래소를 설득하기란 정말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따라 프로젝트 별로 스팀엔진으로 진행 가능한 프로젝트들이 있고, DEX가 아닌 거래소 상장이 필요한 프로젝트들은 Daybit 거래소 상장에 기대게 되는 것입니다.

4. 코인게코는 또 뭐지?

스팀헌트 측에서 발표한 것은 또한 @coingecko에서 Daybit에 상장하는 SMT 관련 토큰들을 지원하겠다고 했습니다. 코인게코는 https://www.coingecko.com/ 에서 coinmarketcap과 같이 각종 코인및 토큰에 대한 시장 현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사이트이며 월간 약 9백만 방문자 정도를 기록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V3uwXoz5eYi3SWYvY2YoKKGneV1THZZxSeByGX8JKdCT/image.png) [Source: Similarweb.com](https://www.similarweb.com/website/coingecko.com#overview)
코인게코측은 최근 스팀에서 활동도 왕성하게 시작했으며, 외부 visibility를 위해서는 매우 좋은 파트너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5. 결론

우선 @steemhunt팀의 추진력에는 매번 다시 감탄을 하게 된다. 어려운 시장하에서 한단계식 제품개발, 커뮤니티 형성까지 해서 스팀잇 재단의 SMT 개발 delay로 로드맵에 이상이 생기자 곧바로 방향으로 틀어 스헌뿐만 아니라 SMT 프로젝트와 관련 커뮤니티 전체가 살아갈 수 있는 방향 제시및 추진을 해버리고 맙니다.

Daybit을 시작으로 첫 거래소에서 성공을 거두게 되면, 자연스럽게 더욱 큰 거래소로 옮길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거래소 상장을 통해 외부 자금 유입이 될 수 있습니다. SMT 프로젝트들의 성공및 결론적으로는 스팀 생태계 업그레이트와 스팀의 가격 상향으로 모두가 웃는날이 멀지 않음을 느낍니다. 스팀헌트와 SMT 관련 프로젝트들에게 응원의 박수를 보냅니다.

스팀헌트 아직도 증인 보팅 안하신분? => 스팀헌트 증인투표 하기

[Utopian-io] 유토피안 트레일로 큐레이션 리워드 최대화

![](https://cdn.steemitimages.com/DQmVfQXeQLtAwNrVqGzmHHGp3hm2sY6evYnSpxpdLZ9mVhs/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제 글을 보신 분들은 일주일 한번은 스팀헌트 관련 영문글을 기고하는데, 가능하면 이것을 utopian.io 의 태그와 연동해서 올립니다. KR분들중에서 여기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시는 것은 @blockchainstudio 님이신데, 저같은 코드알못에게는 넘사벽이라 보통 blog 태그에서 활동을 합니다.

결론부터 먼저 말씀드리면,

유토피안이 프런트런닝 할 수 있는 @utopian.trail 계정을 만들어서 이를 따라 업보팅 하시면 큐레이션 리워드 극대화가 가능합니다.

자 그럼 자세히 들어가볼까요?

0. 유토피안.io란?

지난 SBA 출범때도 잠시 언급드린 utopian.io는 오픈소스 관련 컨텐츠 크레이터들에게 무지막지한 스파파워로 글에 업보팅을 해주는 비즈니스 입니다. 스팀잇 재단에서 2백만 스파를 임대받은 상태이구요, 유토피안이 요청하는 양식과 수준의 글을 올리고 맞는 태그를 달았을 때 업보팅을 합니다. 저의 경우는 blog에 기고를 했을때 5-25STU$ 까지도 (현재) 받습니다.

1. @utopian.trail을 따라 업보팅하면 뭐가 좋은가요?

큐레이션 리워드란 글 작성 후 15분 후 업보팅과 가장 주요한 것은 내 이후에 들어온 업보팅의 금액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면 큐레이션 리워드를 가장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많은 업보팅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글에 딱 15분이 되어서 업보팅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어떤 글이 고래의 업보팅을 많이 받을 지는 알 길이 없지요?

utopian의 경우는 @steemhunt와 마찬가지로 모더레이션 시스템이 있습니다. 즉, 모더레이터가 글을 3일 이내로 확인을 하고 평가를 해서 댓글로 승인을 할 경우 그 이후 언젠가 utopian의 봇이 와서 업보팅을 하고 가는 형식입니다.

이때 언제 모더레이터가 와서 댓글을 남길지 모르기 때문에 사실상 유토피안에 기고하는 분들의 글을 잘 보고 있다가 업보팅을 그냥 하고 가는 형식이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utopian에서 만든 trail전용 계정을 쫓아다니면서 업보팅을 하면 됩니다. 제가 쓴 글에 보니, 유토피안 모더레이터 승인 댓글후 거의 곧바로 utopian.trail 계정이 와서 보팅을 하고 트레일이 쫓아오더군요.

2. 설정방법 (1:1 따라하기) - Steemauto 설정하기

*경로 : https://steemauto.com/

  • 로그인후 스팀커넥트에 아이디와 포스팅키 입력
  • 메인화면에서 최초 접속시 스팀커넥트로 연결
    ![](https://cdn.steemitimages.com/DQmXVSJaJ87EADJxM2rq7Rty8ypmEBAtFxVF9JCV1uWTz9t/image.png)
  • 스팀커넥트에 @steemauto 포스팅롤 승인해주기 (그래야지 나대신 업보팅 해주니까요)
    ![](https://cdn.steemitimages.com/DQmX71gDytqbVoBiNU9V7DXLXTePx33C2d38MuWwU3qm8Sb/image.png)
  • 스팀커넥트에 액티브키 입력하기
    ![](https://cdn.steemitimages.com/DQmNmBaaMZsYS4A2jjw24UhF1QqrKrQKb4qunh9WyuZizJE/image.png)
  • 왼쪽 메뉴에서 Curation Trail 찾아서 클릭
    ![](https://cdn.steemitimages.com/DQmReaoNhNucSjgnnRkny6ZJnmpnSUKJAHYS8pS4ud6zK6W/image.png)
  • 하단 부분 SEARCH FOR TRAIL에 직접 username 부분에 utopian.trail (골뱅이 없이) 입력하고 SEARCH 버튼 누르기
    ![](https://cdn.steemitimages.com/DQmQBXbUUpkXJYSm2ttcwzy3xUkGRWDhnYuV96KNgWqQVEF/image.png)
  • utopian.trail 팔로우 누르기 (작성 당시 25 계정이 팔로우 하고 있네요. 아마 많아질듯요 ^^)
    ![](https://cdn.steemitimages.com/DQmVgkuFdWzmCdaycA7o5q3AsHuFiiJ3Bako5QXqk8WMLVb/image.png)
  • 버튼 누르면 “진짜로 할거야?”가 나오는데, “네”누르시면 되고요, 그이후 오른쪽 윗부분에 녹색으로 컨펌 메세지가 뜹니다.
  • 상세 세팅 바꿔주기 - 기본 세팅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세 세팅 확인해서 자기 입맛에 맞게 고치기. 트레일링의 경우는 다른 계정이 업보팅을 했을 때 따라 업보팅 하는 것임으로, 꼭 시간차를 둘 필요는 없습니다. 보팅 웨이트는 FIX로 하는 경우와 상대적으로 하는 경우 2가지가 있는데, 이는 최초 trail을 시작하는 계정, 즉, utopian.trail계정이 몇%로 업보팅하는거에 따라 50으로 쓰면 그 반만큼 업보팅을 하는 것입니다. 예, utopian.trail이 100%로 업보팅을 하면 내가 50%로 세팅하면 저는 그것에 따라 50%로 업보팅을 하는 것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cowSshq2uwZkXodD5AbdRFS5qqoB5nG7PHCQ44rBoFdC/image.png)
  • 이것 저장후 메인화면에서 세팅 하나를 더 바꿔줘야지 업보팅을 시작합니다. 몇%까지 떨어지면 업보팅을 그만둘지를 지정하는 세팅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W8k3gFjEp3yTovPGqgFxZgEVZXctq9gJ3uuH9edUwvDL/image.png)

3. 마치면서

Utopian에 올라는 글들의 경우 오픈소스 관련 유용하거나 유익한 글들이 많습니다. 프로젝트 자체가 모더레이션을 비교적 강하게 해서 저품질 글들은 업보팅을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구요 ^^. 보팅 파워가 남는데 어디에다가 제대로 쓸지 모르겠는 분은 @utopian.trail을 따라다니면서 좋은 글에 업보팅 자동으로 해주고 큐레이션 리워드도 최대화 하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리스팀으로 널리 퍼트려 주세요 ^^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