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dstors 관련 임대하신 KR분들 임대 빼시길 바랍니다. dstors 문 닫았습니다.

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KR에서 아직 dstors에 임대를 하고 계시는 분들이 계셔서 일일이 임대자 클릭해서 KR분들만 따로 호출합니다. dstors가 금일부로 문 닫는것으로 공지를 해서 이에 따른 임대혜택등이 없어질 예정임으로 지급 임대를 빼시길 권장드립니다.
따로 연락이 닿는 분들은 개인적으로도 연락 드리겠습니다.

https://steemit.com/dstors/@dstors/dstors-is-moving-away-from-steem

KR 임대자분들

@yoon
@yann03
@travisung
@ssm1810
@songa0906
@snackplus
@project7
@pediatrics
@olorin
@nexgen
@lekang
@legend36
@kiwifi
@happy33
@greenlatte
@goodhello
@f35720
@dakfn
@coolzero
@chocolate1st

[스헌] 헌트 토큰 거래소 IEO를 위한 가격 설문조사

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몇시간 전에 스헌 파운더중 한분인 @project7님께서 헌트 토큰 IEO 준비를 위해 스티미언분들의 가격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KR과 international 스팀 커뮤니티에 동시에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2월달 IEO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IEO란? Initial Exchange Offering으로 ICO가 아닌 거래소를 통한 코인이나 토큰 런칭을 의미합니다.

총 5가지 질문인데, 혹 영문이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문 내용 번역해드립니다. (직접 했는데 정말 1분채 안걸립니다. ㅎㅎ)

  • 첫번째 질문 : What is your Steem username?
    스팀 계정명 입력 부탁드립니다. (추후 설문에 응해주신 분들 헌트 토큰 100개를 지급 예정입니다. 스팀 계정 입력하시면 됩니다.)

  • 두번째 질문 : Are you interested in buying HUNT tokens on our token sale event?
    토큰 세일을 할 경우 HUNT토큰 구매 의사가 있으십니까? (Yes, No로 간단하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 세번째 질문 : If you’re interested, how much would you pay for a HUNT token?

  • 만약 구매의사가 있으시면 IEO시 얼마에 HUNT 토큰 구매를 하시겠습니까?* (0.01USD~0.10USD까지 고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스헌의 Boost Hunt 기능을 통해 어느정도의 가격이 형성되었습니다만 약 1HUNT에 0.051STU 입니다.)

  • 네번째 질문 : How much budget would you allocate to participate in our token sale?

  • 토큰 구매를 하시면 얼마정도를 구매하실 의향이십니까?* (안산다부터 100USD~100000USD사이 고르시면 됩니다.)

  • 다섯번째 질문 : Which crypto pair would you prefer to trade HUNT token with?

  • 어떤 암호화폐랑 트레이딩하시면 좋겠습니까?* (USDT, BTC, ETH, EOS중 고르시면 되고, 중복 선택도 되더군요.)

그동안 KR에서 스파 임대를 통한 헌트토큰이나 업보팅을 통한 헌트 토큰등을 모으신 분들이 많이 계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설문 조사 참여를 통해서 이제 드디어 실질적으로 거래가 가능한 헌트 토큰의 첫 단계를 위해 도움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참고로 헌트 토큰은 SMT가 연기되어 정확한 시작 시점및 기능이 확실치 않은 관계로 우선은 ERC-20 토큰으로 발매해서 시작을 할 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추후 SMT가 inflation기능까지 탑재해서 나오게 되면 swapping을 통한 전환 에정입니다.)

스헌 가즈아~~!

[스몬] 피크몬스터 입찰가 마켓(비딩) 전체 레벨 오픈

피크몬 입찰가 마켓 정식 오픈 https://peakmonsters.kr

UI상 몇가지 변화와 입찰가(비딩)마켓 backend 수정 (사진은 우선 피크몬.com 스크린샷을 그대로 인용했습니다. 아직 번역 버젼이 적용이 안되어서요. ^^)


image.png

레벨 1 부터 입찰가 마켓 이용 가능

피크몬에서 5USD 이상을 쓸 경우 부여되는 레벨 1부터 피크몬 입찰가(비딩) 마켓이 이제부터는 이용가능합니다. (5USD의 카드를 구매하시거나 피크몬을 통해서 팩을 구매하시거나. ^^)

입찰가 마켓 관련 요약.

  • 입찰가 마켓을 이용하는데 추가비용이 들어가지는 않습니다.
  • 혹 입찰가보다 저렴하게 사졌을 경우 이익금은 90/10% 로 나뉩니다.
  • 입찰은 새롭게 시장에 리스팅되는 카드에 대해서만 작용합니다.
  • 기존 시장에 나와있는 카드의 경우는 그냥 쇼핑(새로운 벌크 쇼핑 포함)을 이용해서 구매 부탁드립니다.

blackline.png

마켓과 입찰가 조정

몇가지 사항들을 시스템에 적용해두었습니다.

  • max 150개의 최근 입찰가들을 볼 수 있습니다.
  • 카드들을 일일이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가격 수정등)
    image.png

가장 높은 입찰가

사용자가 가장 높은 입찰가를 가지고 있을 때 입찰가에 대한 표시가 녹색으로 보여지고 1개의 수만 보여집니다.
image.png


입찰가 수정

입찰가 수정을 선택하시면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_수정시 리소스 크레디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꼭 리소스 크레디트가 충분히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_

image.png
blackline.png

마켓에 Ghost 입찰가는 없습니다.

크레딧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찰을 했을 경우 그 입찰은 Time Out (홀딩)되며 입찰가 마켓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마켓에는 진짜 크레딧이 충분히 있는 입찰가만 보여지게 됩니다
구매자 입장에서는 입찰가를 미리 입력해놓고, 추후 크레딧만 다시 보충하면 보여지는 시스템이라 편합니다.

스팀/스달의 가격 변동이 있는 관계로 USD로 책정되는 입찰가에 대한 스팀이 충분한지 꼭 염두해 두셔야 합니다.

마켓 리미트

  • 크레딧 이상의 입찰은 할 수 없습니다.
  • 입찰가 commitment 한계 이상의 입찰을 할 수 없습니다.

image.png

“입찰가 입력 한계 기능 - COMMITMENT LENIENCE”

기본적으로 새로운 유저의 경우는 입찰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피크몬 크레딧을 충전하고 쓰도록 조정이 되어 있습니다. 보유한 피크몬 크레딧 이상의 입찰가를 입력했을 경우 입찰을 못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USD로 패깅이 된 스몬 카드와 스팀및 스달로 구매를 하는 과정에서 100% 지켜지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정도 유연성을 갖고 대처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크몬 크레딧이 부족할 경우에는 입찰가를 제출하더라도 입찰 자체는 크레딧을 다시 충전하기 전까지는 홀딩이 됩니다.

이에 따라 레벨에 따른 유연성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레벨에 금액만큼 입찰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크레딧이 부족할 그래도 홀딩은 됩니다.

예시) 레벨 8로 지난 90일간 7500불을 쓰고, 현재 피크몬 크레딧은 1000스팀있음.(약300불의 가치)

  • 이 사용자는 총 7500불 가치의 입찰을 할 수 있습니다.
  • 이 사용자는 총 1000불 가치의 입찰을 했습니다.
  • 이 사용자는 순서상 총 300불(1000스팀) 가치의 입찰가가 입찰가 마켓에 보여집니다.
  • 나머지 700불 가치의 입찰은 실제 시장에서 보여지지 않습니다.

장점
미리 필요한 카드에 대한 입찰을 진행할 수 있고 (중요한 입찰부터 먼저 하는것이 맞음) 필요에 따라 입찰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피크몬 크레딧을 충전해서 활성화하면 됩니다.
blackline.png

레벨에 따른 BCX 보여주기

@aggroed 님이 기능 요구를 했다고 하네요 ^^
image.png

  • 오더 재정렬
  • 공격칸을 하나로 통일했습니다.

STEEMPEAK 증인 투표 다 하셨죠? ^^ 안하신 분은 클릭

[Steemhunt] Upcoming launch of Reviewhunt and the meaning

![](https://cdn.steemitimages.com/DQmTfeSBWgrJZMkdJcdEYHUUtf9X4ejJqVFSiYVQCBURTJh/image.png)

Hi @jayplayco here,

With the latest post from @steemhunt we could see that the team is preparing the launch of the next big pillar of the Steemhunt economy.

I would like to review the announcement from Steemhunt and look into the details what this new service would mean for makers and hunters.

1. Launch of Reviewhunt

We are working on building the beta version of Reviewhunt, and its target launching date is February 2019. Reviewhunt will have these major features:

  • Product makers/companies will run a review campaign targeting hunters with HUNT bounty tokens. They are required to purchase the HUNT token either via our payment solution or exchange market.

Bigger makers and brands normally have a relation with agencies or a running a team which takes care of bigger influencers. Based on it sponsoring or invites for events are planned and executed. The way how and what differs from industry to industry, but in the end, it shows a very similar pattern. Influencers have a much more important role than before as they are now necessary to create enough noise for a brand, maker or product when launched.

Reviewhunt is going to be a place where makers and brands for gadget, software and Steemhunt compatible products can find easily influencers and decide based on different kind of factors how much they will reward the hunters. The concept is similar to upwork.com or freelancers.com from the part that makers are going to input a project for a product to be reviewed and hunters can then offer their reviews.

  • In each review campaign, hunters can share their review content of the product from all kinds of platforms such as Youtube, Blogs, or Social channels (based on the company’s request). The company will distribute the bounty tokens based on the quality of the review content.

If you go into detail you can see that Reviewhunt itself does not need to be the place where the review will be done. For hunters who have been participated in the Social Share bounty from Steemhunt the hunt itself is to catch as much as attention not only at Steemhunt or Reviewhunt but actually outside at normal social media channels like Youtube, Facebook or blogs. It could be possible that Reviewhunt will ask for a referral link back to the bounty to check the incoming traffic so that the maker will be able to track each result. Reviewhunt will have to make a good overview about each review on their platform, so that at the end interested users can find all needed reviews in detail at one place.

  • We will provide a fiat-based payment solution for the companies so that they can easily purchase the token to run campaigns.

This is going to be a very important part not only for brands but also for the token economy. Normally makers and brands do not have the possibilities to buy easily cryptocurrenci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it possible for companies to use the service with FIAT options. It would be something like buying credit points for a service from the sight of the company financing department. For hunters and Hunt token holders, this is an important point, as it is going to be the second step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oost function to manifest the value of Hunt tokens.

  • Reviewhunt will have a commerce feature (in the regular version) in which hunters can buy the products with a discounted price with HUNT tokens (this may require review activities).

Not in the first beta version but for their official launch Reviewhunt is looking to include a deal like e-commerce function for makers who are looking for a review project. This is going to be an important step towards Ideahunt, where Kickstarter like products are going to be introduced, but for Reviewhunt it could be products that have already launched and where Reviewhunt could be used as an accelerator to push use the marketing efforts and transfer it directly into sales. As an example, appsumo.com is a B2B software deal page where you can get software deals for up to 80%. Appsumo is putting a lot of effort to explain the software on their platform as good as possible and also pushing a lot of email marketing to make it attractive for makers to sell their software with higher sales % on their platform. Reviewhunt would be an optimal place to create the needed professional reviews, noise and marketing funnels and additionally not only spend money on a review bounty project but also earn directly money from future customers on the Reviewhunt platform. It is similar to the fact that I have bought already some hardware products based on Steemhunt hunts and this is going to continue even more after Reviewhunt starts.

The Reviewhunt platform will reveal how hunter’s geeky assets can attract companies/makers, including those who have never even experienced the crypto market before. This will create a revenue stream on top of Steem blockchain.

In about two months we will see how Reviewhunt will look like and what changes it will bring to the Steemhunt economy, but for sure we have a lot of exiting milestones planned for 2019.

A happy new hunting year for 2019~!

[Steemmonsters] First jayplayco cup - Team tournament

![](https://cdn.steemitimages.com/DQmRqgngGJYGk2Q58MyJXv46oHRctVxRxEuHAESujoZFn3a/image.png)
Hi, @jayplayco here.

After Steemmonsters started the CHALLENGE function there had been a lot of tournaments held from different accounts and it has increased the fun you can have with Steemmonsters.

KR had held already 4 seasons of own KR leaderboards within the Steemmonsters leaderboard and this time I would start a new type of tournament - TEAM TOURNAMENT.

Base Data

1. Winning Amount: 10SBD for the winning team. 2. Date: 2019.01.02 (Wednesday) 12:15 KST 3. Level Limit: Gold 4. Team size: 4 Persons one team, looking for 2 teams.

Rules

1. Gather a team of 4 persons and decide the role of 1.leader, 2. tank, 3. wizard and 4. last hope. 2. Please share the accounts with a number as a comment on this post, as that will be the priority. ex. ) 1. glory7 2. smonster 3. fenrir78 4. marabara 3. The 2 teams will be inputted into the following google sheet.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GKXzHMeP6ABmlKkNmi4QzoqdQPXPXhMob6fdiVPJXv8/edit?usp=sharing 4. Game play * Team A Leader will play against Team B leader. (Team A leader opens the game) - 1 victory. * The winner opens the next game and will play with the Tank of the other team, and so on. * Winner plays as long as losing the first match. * Last team standing wins the tournament. * The mentioned google sheet is editable. Winner of each match should black out the looser and call the next player for a match. (With this way it should be even possible to run the tournament without jayplayco involving) * Communication: https://open.kakao.com/o/g1MCypW / password: smon * jayplayco will send 4SBD to the leader of the team and 2SBD to each member of the team. * If a challenge is going unanswered 2x times the remaining party is winning the match.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기본적으로 토너먼트는 internationally 열어줘야 제맛인 관계로, 영문부터 먼저 표기를 했습니다. 팀 토머먼트 방식의 토너먼트 개최를 하고자 합니다. ^^ 나중에 활성화 되면 KR팀과 해외팀이 서로 대결하는 멋진 그림이 펼처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ㅎㅎ..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우선은 KR끼리 붙을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본 Data

1. 상금 : 우승팀 10SBD 2. 일시 : 2019.01.02 (수요일) 12:15 KST (한국시간 점심시간대) 3. 레벨 리미트 : Gold 4. 팀사이즈: 4 명 1팀, 총 2팀 모집

토너먼트 룰

1. 4명으로 팀을 이루어서 각 롤을 정해주세요. 1.leader, 2. tank, 3. wizard 그리고 4. last hope. 2. 각 계정에 번호를 부여해서 댓글로 남겨주세요. 이번에는 우선 2팀만 모집하겠습니다. ^^ ex. ) 1. glory7 2. smonster 3. fenrir78 4. marabara 3. 2팀은 다음 구글 시트에 입력이 될 예정입니다. 마감은 댓글 순.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GKXzHMeP6ABmlKkNmi4QzoqdQPXPXhMob6fdiVPJXv8/edit?usp=sharing 4. 게임방식 * 팀A 리더는 팀B 리더를 상대로 게임을 합니다. (팀A 리더가 게임을 오픈합니다.) - 단판승부 * 승자는 다음 게임을 오픈하면서 다음 팀의 2. 탱크에게 대전을 신청합니다. (이렇게 계속 합니다.) * 승자는 처음 질때까지 계속 게임을 합니다. * 마지막까지 플레이어가 남는 팀이 승리를 합니다. * 상기 표기된 구글 시트는 각각 수정이 가능하십니다. 승자는 상대팀의 패자를 검은색으로 칠해주시고 다음 상대를 챌린지 하시기 부탁드립니다. (이렇게 하면 실제 제가 자리에 없더라도 토너먼트가 진행이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 대화 : https://open.kakao.com/o/g1MCypW / password: smon (우리의 카톡방입니다. ^^) * @jayplayco가 승리팀 리더에게 4SBD, 그리고 승리팀 각 팀 멤버에게 2SBD를 보내드립니다. * 챌린지가 응답이 2회 없을시 남은 측이 승리한것으로 처리합니다.

많은 참여및 응원 부탁드립니다. ㅎㅎ

Result / 결과

![](https://cdn.steemitimages.com/DQmZMGabudjPocJNJ5QCxLNHkty64oUKqoADBhR3Q4yE9my/image.png)

The team gathered as above and the round started fast with bji1203 against tailcock. It seems that bji1203 was in a bloodrush, as the player won 4 matches in a raw and helped Team A for a win.

bji1203님이 순삭 올킬로 팀A를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ㅠㅠ..

사이드스토리
팀전이 너무 빨리 끝나 순서를 바꿔 뒤에서 부터 다시 한번 재미로 붙기로 했습니다. 트아님의 2연승에 이어 원사마님이 트아님의 연승을 막더니만…. 팀 A를 혼자서 올킬 하심 ㅋㅋㅋㅋ…

팀전의 매력.. 팀을 응원하는 재미와 관전의 재미가 솔솔합니다. 내가 직접 게임을 하지 않아도 우리 팀의 응원과 관전이 포인트입니다. ^^ 진행 속도도 비교적 빨라서 15분정도면 돌더군요 ^^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토너먼트때 뵙겠습니다.~!

[팀워크] dstors 임대를 취소하면서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올해의 마지막 날이네요. 한해가 지나기 전에 정리할 것은 하고 가야 할 것으로 보여서 이렇게 글을 작성을 합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QHuCiTe2aT6rriuykvk6zCmym3RaCoUt6otyyWyQ7QT5/image.png)
[source: rawpixel](https://unsplash.com/photos/mcLpPD36-2k)

12월에 ecommerce를 바탕으로 스팀을 활용한 @dstors가 백서를 공개하면서 많은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완성도나 비즈니스의 실질적 활용도, 토큰의 가치 상승등에 대한 물음표가 분명히 남아있을 수 있었지만, 진행하겠다는 의지와 펀딩의 준비 그리고 시도 자체가 참신해서 충분히 해볼만 하겠다는 생각이 들어 첫 글을 게시하면서 프로젝트를 지지해야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후 빠른 속도로 목표 임대는 예상대로 채워져갔고 오랜만에 FOMO의 기운까지 돌면서 진행이 되었습니다.

백서 한장과, 의지만 가지고 진행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지만, 임대의 경우는 실제로 기회비용의 손실은 있어도 투자원금 스파에 대한 손실은 우려가 되지 않는 스팀만의 특수한 상황이라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것을 계속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기업의 생사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들이 발생했습니다. Crisis management 상황에서 본다면 차라리 끝가지 침묵하고 결과로 보여주는 것이 이득이였을 터, 공격적 커뮤니케이션이 여러계정에서 시작되면서 분위기는 뒤집히기 시작했고 결국 결론적으로는 팀은 갈라서게 되었습니다.

상황정리 글

현재로는 @dstors와 @dcommerce팀은 서로 갈라지면서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습니다. 추후 서로 법적인 공방이 있을지 이대로 마무리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 @dcommerce : 이 팀에 현재 펀딩을 주최하는 측, 시스템에 대한 백서 작성및 메인 개발자인 @morning님이 계십니다. 제품의 경우는 이팀이 가장 빠르게 나올것으로 보입니다. 참고해야 할 것은 커뮤니티를 상대로 상당히 공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했던 것도 이 팀입니다.

  • @dstors : ecommerce와 스팀 기반의 시스템 구축에 대한 최초의 아이디어를 가진 팀과, 현재 개발자 수배및 정확한 방향성에 대한 정의를 내려야 함. 우선 스팀 기반과 오픈소스를 목표로 하고 있음. 즉, 임대에 대한 STORS 토큰 배분을 이루어질 예정이나, 이전에 백서 하나를 바탕으로 임대를 결정하셨다면, 지금 현 시점은 “무지” 상태에서 임대가 이루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

이전 글에서는 개인적인 생각을 배제했으나, 이번에는 임대 취소를 하면서 제 생각을 알려드려야 할 것으로 보여 정리드립니다.

최초 프로젝트를 지지하게 된 배경은 백서하나만 있는 상태에서도 팀, 아디이어, 추진력, (자체)펀딩까지 4박자가를 갖춘 상태여서 프로젝트의 생명력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이 서서였습니다. 필요시 현실에서 문제에 봉착하더라도 pivoting을 통해 헤쳐나갈 수 있는 힘이 있을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였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지지하는 프로젝트들의 특징이 그렇습니다.

차라리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빠르게 결정이 나는 것이 좋을 거라는 생각도 들기는 하더군요. 현 시점에서는 제가 지지하고자 했던 프로젝트 팀과 정신은 해체되어 존재하지 않는 이유로 dstors에 대한 임대를 오늘 아침에 취소를 했습니다.

@dstors 과 @dcommerce팀에게는 각각 원하시는 성과를 꼭 이루시길 바라며 2019년은 스팀 커뮤니티가 힘들어하는 것 보다는 웃는 날이 더 많은 한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추신. dstors 관련 제가 운영하던 톡방은 운영을 중단하고 닫았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Steemhunt] How to startup

Hi, @jayplayco here.

It has been a few days when I saw an article from one of the founders of @steemhunt.

The article is reviewing the main concept of PoB and getting in details about different business models and timing of profit for a startup. And yes, I agree that there are different kind of business models and there could be even models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There are different kind of ways and timings to create profit and there is actually no right way how to startup.[1]

1. Type of profits based on the 10 biggest companies (market cap)

Company Market Cap Profit Type Headquarter Founded
Apple 1000 Product sales USA 1976
Amazon 860 Marketplace USA 1994
Microsoft 833 Product sales USA 1975
Alphabet 765 Service USA 1998 (Google)
Berkshire Hathaway 517 Finance USA 1839
Tencent 496 Service China 1998
Facebook 444 Service USA 2004
Alibaba 370 Marketplace China 1999
JPMorgan 362 Finance USA 2000
Bank of America 282 Finance USA 1998
Source [4] (Data is from October 2018, which differs in the total market cap of December 2018)

As we can see Alphabet (Google) and Facebook are companies that are represented in the top ten with a service orientated business concept. This means that they are utilizing their userbase to make it attractive for businesses and getting their profit from b2b and not b2c. Tencent is well known for his dominant messenger QQ in China and got their first profit from charging their user for their messaging service. More importantly is the messaging app Wechat, which is similar to Whatsapp the main communication tool in China and includes PG (payment gateways) services, etc.

It is, of course, difficult for such top ten companies to funnel their incoming profit to a single source, as many of them have already diversified their portfolio, but it is good to get an idea.

2. The journey of Steemhunt

Steemhunt started with the mission to take the core part from [Producthunt](https://www.producthunt.com/) and create a better version out of it. Producthunt launched end of 2015 with a Y-combinator background and got directly funded before they officially launched the product a year before in 2014 with 7.5 million USD.[[5](https://www.crunchbase.com/organization/product-hunt#section-funding-rounds)] Angelist acquired Producthunt for 20 million USD end of 2016. Their first profit was generated at the end of 2017 with a SAAS product called "SHIP", which is a suite of tools creating demands for the products from brands and makers. [[2](https://blog.producthunt.com/how-we-made-our-first-dollar-at-product-hunt-40493fe09a7a)] Long story short, it took Producthunt more than 2 years with 7.5 million USD in cash in their pocket, before hitting the first meaningful milestone for profit.

a. Bootstrapping the first product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ADmXYOzK-image.png) [Source](https://token.steemhunt.com/)

One of the great part Steemhunt is always doing is, that they move fast and deliver first. In March 2018 they announced the launch of Steemhunt. After the initial start, the team needed again to pivot their marketing plans, as the initial attention of the community was not as big as hoped. That was the first time that a company started a 50% airdrop and utilize the airdrop directly to build up a community.

There are concerns that the huge amount of airdrop is diluting the value of HUNT tokens, but if you go further into detail, the whole airdrop is not designed just to increase the holders of the tokens but to change the bigger part of token holders into active Steemhunt users. In the end, the Steemhunt team is creating their own marketing budget to create the most valuable part of Steemhunt, the community.

b. The community as strategy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qD1ZlA9b-image.png) [Source: Jens Johnsson](https://unsplash.com/photos/oatYheJMm9E) As a bootstrapping company, it is important to keep the cost as low as possible to increase the chance to hit BP (Break-even point). But at a certain point, you need support to keep your service running. Steemhunt decided from the early beginning to run Steemhunt as a community-based service. This means that the daily service is running with volunteers from the community. This includes influencers, moderators or community manager who are doing tasks on a daily basis and getting rewarded. With this concept, the Steemhunt team can concentrate on developing the platform and system but always gets the VOC (Voice of the customer) directly from the community.

c. Pivoting speed as strength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K8qcoZ5z-image.png) [Source: Amy Humphries](https://unsplash.com/photos/Qb_eemSJg0k)

Since the beginning, the Steemhunt team proved again and again with their product that they are able to adapt to reality. With POB (Proof of Brain) as the base layer, a ranking board was not working, so new algorithm like ABV 1.0, 2.0, user score, etc. had been added in the last six month. We are in the moment at a dynamic user store combined with staked Hunt tokens and an ABV based user score. This score requires the hunter to stake his Hunt tokens and be an active member of the community to be able to get a higher reward. Many factors of direct impact have been eliminated and most factors are now indirectly influencing the score so that Steemhunt community members have a reason to stay constantly active within the community.

3. The next steps

We are in a bearish market and we have seen now Steem prices at a very low level. But good services do find their way out of difficult situations and I think that the team and the community behind Steemhunt are already showing that they are able to adapt and that they will make a working token economy with planned platforms like Reviewhunt and Ideahunt.

The hunt is on!

[1] http://ryanhoover.me/post/79296806668/theres-no-right-way-to-start-up
[2] https://blog.producthunt.com/how-we-made-our-first-dollar-at-product-hunt-40493fe09a7a
[3] https://www.crunchbase.com/organization/product-hunt#section-acquisition-details
[4] https://www.investopedia.com/articles/active-trading/111115/why-all-worlds-top-10-companies-are-american.asp
[5] https://www.crunchbase.com/organization/product-hunt#section-funding-rounds

[상황정리] dstors과 dcommerce에대한 현황 정리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고요하고 평화로워야할 크리스마스 시즌에 스팀 생태계내에서 한참 이슈가되고 있던 dstors 주변이 시끄러웠습니다.

현황 정리드리겠습니다.

  1. dStors 관련 의문사항, 일부 비지니스에대한 우려에 대한 글들이 사용자들에 의해 올라옴.
  2. 이 글들에 dStors와 당시 연관되어 있던 분들의 account에서 강한 항의및 일부 다운보팅을 시행함.
  3. 해외에도 마찬가지로 의문사항이나 우려에대한 글들에 대해 비슷하게 시행함.
  4. 같은 분들이 dstors 메인 계정에 대한 컨트롤도 있던 관계로 dstors공식 계정을 통해서도 비슷한 강도로 대응함. 이는 커뮤니티상에서 공식계정에서 저정도 입장을 보이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나옴.
  5. dstors의 kaliju (대표)는 이 상황을 알아차리고 이에 대한 조치를 위해 해당 팀분들과 상의
  6. 상의 결과 kaliju와 일부 팀은 집중해야할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로 갈라서기로 함.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큰 화근을 불러왔네요.

결과

dcommerce
* dcommerce라는 팀을 새로 파생. 이 팀에는 현재 백서를 작성한 측과 이전 메인 개발자가 조인을 한 상태입니다. * dcommerce는 백서에 의한 토큰 & 비지니스모델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 dcommerce는 DCC token 이라는 이름으로 백서의 내용과 같이 진행 예정입니다.
dstors
* dstors에 대한 오리지날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던 kaliju와 derangedvisions가 있습니다. * 이익 최우선주의에서 커뮤니티를 포함 할 수 있는 open source로 방향으로 전환했습니다. * SMT 도입을 최우선으로 하며, 토큰 이코노미는 다시 그려지기로 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이 글에서는 가능한 개인적인 생각을 배제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있던 상황을 그대로 재현하고 현재까지 다다른 현상을 보여드리고자 했습니다.

[스몬] 피크몬 비딩 마켓 시작 - early access

![](https://cdn.steemitimages.com/DQmdtMDPvVuuVpHinZ3tjx4nFoh3qS63HeunBvYfs6j8KuJ/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휴일들은 다 잘 보내셨는지요?

피크몬이 드디어 비딩 마켓 기능을 일부 레벨 이상 사용자에게 오픈하기로 했습니다. TIER 5 이상의 레벨부터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혹 UI상 피드백이나 기타 피드백이 있을시 댓글로 남겨두시면 개발팀에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몇일 테스트후 비딩마켓에 대한 기능은 모두에게 오픈될 예정이오니 아직 오픈 안되시는 분들은 조금만 기다려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주요 기능 업데이트

  • 비딩 마켓 (BID market)첫 버젼이이 TIER 5 이상에게 오픈 - 상세 기능및 사용법은 추후 공지 예정입니다.
  • 프로파일 페이지에 비딩을 볼 수 있도록 수정.
  • 벌크구매 (BXC 계산기) 버튼 추가
  • “리워드 클레임”이 익스플로러에 표시됩니다.
  • “쿨다운” 표시가 표기안되던 버그 수정.
  • 기타 버그와 일부 작은 기능향상등

언제나와 같이 많은 애용 부탁드립니다. ^^

[스몬] KR4차리그 결과 공유

![](https://cdn.steemitimages.com/DQmQoxuMkUCBEfGRzMULeMxnHqM9jDd66Gwk1MkzsabD3VF/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상위와 같이 KR4차리그 결과 공유드립니다.

1위 @gfriend96
2위 @bji1203
3위 @smonster
4위 @hjh0827
5위 @epitt925
6위 @tail2
7위 @qbook
8위 @goodhello
9위 @knight4sky
10위 @glory7
11위 @ramires
12위 @marabara
13위 @twolovemom
14위 @fenrir78
15위 @iieeiieeii
16위 @smongo
17위 @happy33
18위 @wonsama
19위 @feelsogood
20위 @tr777
21위 @yann03
22위 @silvermaster
23위 @baltimore-ravens
24위 @kungdel
25위 @newbijohn
26위 @ayogom

a.전체상

1위 : 참가 SBD 50% + Shin-Lo x1 - @gfriend96 송부완 2위 : 참가 SBD 30% + Royal Dragon Archer x 1 @bji1203 송부완 3위 : 참가 SBD 20% + Royal Dragon Archer x 1 @smonster 송부완 4위 : 15 STEEM + Royal Dragon Archer x 1 + 20스팀 @hjh0827 송부완 5위 : 10 STEEM + Royal Dragon Archer x 1 - @epitt925 송부완 6위 : 9 STEEM + Dark Enchantress (GOLD) x 1 - @tail2 송부완 7위 : 8 STEEM + Screaming Banshee (GOLD) x 1 @qbook 송부완 8위 : 7 STEEM + Cerberus (GOLD) x 1 + 20스팀 @goodhello 송부완 9위 : 6 STEEM + Cerberus (GOLD) x 1 - @knight4sky 송부완 10위 : 5 STEEM + Divine Healer(GOLD) x 1 @glory7 송부완 11위 : 5 STEEM + Sabre Shark(GOLD) x 1 @ramires 송부완 12위 : 5 STEEM + Animiated Corps(GOLD) x 1 + 20스팀 @marabara 송부완 13위 : 5 STEEM + Silvershield Knight (GOLD) x 1 - @twolovemom 송부완 14위 : 5 STEEM + Silvershield Knight(GOLD) x 1 - @fenrir78 송부완 15위 : Giant Roc(GOLD) x 1 @iieeiieeii 송부완 16위 : Silvershield Warrior (GOLD) x 1 + 20스팀 - @smongo 송부완 17위 @happy33 송부완 18위 @wonsama 송부완 19위 @feelsogood 송부완 20위 : 20스팀@tr777 송부완 21위: @yann03 행운상 추가 22위 : @silvermaster 송부완 23위 : @baltimore-ravens 송부완 24위 : @kungdel - 송부완 25위 : @newbijohn - 행운상 추가 26위 : @ayogom 송부완

Dragon Whelp 잔여분 4장은 ramires님 아이디로 송부완료했습니다.

b. 참가상

1위 - 20위 : 이제는 귀해진 바로 그 베타 부스터팩 각 1개씩. ^^ 1위 - 26위 : 각 Dragon Whelp 1개씩 (잔여분은 다시 압둘라님께 전달하겠습니다.)

행운상

jayplayco가 경기 끝나고 주사위를 0-9로 돌려서 뒷자리수와 같은 승리수를 가진 분들에게 공평하게 배분. ![](https://cdn.steemitimages.com/DQmNeFAsoX1FEBP7dT5N6r7PTGYSHf43e1bkUoMmRZgaXmz/image.png)

행운의 수는 0 입니다. ^^

@yann03님과 @newbijohn님이 최종 승리 횟수가 끝자리가 0이네요 ㅎㅎ..각각 38.5 STEEM 전송됩니다.

지금부터 전체 배분 시작하겠습니다. ^^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