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몬] 자동 토너먼트 테스트중 - 곧 오픈 예정

![](https://cdn.steemitimages.com/DQmViqvCRy6Gdvobc5a6BU8yjUV4JV3z9zV6P1peN26fXbz/image.png)

소스 : https://steemit.com/steemmonsters/@steemmonsters/steem-monsters-automated-tournaments-now-in-testi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그동안 스몬 토너먼트 개최시 challenge.on을 이용해서 메뉴얼로 토너먼트를진행해야 했었는데요, 그간 기다려져온 자동 토너먼트가 테스트에 돌입했으며 곧 공식 런칭된다고 합니다.

토너먼트의 경우는 현재 수동 토너먼트와 마찬가지로 어떤 유저라도 열 수 있으며, 어뷰징을 막기 위해 토너먼트 생성을 위해서는 약간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bE4iMxEWJrjCeEnsxnNnT26DkayrvL1AxWDhcjXYs1eV/image.png)

3월에 20,000 스팀 상금

이외에 추가적으로 스몬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토머먼트중 총 2만 스팀의 상금을 건 토머넌트들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제품 로드맵

중장기 플랜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토너먼트 업데이트 : 최초 버젼을 공개하고 나서 추후 기능들을 지속적으로 추가할 예정입니다.
  • 팩 토큰 : 알파와 베타팩을 토큰으로 생성해서 스팀 엔진 플랫폼에 판매 가능하게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카드 임대 : 많은 분들이 기다려온 카드 임대도 예정되어 있어 좋은 소식이네요.
  • 마켓/컬렉션 섹션 업데이트 : 조금더 쉽게 카드를 관리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 예정
  • 게임내 추가 화폐 발행 : 스팀 엔진을 통해 스몬용 자체 토큰도 추가 발행될 예정입니다. 이는 카드 소각을 통해 얻을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야호~ 카드 소각입니다!) 즉, 카드를 소각하면 이 새로운 화폐를 지급하고, 이를 통해 인게임 아이템이나 길드 생성에 필요한 화폐로 쓰일 예정입니다. 기존 나와있는 게임들과 비슷한 형태로 쓰일것으로 보입니다.

마치면서

조금 있으면 시작될 자동 토너먼트는 크게 기대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또 이제는 공식적으로 인게임 머니를 만들어서 카드 소각의 앞날을 예고한 만큼 카드들의 희소가치 부분이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몬 가즈아~!

[AI] 인공지능이 우리 일상에서 미칠 수 있는 영향

![](https://cdn.steemitimages.com/DQmVW3rSYi5v6Z5S4e8qpLCDatNwpeCmCHimy6DV5HJ7ibv/image.png)
> "단순한 체스 나 퀴즈 문제뿐만 아니라 수학과 엔지니어링에서부터 과학과 의학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기계가 이번 세기 말 이전에 우리보다 더 똑똑해질 확률이 높습니다."- Gary Marcus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오늘은 스팀 관련이 아닌 그냥 일상적인 AI관련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정말 상상할 수 도 없던 것들이 가능해지고 있는데, 이에 따른 부작용도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한번 간단하게 들어가보죠.

0. AI 란?

AI는 실제 미디어에서도 많이 접해서 이제는 익숙한 약자입니다만 Artificial Intelligence, 즉 인공지능입니다. 주변에는 요즘 인공지능 스피커, 핸드폰에는 인공지능 비서등이 가깝게 다가오는 AI 제품들이죠. 참조

1. 이슈화되었던 인공지능 기능들

a. Deepfake

Deepfake란 AI 기반으로 사람의 이미지를 재생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이용해 예를 들어서 기존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을 따라 만들고 말하고 움직이게 할 수 도 있는 것입니다. 유명했던 예가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을 샘플로 만든 말도 안되는 연설을 하게 했던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Q54GDm1eL0

부분적으로는 Nikolas Cage의 얼굴은 모든 영상에 넣어주는 것이 유행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도 이 기술 덕분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U9YAHigNx8

그러나 이 기술이 문제가 되었던 것은 Deepfake 기술이 성인동영상에 입혀지면서 초상권 침해등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했고, 심지어 마벨 어벤져스에서 활동하고 있는 Scarlett Johansson은 이에 대항해 법적으로 맞서 싸워봤지만, 실제로 승산할 가망성이 없다고 할 정도였습니다.

이는 2018년 1월에 런칭된 Fakeapp라는 Deepfake용 소프웨어가 공개되면서 일반 유저들도 손쉽게 Deepfake용 비디오를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더욱 가속화 되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대형 외국 성인사이트들의 경우는 deepfake된 성인용 영상들을 금지하고 있습니다만, 우선 판도라의 상자는 열린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b. ThisPersonDoesNotExist

https://www.youtube.com/watch?v=B6mQhjPdy4o
사실 이 글을 쓰게 된 배경이 이 앱입니다. 현재 해외 뉴스에서는 이슈화가 되고 있는데요, AI를 이용해서 실제 존재하지 않는 사람을 생성하는 사이트가 생겼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steemhunt에도 소개가 되었는데. (클릭) 간단하게 설명하면 페이지를 오픈하면 사람 얼굴을 하나 보여주는데, 이것이 AI 기반으로 임의로 만들어진 허구의 인물입니다. 부분적으로 좀 에러나는 경우도 있는데, 사실 몇번 해보면 정말 어색함이라고는 느껴지기 어려울 정도로 일반인들의 사진인것 같은 초상화들이 F5를 누를때마다 생겨납니다.

이런 서비스의 경우는 Stock photo가 필요한 분들을 위해서 초상권 침해 하지 않고 쓸 수 있는 사진들이라 유용할 것 같고요, 추후에는 영화에도 CG 처리 할때 엑스트라의 경우도 그냥 랜덤 처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랜덤 얼굴 생성하러 가기

홈페이지에 들어가보시면 정말 아무것도 없고, 그냥 사진 하나 1024x1024로 보여줍니다.

이런 기술의 경우는 추후 진짜 같은 가짜 계정들도 생겨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c. 글을 혼자 쓰는 AI

https://www.youtube.com/watch?v=XMJ8VxgUzTc
테슬라의 오너로 유명한 엘런 머스크가 투자했다는 OpenAI라는 회사에서는 얼마전 Deepfake Text를 쓸 수 있는 AI 시스템을 개발 완료했다고 하는데요, 중요한 것은 엘런 머스크는 AI가 인류에는 위협이 될거라고 언급한 적도 있어 흥미가 가더군요. 더국더 재미있는 사실은 혼자서 글을 쓰는 AI를 만들고 나서 알고리듬은 결국 악용할 위험이 있어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은, 몇줄 정도의 글을 시스템에 던져주면 그것을 바탕으로 분석을 해서 정말 사람이 쓴듯한 글을 계속 써준다는 것입니다. 미래에는 기자, 심지어 더욱 심하게는 책 쓰는 사람까지도 자리를 위협받을 수 있게 되는 날이 올 수 있는 것입니다.

d. 알파고와 이세돌

https://www.youtube.com/watch?v=vFr3K2DORc8&t=1670

이미 2016년도에 일어난 일이라 좀 되긴 했지만, 그때 당시 파장을 일으켰던 알파고와 이세돌의 격돌은 다들 기억하실 겁니다. 결국 알파고가 4:1로 이기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절대 넘을 수 없을것이라고 예상되었던 바둑의 벽도 인공지능은 넘고 말았던 순간이 이미 3년이 넘었습니다. 알파고는 구글의 기술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구글의 인공지능 개발 집중은 여러 방면에서 빛을 바라고 있습니다. 오픈 소스로 제공하는 Tensor Flow도 결국 구글 재력으로 만들어지는 작품이고 (위에 언급했던 Fakeapp도 Tensor Flow로 작동합니다.), 자율 주행등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미래를 봤을때 구글이 AI 시장의 큰 부분을 먹을 것으로 예상될 수 밖에 없는 것도 이러한 기술적 선두과정에서 나타난다고 봅니다.

2. 마치면서

AI가 우리에게 가져다 줄 수 있는 편리함은 정말 많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사람의 파워로는 해결 할 수 없는 것을 AI는 수많은 경우의 수를 순식간에 대입해 판단할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data를 생성하면서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AI와 로보틱스의 결합으로 우리가 영화에서 봐왔던 인공지능 로보트의 시대도 AI의 발전으로 부분적으로 우리 일상으로 조금씩 스며들것으로 생각됩니다. 처음부터 사람의 형태가 아닌 귀여운 캐릭터를 등에 업은 스피커같은 형태로 말입니다. ^^

[SBA] 스팀 비즈니스 얼라이언스 출범 - 대형 고래들의 협업과 비즈니스 전망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3VzT9JXg-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바로 어제 Steem Business Alliance라는 단체가 출범하였습니다. 이를 주목해야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업체들이 협업을 통해서 다른 스팀 기반 비즈니스과 새로운 유저의 온보딩 그리고 전체 스팀 이코노미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을 위해 힘을 모았다는 것에 있습니다.

참여하는 계정들을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dqCPL4daN6FZ6pYzVYin4FN6CsHCrZdq9dgtVzvjtVLf/image.png)

총 8,497,639, 즉 거의 8백5십만 스파를 보유한 비즈니스들이 모여서 힘을 모았다는것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0. 원본 소스

https://steemit.com/steemba/@steemba/introducing-the-steem-business-alliance
공식 계정 : @steemba

하기 글은 원문을 바탕으로 개인적인 의견을 반영한 글입니다. (1:1 번역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

1. 배경

이들은 어떻게 해서 이렇게 힘을 합치게 되었을까? 작년 11월 폴란드에 있었던 스팀페스트에서 이들은 발표를 하고 서로를 직접 보면서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때 이들은 같이 일하면서 힘을 합치고 스팀을 홍보하는것이 새로운 유저, 개발자, 비즈니스와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좋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스팀잇의 행보에 따른 움직임도 영향이 있었을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전세계에 흩어진 팀들은 온라인으로 주간 미팅으로 하고 (예상으로는 디스코트에서 열심히 회으를 했을 듯 ㅎㅎ)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논의합니다. SBA가 제대로 출범하고 나서 다른 댑(스팀 기반 수익형 프로젝트)들도 똑같이 가입을 가능하고자 합니다.

2. 스팀 비즈니스 얼라이언스(SBA)란?

스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이익을 추구가 목표인 등록된 사업체를 위한 단체입니다. 상호간 전략, 리소스, 교육 및 경험을 공유하는 것으로 관심있는 멤버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입니다. 즉, 예를 들어 @jayplayco가 스팀 기반 비즈니스를 시작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아니면 유저를 새로 온보딩 해야하는데 스팀 계정때문에 힘들다 등이 있으면 SBA에 가입을 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블랙 유저들의 경우 차단 하는 방법들이 다양한데, 각 사업체들의 노하우 전수도 가능하고, 심지어 스팀헌트의 경우는 오픈소스인 관계로 도입도 가능합니다. (현재 사용자 블랙리스트는 API를 통해 요청시 제공합니다.)

3. 목표

어차피 스팀 기반 사업체들은 스팀의 가치 상승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SBA도 스팀의 가치 상승과 더불어 새로운 창업자나 기존 사업체 운영자분들도 서로의 성공이 이익이 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새로운 스티미언 유입 - 정말 절실하긴 합니다. 팀들이 모이면 스팀 가입이 RC 공유로(?)로 조금더 간편해질것 같고, 블랙리스트 API 공유로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팀 외부에서 더욱더 많은 스팀 유저를 유입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는 스팀잇의 유입도 있어야겠지만, 각각의 스팀 기반 서비스가 스팀계정을 구글 로그인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즉 사용자는 가입할때만 “편하게” 스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그 이후는 스팀관련 잘 몰라도 서비스를 이용하는게 핵심일 것으로 보입니다.

  • STEEM 투자자 유입 -사실상 이것을 위해서는 2가지 방법 정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나는 전체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살아나는것이고 (이는 아무도 언제가 될지 모르니, 적어도 스팀잇이나 스팀을 쓰시는 분들중에서는 이를 불러올 수 있는 분은 없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다른 한가지는 스팀 기반 수익형 Dapp들중 메가히트가 많이 나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재는 가장 많은 관심은 도박앱들이나 게임댑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전체적인 대중을 타켓해서 끌어오기 위해서는 외부 유입이 절실하게 필요한 @steemhunt, @fundition 이나 @trips.teem @tasteem @ntopaz 같은 프로젝트들이 성공을 꼭 해야합니다.

  • 개발자 유입 - 개발자들이 스팀 관련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정보를 모아서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고 마땅히 물어볼 곳을 찾는것도 시간이 걸립니다. SBA가 이런 정보의 공유/ 취합및 모든 프로젝트들은 우수한 프로그래머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지식들을 공유했을 경우 새로운 개발자들이 더욱더 빨리 정착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 스팀 커뮤니티 성장 - 이것은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아마도 구체적인 것들은 논의해서 정해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스팀 블록체인 마케팅 - 사실 스팀잇 재단이 해야할 일입니다. 하지만 제가 아직도 스팀에 투자해있는 중요한 이유중 하나가 막강한 커뮤니티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스팀잇 재단이 리소스상 못하는 마케팅을 소규모로 운영하는 스팀기반 댑들이 혼자서 할 수 있을리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리소스를 나눠서 같이 운영하고 미팅을 통해서 마케팅 플랜을 수립하면 이는 그래도 중소기업의 파워 이상은 나올 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스팀잇 재단에는 마케팅을 “잘”하는 사람은 특별히 없는 듯 합니다. (이것은 순전히 지금까지 해온 마케팅을 봤을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하지만 각 댑들의 인원들이 모이고, 추가로 새로운 댑들이 유입되었을 때 이 시너지는 분명히 커질 수 있기 때문에 기대하는 부분중 하나입니다.

추가적으로, 모든 프로젝트들은 스팀 기반으로 운영했을 때 부딪히는 문제점들이 비슷합니다. 스팀 외부에서 새로운 사용자 유입, 어뷰징 문제등. 그리고 각기 다른 해결책과 리소스를 투자해서 만들고 있는 것이죠. 협업을 통해서 이런 부분을 줄일 수 있을 때 참여하는 모든 멤버들에게는 분명히 이익이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4. 로드맵

a. 단기플랜

  • 랜딩페이지 만들기
  • 모범사례/ 실패 사례 공유

b. 중기플랜

  • 새로운 비즈니스 컨설팅및 온보딩
  • 스팀 생태계에 기여 (예, full node 운영등)
  • 커뮤니티에 도움이될 IP (Intellectual Property) 공유

c. 중장기 플랜

  • SBA 컨퍼런스 개최 - 요거 재미있겠네요..
  • 투자자, 고객, 개발자와 스티미언을 모아서 스팀 해커톤 개최

5. 기타 등등

추진해야하거나 이미 추진된 것들

  • 창립 문서 작성
  • Governance 문서 작성
  • 따로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된 SBA의 보팅 시스템 개발.
  • SBA 멤버 소개 홈페이지 작성

6. 개인적인 생각

우선 스팀잇 잉크가 하지 못하는 많은 일들을 필요에 의해서 스팀 기반 댑/프로젝트들이 직접 여기저기서 나서는 모습이 좋습니다. @coingecko도 협업에 대한 관심을 표했고, @tasteem, @trips.teem, @ntopaz, @steemmonsters 도 참여를 하면 이익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더욱 쉽게 빠르게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진다면 이는 EOS나 Tron에서 모두 독고다이로 생존해야하는 분위기와는 다른 정말 커뮤니티에 의해 빠르게 성장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길게 봤을때 어서 SMT가 나와야 많은 프로젝트들이 날개를 펴는 것도 사실입니다.

현재 스팀엔진을 통한 토큰 발행도 진행되고 있지만, 사실상 이 시스템이 DEX 말고 기존 거래소에서 거래될 확률은 현재로는 비교적 적은 것도 사실입니다. 스팀 기반 생성된 토큰들이 살기 위해서는 스팀엔진과 같은 움직임도 중요하나 우선은 거래소들이 스팀 기반 토큰들을 지금이라도 런칭하게 하기 위해서는 ERC-20과 같은 방식을 채택하고 이에 대한 추후 swapping을 보장받아야 합니다. 결국 외부 투자자 유입과 밀착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현재 스팀헌트가 데이빗과 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그것이구요.

데이빗과 네고를 위해서 높은 증인 순위가 도움이 된다고 해서 혹시 아직 스팀헌트에 증인 보팅을 안하신 분들은 한번씩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

**[스팀헌트 증인 보팅 하기](https://steemconnect.com/sign/account_witness_vote?approve=1&witness=steemhunt)**
[![](https://cdn.steemitimages.com/DQmas1ZXeFf9Wy14YXwemH8u9SJRWkpgukgWuScYcGeQvjc/sh-witness-footer.jpg)](https://steemconnect.com/sign/account_witness_vote?approve=1&witness=steemhunt)

[Steemhunt] Hunted products analytics

![image.png](https://ipfs.busy.org/ipfs/QmbsjPYBCuwyJgz7dtwn6F8Anc87hbpX152MPv1c78m1a4)

Hi, @jayplayco here.

I have done some number crunching based on open numbers to see how Steemhunt is moving forward in a bear market like now.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How To.

I have gathered the information on the @steemhunt account, as they are publishing a daily report about how many hunts have been verified and how much SBD the hunts have created. (The SBD created includes the voting from the Steemhunt account). Additionally, I have gathered information from coinmarketcap.com to include the historical price data of STEEM. Based on this data I used the following formula to get an average value for a daily Steem price cleaned data.

Daily gathered SBD / Daily Steem Price = Average Value

The data is based on the last 3 month beginning from 15th of November 2018 to 14th of February 2019.

2. Products

![](https://cdn.steemitimages.com/DQmUm9zNrdYwLeGaJuHZa88gSZ3X4Ffe9JVQ1Ywrp61R5J9/image.png) **Daily hunted products**

We have a glitch at the beginning of February and it was due to a system upgrade of Steemhunt. The graph looks like as the hunts are on a similar level, but if we dive into the details it shows a bit different picture.

  • Average hunted products Nov. 15-Dec. 14 : 151.6 products
  • Average hunted products Dec. 15-Jan. 14 : 138.97 products
  • Average hunted products Jan. 15-Feb. 14 : 164.78 products

The total average for all three months is 151.7 products and the activity in December was a bit slower. It may has to do with the holidays in December or also with the average Steem price, which was at a level of 0.27USD in the second period compared to 0.37USD in Nov. 15- Dec.14.
The good part is, that the average hunted products are increasing again and are now on a level of 164.78 products per day.

2. Products vs. SBD

![](https://cdn.steemitimages.com/DQmbnggChyspbyi27z2kr7AgkbY5d93VKQdEffk8ThYynpr/image.png)

Based on the hunted products number the daily generated SBD reward is moving on a similar level.

![](https://cdn.steemitimages.com/DQmXpb4at1AB3WhpNFpdhdABEYjsHp8SwJFXgeVCjUUuhFK/image.png)

If we want to look into the rewards, we have also to look into the relation with historical Steem prices.

![](https://cdn.steemitimages.com/DQmREQxaLHt7zFHgmUa2EDbaUxE8jFqg2MKEhNpNxGxguCF/image.png) **Generated SBD rewards at Steemhunt**

Similar to the generated SBD rewards we can see as the Steem price is declining, the rewarded SBD is also declining. The main reason here is that the SBD’s generated as the reward at Steemhunt is still mainly created by the main account @steemhunt which leads to a proportional high relation to the Steem price. As soon as Steemhunt’s user base is growing rapidly, this picture would change.

3. Average daily Value

![](https://cdn.steemitimages.com/DQmVHKLNt69T9EYLshaV27LQnHZdnEXpN8hfq3QxMEDrApk/image.png) **Average Daily Value**

Daily gathered SBD / Daily Steem Price = Average Value

The average daily value is giving a picture of a comparable value of Steemhunt’s generated rewards. It also shows a slight decrease, so let’s get into details here.

  • Average Value Nov. 15-Dec. 14 : 1253 points
  • Average Value Dec. 15-Jan. 14 : 1328 points
  • Average Value Jan. 15-Feb. 14 : 1021 points

These numbers are interesting, as we can compare it with the average of hunted products. It shows a different picture and gives us the insight that we had the highest average value points between Dec.15-Jan. 14 and that it is decreasing very fast in the most recent term to 1021 points. It may is in relevance with the fact Steemhunt had decided to decrease the HUNT token rewards end of January or it could point (supposing that the rewarding part of the account @steemhunt is on a similar level) that fewer users are curating and upvoting at Steemhunt since a month.

So could this be a problem?

![](https://cdn.steemitimages.com/DQmebgERzjoBd8yarTWiLypkxV4HdeXF3xuC8ubR3taw9R3/image.png) [Source: StateofDapps](https://www.stateofthedapps.com/dapps/steemhunt)

If we have a look at https://www.stateofthedapps.com/ and see how the development of user engagement is, it actually looks ok. It means that even when the daily reward pool (upvoting users) may shrink for the moment, Steemhunt got more active users on their platform (which is based on different kind of activities). So, in my opinion, it is a short reaction and will recover again.

4. Average daily Value based on Weekdays

![](https://cdn.steemitimages.com/DQmVHKHP8GjGEbSU5KXLY298peo3uZeQr8Uwit2CrMPT6Lp/image.png)

Most rewards are created on Tuesday. Saturday and Sunday seem to have the least upvoting activities from hunters. We can assume that active Steemhunt users could plan on posting on Tuesdays.

![](https://cdn.steemitimages.com/DQmNiMVuKZBUpvi1HPJmYzgGfCyju4ZTaNB6Nzh1HHgLSnV/image.png) **Daily hunted products**

And looking into the numbers shows that Tuesday is really the day with the most hunted products. On the other side, if the hunter would like to have a better chance to rank, they should target a Sunday or Monday, as these days are the least crowded days. If you look into the upvoting pattern, Monday would be the best day to give your hunt a better chance for a good ranking.

5. Conclusion

Even on this bearish market, we can see that Steemhunt is keeping a good pace. The number of hunted products are increasing again, there are fewer hunters upvoting the hunts, but the active user number is increasing, which could be interpreted that more new hunters are active.

[Steemhunt] Getting Steem based projects out to the real world.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RoN0dwRW-image.png
Hi, @jayplayco here!

Since the layoff of about 70 employees from Steemit Inc. and the announcement of delays of SMT, there is a lot going on (positively) on Steem.

One of the parts is that some Steem based projects started to take the matters in their own hands to speed up the establishment of our Steem environment.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Token System

Blockchain environments like Ethereum, EOS, and Tron are partly very successful because they deliver the possibility to create own tokens. STO concentrated tokens like Polymath is, as an example, build on smart contracts from Ethereum. Beside Steem, EOS, Tron and Ethereum are the blockchains with most of active Dapps available.

![](https://cdn.steemitimages.com/DQmUXPKz1TkfeqKV2vTy1RTu8qkzsA8hBYAAWurst2DJTR1/image.png) Source: StateofDApps.com, Dappradar.com

Based on StateofDApps, Steem based Dapps rank quite well with 5 Dapps in the top 10 and 8 Dapps in the top 20. Steem is not yet represented at DappRadar.com and therefore the ranking is mainly covered with projects from EOS and Tron.

2. Steem based Tokens and SMT

If we have a closer look at different blockchains and the Dapps represented there, we can find different financial systems, games, gambling Dapps and interfaces like Steemit, eSteem or Busy. If we exclude this kind of Dapps, most of the real world adaptation based service Dapps like @actifit, @steemhunt, @fundition, @trips.teem, @tasteem, etc. are actually based on Steem. A difficulty for Steem based Dapps is, that most of them have planned their own token economy but are not able to launch their token system because of the delay of SMT. So we have now two different movements on the Steem blockchain to get through this difficulty.

a. Steemengine

![](https://cdn.steemitimages.com/DQmS5eV24CVENC6JqzCXAhXhVxUSPT7EQFUdoCFUPgeHH3U/image.png)
[(Source)](https://steemit.com/steemengine/@aggroed/introducing-steem-engine-com) Steemengine is somehow a replacement or earlier alternative for an SMT-lite version. You can create tokens with smart contracts on a sidechain platform which is built on the top of the Steem Blockchain. The process is fast and easy even for non-developers (I was able to create a test token in about 2 min.) and a very important part is that Steemengine is preparing also an internal DEX, which enables the tokens to be traded directly from token XXX to STEEM or SBD.
![](https://cdn.steemitimages.com/DQmZpEwW7ugJbm2HRMWuQRmNLk8NpcwHDuiaJUiz4vyWPuT/image.png)

It is based on a javascript from @harpagon open and available at the following GitHub repository. Also, @aggroed and @yabapmatt are involved in this project. As always it seems that @steemmonsters is also preparing a token on their own and to be able to move forward they just co-created a whole token economy system around and opened it for other projects either.

In combination with Steem Keychain transferring tokens and using them this environment could be interesting for projects that would not need the inflation function like @magicdice or @steemmonsters.

b. ERC-20 until SMT with inflation

![](https://cdn.steemitimages.com/DQmc5iNKvfe36u7uosVop4Ha1FcyYoYVejGE74fsEN9vTJE/image.png)
[Source: Chris Liverani](https://unsplash.com/photos/dBI_My696Rk) For projects like @steemhunt or @trips.teem, the inflation function of SMT is a core of their token economy. So, in the end, this kind of projects will have to wait for @steemit to get a functional SMT including the inflation function. If Steemengine is a project that tries to establish an SMT lite version including a DEX before an SMT starts, projects like @steemhunt are preparing themselves for a later launch of SMT. Steemhunt [announced ](https://steemit.com/steemhunt/@steemhunt/making-steem-trading-pairs-for-smt-to-potentially-reach-top-20-exchange-term-14-influencers-or-sponsor-report-42) that they are currently preparing an IEO and also started to negotiate with exchanges to enable SMT based tokens a listing on them. Their main partner for this is [Daybit](https://daybit.com/). We could now ask ourselves why Daybit and not another exchange, but for that, we have to understand some mechanism of exchanges. As SMT is not considering to launch an own DEX at the moment, this means that a DEX is NOT included in the protocol and to be able to trade SMT based tokens, you will need a centralized exchange. A lot of exchanges are not developing their own software but running on white label software. That means that the exchanges are depending on the white label software developer which coins and tokens they actually can list or not. So you have to find an exchange that is big enough (and does have enough potential), also have the developing power to be able to integrate a new standard and having the intention to list a Steem based project token including the new environment.

As far as I know, Steemhunt has spoken with a lot of different potential partners and Daybit seems to have the fastest and biggest impact to launch Steem based tokens.

The Daybit team seem to be very supportive, as they are discussing the implementation of,

  • Listing STEEM/SBD
  • Create STEEM-paired market section
  • Evaluate SMT based project tokens
  • Swap temporary ERC20 to SMT tokens later
  • Fundraise SMT projects via IEO

Unfortunately, nothing of the above is still decided except an MOU, but I think the team is on a good way to reach their goals.

The important part is, that whether Steemhunt or other SMT based projects counting on the inflation function will need at least a centralized exchange to be able to trade and market their tokens to a wider customer base.

3. Conclusion

![](https://cdn.steemitimages.com/DQmSFcTnFL8LxLZunhnreZWic456GHvgmNDwxf8DunbaNw3/image.png)
A lot of Steem based projects are moving forward, regardless or actually because of the movement of Steemit Inc. Either it is a token creation system or preparing the delayed introduction of SMT, it is great to see that the community is working together for a better Steem environment.

[Steemhunt] Hunt Token gradual decrease

![](https://cdn.steemitimages.com/DQmbhaHEnn7jw9exgJtSGyHimVDLfXswrbpxK9Cz5EBXtLE/image.png)

Hi, @jayplayco here.

Steemhunt has announced that they are going to gradually decrease the airdropped tokens. Let’s dive into details.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Gradual Decreases in HUNT Token

In total 30% of the announced 50% airdrop has been distributed which sums up to 76 Million HUNT tokens in the hand of about 14K accounts. Coins based on Ethereum can be tracked how many different addresses are available and as an example, Zilliqa is distributed to 40K different addresses.

Initiated in May 2018 the airdrop is currently running for about 8 months and due to the estimated delay of SMT, projects based on SMT need to adjust their plans. The first plan was to run the airdrop for a maximum of a year but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Steemhunt has decided not to wait too long but start already part of implementations. The decrease of airdropped HUNT tokens is a vital portion of this plan.

  • Airdrops to Steem Power holders (1:1 airdrop, claim basis, closed with 3.63% distribution for 6,373 SP holders)
  • Token swaps for Steem delegations (90,000 tokens per day, 4.52% are distributed)
  • Voting contributors (50,000 tokens per day, 2.03% are distributed)
  • Role and promotion contributions, and daily activity participants (4.85% are distributed)
    Source: @steemhunt
![](https://cdn.steemitimages.com/DQmWjcmf7yULvvQgyHgxBsHrgy5L2z8BhvV7w392J7RJHuK/image.png)

When we see the current airdrop distribution, delegation (sponsors) token swap had been the biggest part with 23 Million HUNT tokens distributed.

![](https://cdn.steemitimages.com/DQmUWGJAuMtpYqwjCyZGHN8C8PHW9etxSHFw7CtUebs1Vow/image.png)

Steemhunt decided to reduce the total amount of daily distributed HUNT tokens by up to 30% per category and week. Theoretically, this could mean that the current daily airdrop of 50K HUNT tokens for voting contribution could change to 1K per day in about 12 weeks.

![](https://cdn.steemitimages.com/DQmeigmaT8q6dRcAKE3wytQisxHwpegzebqJggp7DJzU2jy/image.png)

I personally don’t think that the airdrop amount will be reduced that dramatically, as Steemhunt has announced that they will adopt the ratio based on the HUNT token price per $STU, which should meet the target listing price.

2. Background

![](https://cdn.steemitimages.com/DQmYz1ix58PMVT57yQnwgSZ9ke74PnKU8YR2UrzAPBx4L3X/image.png) [Source: rawpixel](https://unsplash.com/photos/jBxLJt-fEvs)

a. Inflation Pool

As SMT is not going to start with the inflation function Steemhunt is going to reserve part of the airdrop volume to cover the inflation function for HUNT tokens.

we should maintain our buffers to use as an inflation pool with ERC20 tokens if the SMT launch is delayed too much.

b. Protection of value

A 50% airdrop was at the beginning of Steemhunt something totally new to the market and a new way to be able to finance the user growth without any ICO. On the other side, bigger amounts of airdrop volumes do have an impact on price when listing a coin, not on a DEX but a centralized exchange. As the announced IEO for HUNT tokens is coming closer, Steemhunt decided to reallocate the amount of HUNT airdrops (If SMT had been launched as planned it would have been different) to be able to protect the value of HUNT tokens and also the 14K HUNT token holders.

c. Marketing Fund

Reviewhunt is an important part to be able to create a revenue stream for Steemhunt. On the other hand, B2B Sales pitching for makers and brands will take time to flourish and in between it is needed that, as an example, Steemhunt steps in and create bounties for different projects. This would be similar to @steemmonsters, where currently a lot of tournaments are sponsored at the moment from Steemmonsters themselves. As soon as the user base and recognition of the service (or game in case of Steemmonsters) is big enough, review bounties would be covered from brands and makers. Steemhunt will need HUNT tokens for this kind of marketing activities.

3. Conclusion

As a project that bet on Steem and SMT as a base, it is not easy to adapt to delays that can not be estimated. The current decision to reallocate part of the HUNT tokens is the right move to be able to act if SMT is going to take much longer than estimated. Steemhunt is preparing a potential start of planned pillars (Reviewhunt and Ideahunt) without a proper working SMT and we should have a close eye on both the development of SMT and the adaptation from Steemhunt.

[스팀몬스터] 바이낸스 CEO 스몬 트윗에 언급

![](https://cdn.steemitimages.com/DQmd2MSkjXRsrXfLL7pvNtNKymksHHTnna3i5QtzUER9oyZ/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짧게 전달합니다. ^^

스몬 관련 몇시간 전에 큰 호재가 있었네요. 바이낸스의 CEO가 트윗에 직접 스팀몬몬스터를 언급했습니다. 영향력이 어무무시한 만큼 빠르게 전파되었는데, 혹 트위터 계정이 있으신 분들은 리트윗을 통해 더욱 많은 분들에게 알려드리면 좋을 것 같네요. 이는 다름이 아니라 스팀몬스터가 이제부터 바이낸스의 BNB를 구매수단으로 허용하면서 일어난 일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SxtfXXeTr9dWwyax8jJqzLnHYZHf2r5ft2uqU9oL8693/image.png)
[Source: @cz_binance](https://twitter.com/cz_binance/status/1090082827293450241)

스몬이 스팀 생태계 밖으로 나가서 추가적인 사용자를 끌어오려는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고 있네요. 좋은 현상이라고 판단됩니다. 스몬 가즈아~!

[Steemhunt] Webpage Update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RoN0dwRW-image.png)

Hi @jayplayco here.

The web version of Steemhunt got an update and I would like to have a short view into it.

If you get into the page at www.steemhunt.com you will see on the left side that the view got updated. We have still the same BI and colors but the information on the site has been updated. As Steemhunt is growing and despite the current developing situation of SMT, the service is moving on to engage more users to its service. Streamlining the first page of Steemhunt is one of these tasks and has been just finished.

0. Repository

https://github.com/Steemhunt/web

1. Stat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n3pxvbJm-image.png)

a. Number of products

You will find important numbers under Stats which is showing how many products have been hunted until now since March 2018. These numbers are showing only the verified hunts, which means that Steemhunt moderators have been moderated much more hunts. The pass rate has been always under 90% and before changing the posting guideline it was even under 70%. Based on this percentage we can assume that Hunters have submitted more than 50K hunts until now.

b. Highest amount earned for a post

247.13$ (STU) was the highest amount for a single hunt. This number will stay at it is until Steem will increase in value or Steemhunt is changing the ranking upvoting algorithm again. In the beginning, the voting for ranking was based on the ranking itself, so that the first place got a 100% upvoting from the @steemhunt account. Unfortunately the abusing took overhand and was the base ground to develop the first version of ABV and finally evolved to the current Hunter level based voting. I am sure that even with the current Hunter level based upvoting, that Steemhunt will be able to show an even higher STU for the highest amount of post in the near future. (As Steem will pick up and recover soon :))

c. Average reward for hunt posts

3.52$ STU is actually a very interesting number. You are only able to get an upvoting from the Steemhunt account if you are above a hunter level 1. Additionally, your HUNT token stake is also counted into your level which decides the final reward. The average means that if a hunter is actively participating at Steemhunt you can aim for a reward of 3.52$ STU, which can be a good (additional) income source in some regions.

2. How To (Dig More, Earn More, How?)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i3i3gS0Q-image.png)

The next section is a short and crisp explanation what Steemhunt is about and how to engage. This is mostly concentrating on an easy explanation for users that never have been engaged with Steemhunt.

  • It is starting with the main activity for visitors that Steemhunt is a place where you can actually discover new and cool products.
  • The next point gives a short explanation on how the community works, without getting too much into heavy details. The section explains that a user can discuss a product or upvote a product if they like it.
  • The last point concentrates on the reward part, which is unique due to the Steem BC economy and let Steemhunt stood out compared to other product ranking sites.

3. Currencie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4kkOFNUU-image.png)

It is important to enable a new visitor to have a soft landing on your service.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funneling of information started with the overall service and ends with a short explanation of how and with what you are rewarded. External links explaining what Steem as currency and HUNT token as currency gives a new user the ability to dig deeper if needed.

The difference for hunters at the moment is, that the reward for hunters post or comment is rewarded in Steem and additionally in HUNT tokens. HUNT tokens can also be gained with different airdrop activities, which has a wider reward spectrum on community activities.

4. Conclusion

Based on the new design it is, compared to the version before, much more streamlined for users outside of Steem. It is a general homework for all Steem based Dapps to reach users outside of Steem economy to increase the user base. (Not only for the Dapp but also for the whole Steem economy) Starting with the main page to enable a soft landing of new users, not knowing about Steem, is a good idea. Combined with social media activities I think we have a great base to attract users.

Plug & Paid - A SAAS shopping cart for social media sellers

Plug & Paid

A SAAS shopping cart for social media sellers


Screenshots

intro.mp4

Hunter’s comment

Plug and Paid is NOT an e-commerce solution but a SAAS shopping cart only solution for digital and physical goods or subscriptions. Ideally for sellers who don’t maintain their website but selling as an example directly from their Instagram account or Facebook account.

The solution handles different payment gateways like Stripe, Paypal, Alipay, and Giropay. Also, bitpay is supported which enables the solution to accept Bitcoin.

Different to full e-commerce SAAS they have only a fix monthly fee of currently about 15USD (and you will have to pay for the Payment Gateway) but that is compared to other full e-commerce solutions still a reasonable price.


https://www.plugnpaid.com/



![Steemhunt.com](https://i.imgur.com/jB2axnW.png)
This is posted on Steemhunt - A place where you can dig products and earn STEEM. [View on Steemhunt.com](https://steemhunt.com/@jayplayco/plug-and-paid-a-saas-shopping-cart-for-social-media-sellers)

[Stars Align] 스팀 에코시스템의 파운데이션 시작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ahWZcRDhFUGc992sJbErLc2LsMNXjSzARwaXouFMcLvP/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급변하는 스팀 생태계 관련하여 소식들이 있어서 오늘은 포스팅이 좀 많은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어제 네드의 주관하에 그동안 묵혀왔던 파운데이션을 다시 꺼내서 커뮤니티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aggroed (현재 1위 증인)을 중심으로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aggroed가 이제 파운데이션의 공식 출범을 위해 움직임을 보이며 새로운 태그 생성및 이름 생성을 바탕으로 커뮤니티의 도움을 요청하고 있어 이렇게 소식을 전합니다.

원본글 : https://steemit.com/starsalign/@aggroed/stars-align-seeking-partners-on-a-foundation-design-for-the-steem-ecosystem

간단한 요약본을 만드려다가 거의 번역본이 되었네요. 그래도 중요내용만 빼왔습니다.

==============================================

커뮤니티 파운데이션 디자인 투표가 곧 공개될 예정입니다. (개인적 해석: 여기서 (s)election 이라는 단어를 썼는데, 이는 부분 투표이자 사실상 임명에 가까운 것이라 그런듯 합니다.) Steemit Inc. 가 초기 펀딩의 대부분을 제공하는 관계로 상당한 투표권을 행사 할 수 있어 투표이자 부분 임명일 것으로 보입니다. @ned가 각종 그룹에 1천만 스팀 (10 Million)이 있으면 어떤 식으로 쓸지를 문의했다고 합니다. (개인적 해석: 즉, 1천만 스팀정도가 커뮤니티를 위해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뒷배경

우선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Stars Align” (별들의 정렬) 이라 부르기로 했습니다.

  • 이전 사건들로 인해 공론화가 되어 민주적이고 투명한 Steem Alliance가 형성되어 Steemit 과 함께 일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었음.
  • Steemit과 함께 일하는 것은 스팀을 메인스트림으로 올릴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봄
  • 이는 각 별(Star)들이 정렬한 느낌이라 Stars Align 입니다.

스팀 얼라이언스 진행사항

  • 앞으로 몇주간 이 임시 그룹은 Working Group을 위한 투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커뮤니티에게 파운데이션 디자인에 대한 컨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 임시 그룹은 들어오는 아이디어에 대한 퍼널링(funneling)을 통해 가장 적합하고 강력한 제안을 보팅에 참여시킬 예정입니다. (보팅은 스파를 가진 모든 이를 대상으로)
  • 커뮤니티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Steemit Inc.에게 정보를 알려주고 이를 바탕으로 fund를 어떻게 쓸지와 foundation 디자인에 대한 제안을 할 예정.
  • 이후 워킹 그룹은 해체를 하고 파운데이션이 넘겨 받아 일을 합니다. 실질적인 스팀의 메인스트림화를 진행합니다.

Stars Align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디자인은?

  • Steemit, 증인, 고래, 커뮤니티 멤버, 팔로워 많은 계정, 댑, 일반 유저의 그룹들을 고려함.
  • 프로세스와 역활 분담을 통해 앞으로 많은 일을 해야겠지만, 이를 통해 Stars Align 프로젝트는 스팀 생태계가 메인스트림이 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주고자 함.

찾고 있는 사람은?

  • 비즈니스, 마케팅, 커뮤니티, 고래, 개발자, 비개발자 등 커뮤니티를 위해 열정적으로 도와주며 일할 수 있는 사람.
  • 코어팀은 메인증인 중 일부이며 팔로워가 많은거나 스파가 많거나 스팀 BC에 영향력있는 분들과 @aggroed와 같이 일하고자 하는 분들을 찾습니다.

프로세스

이 프로젝트를 돕고자 하시는 분들은 원본글에 커멘트를 남겨주시면 됩니다. 총 9분이 추가적으로 선출되어 파운데이션의 디자인을 완성할 예정입니다. 최종적인 디자인은 9명 이상으로 운영되어야 겠지만, 파운데이션 디자인을 위해서는 소규모 팀으로 하는 것이 능률적이기 때문에 그렇게 진행하기로 합니다.

기대치

사실 이것은 그냥 일임. 보상이 없는 일임.(개인적인 해석: 실제로 이렇게 적었습니다. ㅎㅎ) 1천만 스팀의 스팀 파운데이션을 만드는게 일조를 할 수 있습니다. 몇주간 매일 같이 일을 할 예정이며 서류, 프로세스, 예산,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여러 위원회으 범위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기회

스팀코인이 메인스트림이 되고, 커뮤니티 멤버와 댑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그런 곳이 될 수 있게 만들 수 있는 일생 일대의 기회입니다. Stars Align을 도울 수 있으시다면 Discord에서 aggroed를 찾아주세요. (개인적인 해석: 저한테 알려주셔도 전달 가능합니다. ^^)

개인적인 생각

우선 이전에 없던 내용인 스팀잇 재단에서 1천만 스파를 내놓을 생각이 있는가 봅니다. 이를 바탕으로 foundation을 만들어 커뮤니티가 자체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aggroed같은 분들을 중심으로 실질적 탈중앙화가 이루어질 수 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발에 대한 탈중앙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성공적이라는 전제하) 속도나 현실에 대한 adaptation도 훨씬 빠를 것으로 보며 스팀을 hodling하시는 모든 분들에게도 큰 호재가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