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steemitimages.com/DQmUsrimv6wg4hrpEtNfYHCtCBBmwtMZrNmmZruCpU6mxgT/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암호화폐와 게임은 사실상 궁합이 정말 잘 맞습니다. NFT의 시작으로 실제 그동안 우회적인 방법으로 거래가 되던 계정, 아이템들이 안정적으로 거래될 수 있는 조건이 성립이 되고, 매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제로 이 거래가능성이 게임의 생명력을 매우 높여줄 수 있을것이라는 전망도 할 수 있습니다.
1. 크립토 게임의 종류
사실 크립토게임 영역의 제한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가장 직관적이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도박게임 종류이며, 실제로 EOS나 트론에서 주를 이루는 것은 사실상 도박게임입니다. 그 외에는 NFT를 기반으로 하는 크립토 키티가 이더에서 초기에 핫했다가, 사실상 고양이 만들기 빼고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어서 그 인기가 사그라들기도 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V2gtKtEfbhR67UaKtP44XHaV4sRamTbuNTBrk1AC66yJ/image.png)
EOS Knights와 같은 초간단 RPG및 아이템 판매가 가능한 모바일 시스템도 EOS를 가진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기에 충분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XjKYQnrYC5nwWa1rJEq1rRKWYzu3uuhLLcCJjdDZk9pP/image.png)
스팀에는 여러 종류의 게임들이 있습니다. 그중 접속자수나 매출 순에서 보더라도 1위는 스플린터랜드이며, 그외에도 넥스트 콜로니, ROR도 있으며 지금은 스팀과는 인연이 조금은 멀어진 Drugwars도 있습니다. (최근에 많이 좋아졌다고 하더군요)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ZgAw24kNRG2JMVupVNAj3Jsu4Gfq4YHcWdnrL2nrZNdo/image.png
이더 쪽에서는 요새 Gods Unchained 라는 카드기반 게임이 많은 펀딩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2. 크립토 게임 종류에 대한 구분
- 도박
- NFT 기반 수집 게임
- RPG
- TCG (Table Card Game)/ CCG (Collecting Card Game)
- 액션
- 퍼즐
- 캐쥬얼
이보다 더 많은 종류가 있을 수 있겠지만 우선 현 상황에서 크립토와 비크립토 게이머들의 경계선을 넘을 수 있는 게임 종류들로 구분을 해봤습니다. 도박의 경우는 대한민국 국민일 경우에는 속인주의때문에라도 건들지 않는 것이 좋은 영역임을 당부드립니다.
3. 종류별 게임의 시나리오
0. 도박종류
가장 직관적이고, 유저 유입이 빠르고 펀딩이 가장 빨리 일어나는 종류의 게임입니다.
a. NFT 기반 수집 (온리) 게임
일반적으로 비슷한 형태의 캐릭터들이 모양, 색상, 악세사리를 살짝 바꿔주는 것으로 유니크성을 부여하며 NFT기반이라는 장점을 이용해서 수집욕구에 대한 증대및 거래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시장을 키우는 방식의 게임입니다. 장점은 운영자 입장에서는 한번 세팅해놓으면 새로운 캐릭터를 추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게임에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리소스가 많지 않다는 것과, 이후 시장 형성 자체는 유저들 끼리 만들어간다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캐릭터의 매력 하나만으로 어필을 해야 하는 관계로, 캐릭터의 어필력이 떨어질 경우 수집외에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어서 인기가 떨어지고 나면 더 이상 가치가 없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b. RPG
RPG적 요소가 강한 게임의 경우는 NFT나 비 NFT화 된 아이템을 기반으로 게임속에서 캐릭터의 강화나 게임 진행을 위해 쓰이고, 또한 이에 대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게임의 재미 요소를 줄 수 있습니다. 스팀의 넥스트 콜로니나 로드오브 리치종류가 그렇습니다.
c. TCG / CCG
스플린터랜드도 CCG게임의 일종으로 국내및 일본등에서는 선호를 별로 안하는 TCG게임의 종류는 개발의 난이도 때문에라도 일반적으로는 CCG의 성향이 짙습니다.
카드게임의 경우는 직관적으로 카드가 NFT성향을 띄면서 직접적인 거래가 가능하게 되면서 실질적으로 게임을 위해서 필요한 아이템의 직접적인 거래를 통해 게임을 부양하게 됩니다.
d. 액션
![](https://cdn.steemitimages.com/DQmWoVjhfw8zwMdCzTKR56xRTZ3tPPqkQhT6K87DRD3kf4j/image.png)[소스](https://warfield.com/)
FPS 게임과 같은 종류도 Kill에 따른 코인 지급 형태를 띄면서 하나둘씩 선보이고 있습니다. PvP 배틀시마다 코인을 걸고 Kill을 당할때 이를 회수당하는 시스템도 있고, 채굴 방식으로 지급되는 형태도 있습니다.
e. 퍼즐
![](https://cdn.steemitimages.com/DQmeBbw7zq1kBGQE4CUhrFWwdJiUatPtX4ap247ftszZixs/image.png)[비트코인을 숨겨놨던 그림](https://thenextweb.com/hardfork/2019/06/25/satoshi-treasure-bitcoin-cryptocurrency-prize-puzzle/)
아직 게임업계에서 바라보는 전통적인 퍼즐게임은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반대로 퍼즐을 이용해서 (crypto라는 것의 특징을 재해석한) 이벤트성 상금을 숨겨놓는 행사는 몇번 있었습니다. 퍼즐의 경우는 아이템 판매라는 필요성이 있지만, 사실상 캐릭터 부양등의 요소가 부재해서 액션게임과 비슷하게 퍼즐 PvP에서 서로의 암호화폐를 뺏어가는 방식이나, 암호화폐를 주고 아이템을 사게 할 수 있는 등의 설계로 가는 방식을 채택해야할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퍼즐에 RPG적 요소를 가미하면 조금더 쉽게 접근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f. 캐쥬얼 게임
캐쥬얼 게임에 일반적으로 퍼즐게임도 같이 넣어주는 경우가 있기는 한데, 흔히들 우리가 앱에서 다운로드 받아서매우 간단 단순하게 할 수 있는 게임들입니다. 퍼즐적인 요소가 있을 수도 있고 RPG적 요소들이 있을 수도 있으나, 보통은 단순한 조작과 빠른 게임 습득이 진입장벽을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어떻게 보면 EOS Knights의 경우도 상당히 캐쥬얼한 게임이였던 것이 사실이라, 따로 하나의 장르라기 보다는 쉬운 진입장벽을 가진 게임의 한 종류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4. 게임과 암호화폐 생태계 설계
기존 우리가 플레이했던 게임의 경우는 입금만 있었지 출금의 제도가 없었습니다. 즉, 아이템을 현금을 주고 살 수는 있어도, 이 아이템을 다시 팔 수 있는 방법은 우회적으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없었습니다. 실제로 게임위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탑재된 게임의 경우에는 등급을 거부하는 이유도 사행성이라고 했습니다.
이 사항을 우선 제쳐두고, 게임의 장르와 블록체인기술의 암호화폐 (NFT)를 결합하고자 한다면 주의해야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flation을 위한 sinking
- 지소적인 sinking이 가능한 일시적 sinking 아이템 (시간제 / 일회적 아이템) 의 구성
- 유한성을 통한 inflation 조절
즉, 게임내에서의 실물 경제시스템과 비슷한 한바퀴가 다 돌아가는 경제 시스템을 만들어두어야지 게임이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때 주의해야할 점은 실제로 운영자 입장에서 이익이 나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팔아야할 제품의 경우는 유한성을 두더라도 지속적으로 새롭게 만들어 내야 하며 (아이템, 골드, 캐릭터, 카드 등), 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제품들중 어떠한 것이 실제 경제 시스템에서 거래가 가능하게 될지를 구상해서 sinking을 설계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성공적인 예를 들어보면 Splinterlands입니다. 물론 Splinterlands도 초기부터 경제시스템을 다 완성했던 것은 아닙니다만, 현재는 상당히 안정화된 상태에서 돌아가는 게임 경제 시스템이 완성되었으며 계속 발전해가고 있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ZvSBXdD72pcGGN24qgrt7B8PXLNDchdRXu6MqVWMcqbZ/image.png)
복잡해보일 수 있어서 간단하게 풀어쓰면.
- 팩판매로 현금 확보
- 카드생성으로 유저마켓과 시총 형성
- 일일 퀘스트시 채굴되는 DEC 화폐 생성으로 인게임 아이템 판매
- DEC 전용 ORB팩 판매로 DEC 가격 안정
- 일일퀘스트 리워드 카드 차별 지급으로 팩 판매 안정화 (팩은 별도 카드)
- 카드 Sinking : 카드 -> DEC 소각
- DEC Sinking : 오브팩, 포션, 길드
- DEC와 카드의 유저 시장 형성
으로 생태계를 안정화 시켰습니다. 여기서 보면 기업의 매출이 있는 팩 판매로 나오는 카드의 소각도 DEC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제 시스템이 한바퀴 도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외부의 개입 필요없이 사용자풀 내에서 소화가 가능한 시스템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5. 개인적인 생각
인게임 아이템과 인게임 화폐는 꼭 경제 시스템 설계상 꼭 필요한 부분인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도 확실한 소각처가 있어야지 게임내에서의 inflation을 잡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NFT 기반으로 된 게임을 하던 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하던 경제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은 게임의 경우에는 결국은 지속되기가 어렵다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