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innews] 리브라 참여 업체들의 최근 움직임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bwhKAVxkgQK93n5CL4dJiMWQfHknkT2etcx66e2MLidE/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이번에 접한 코인데스크의 리브라 관련 언급은 현재 노드로 참여하기 위해서 시작한 대형 기업들이 탈퇴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였습니다.

언급이 되고 있는 기업들은 사실상 리브라 프로젝트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들이라는 점에서 주목해야할 것 같습니다. Payplay, 마스터, 비자의 이름들이 올라오면서 리브라 프로젝트 수장과 Calibra (리브라 지갑)의 CEO인 David Marcus씨는 이러한 루머를 잠재우기 위해 현재 탈퇴를 고려하고 있는 멤버는 없다고 트윗을 날렸습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YT8vCpNn2XNGUHRjPEZkwWDjvxQuoRWAtVzXG6Q11Ryi/image.png) [소스](https://twitter.com/davidmarcus/status/1179170845240856578?s=19)

현재 진행되고 있는 규제의 방향과 추측성 기사까지 나오는 것을 봤을때는 각 지지층의 로비활동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각 기업들별로 1천만불을 내고 노드를 운영하기로 한 관계로, 이 비용 때문에라도 나가는 것을 꺼릴 수 있겠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탈퇴시 정확한 계약 조건이 알려져있지 않은 관계로,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리브라 프로젝트에 참여시 장기적으로 각 기업들에게 얼만큼 이익이 있을 것이냐와, 실제로 그들이 바라보는 리브라의 런칭및 운영 가능성에 달렸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반 뉴스에 저정도 기사가 떴다는 것은 이미 리브라 재단과 각 기업들간 의견 조율이 뒤에서 지속적으로 되고 있다는 것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리브라가 최종적으로 빛을 보고 런칭을 할 수 있을지, 아니면 규제때문에 좌절을 할지는 두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아마도 그 전에 중국의 중앙은행 암호화폐가 먼저 발행되어서 필드테스트를 먼저해줄것으로 예상되기는 합니다.

이들의 움직임이 우리 삶에 직접적으로 영햐을 미치는 날이 머지 않은것으로 생각됩니다.

[피크몬스터] 피크몬KR 이전 준비완료 및 DB 이전 예정

![](https://cdn.steemitimages.com/DQmQ9zxfmgR7MVeEcycRB3GUaf9o6Q81QGEtzgDQ26QE5YS/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그동안 마켓에서 스플린터랜드 카드 판매나 관리등을 위해 많이 이용하시던 피크몬KR이 얼마전 도메인을 kr.peakmonsters.com으로 이전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피크몬KR의 기능들이 peakmonsters.com과 차이가 나면서 다중 도메인과 DB, 관리등에 한계가 와서 피크몬KR과 com을 통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통합과정에서 가장 큰 이점은 앞으로 피크몬.com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능들이 동시에 제공이 된다는 점입니다. (DB를 같이 쓰기 때문입니다.)

이번 통합작업은 금주내에 완료될 예정이며, DB를 옮기는 도중에는 피크몬KR은 접근이 불가능한 점 양해바랍니다. 이동과정중에 Credit과 오더 히스토리까지 옮겨질 예정입니다.

1. 변경되는 점

피크몬com과 통합을 통해 변경/추가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카드 세트 판매


세트로된 카드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b. 비딩, 유상임대기능


기존 피크몬.com에서만 가능했던 유상임대 기능이 피크몬kr에서도 가능해지며, 전체 피크몬 시장과 연동이 됩니다. 즉, 피크몬kr에 유상임대를 올릴 경우, 피크몬com에서도 임대자에게 카드가 보입니다.

2. 개인적인 생각

피크몬측에서 직접적으로 개발을 하고 있는 것은 @asgarth분이고, 스팀픽 프로젝트 개발까지 총괄을 하는 관계로 손이 두번가는 방식의 피크몬kr유지보다는 메인인 피크노.com과의 DB통합을 통해서 관리하는 것이 개발되는 기능에 대한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피크몬kr 사용이 잠시 이상이 있을 경우 DB를 옮기는 작업중인 관계로 공식 재오픈시까지 잠깐 기다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TripleA] Start of a manual curation project for Movie and TV-Show reviews.

![](https://cdn.steemitimages.com/DQmNUjQL6zYMjUo2P3WcjX1RzR3fLCrw26sNekCHKMcfi23/image.png)

Hi, this is @jayplayco.

We have a new wave of culture coming in after HF22 and we can see that the newsteem movement may have its controversy within the community, but we are seeing definitely some change in the behavior of users on the Steem blockchain.

Most of the Voting bots have either closed their doors or moved on to manual curation. Also, we can see those holders of bigger stakes are moving on to manual curation on their own.

TripleA as specialized niche community for movie and TV show reviews, based on the Steem blockchain, is participating in this movement and is starting a manual curation project. We believe that this will increase the rewards for quality review content producers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elp to get better content and more audience to our Blockchain.

0. TL;DR

  • Curation account : @triple.aaa
  • Manual curation will be concentrated on Movie and TV Show reviews at Triplea.reviews (but not limited)
  • Delegator will receive liquid Steem based on the curation reward from the @triple.aaa account.
**Delegate to @triple.aaa**: [1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1000%20SP) |[5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5000%20SP) |[10K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10000%20SP) |[20K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20000%20SP)

1. Explanation of our manual curation project

a. Project flow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kw6jTxUu-image.png)

The project is compared to other manual curation projects very similar but with the focus on supporting Movie and TV Show reviews on TripleA. We will curate with from the account @triple.aaa and distribute the Steempower rewards in liquid Steem to our delegators.

The advantage for delegators is, that they don’t need to curate themselves and can support review content producers. Additionally, they can receive the curation reward directly in Steem instead of Steempower.

To be able to provide the needed liquid Steem, the TripleA project is going to finance the required amount of Steem in the beginning and when there is a spike in our delegated Steempower. The account will have to power-down the Steempower on a weekly base, to be able to distribute the curation rewards to delegators.

The fee for the manual curation project is going to be on a level with a similar non-profit curation project.

b. About Delegator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tOAWuodN-image.png)

It is planned to automate the process for distributing and calculating the rewards for delegators, But at the beginning, we are going to start it manually. Therefore we will have a min. of 1,000SP and also increasing or decreasing steps in 1K SP. The reward will be summarized and distributed on a weekly base until the automation for this process has been implemented.

After the automation, we are planning to switch to a daily reward distribution and eliminate the limitation of the requested SP amount.

c. About Curators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KlW9v7A3-image.png)
The focus of our curation account is on reviews for movies and TV shows on Triplea.reviews. We are going to curate English, German and Korean reviews. The account is managed by the team of TripleA. Using the downvoting Mana of this account is in the moment not planned.

We are going to use the fees to support the curators, the TripleA project and partly to finance the SP -> Steem transition.

1) Pro & Cons of self-managed SP and delegated SP

![](https://cdn.steemitimages.com/DQmUaqvSEJuFY33ZUm5BxefAJZniXkbeGfrLH85fBvn7fTZ/image.png)

We have used as an example an account with about 572K SP and checked the weekly curation SP. A manual curation project would have about 2.45% less on a yearly ROI view compared to a self-managed SP account. Please consider that a direct comparison is not really possible, as there are too many factors that would decide on the actual curation SP, especially after the changes of HF21/22.

a) Pro
  • Don’t need to curate yourself and still can support quality review content.
  • Curation rewards can be received in liquid Steem.
b) Cons
  • Explicit ROI on a yearly base is lower than a self-managed account.

2) Advantage for TripleA Reviewers

Good reviews for Movies and TV Shows (especially without spoiling them) are essential for exploring this kind of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s on VOD services like Netflix and co. are getting more sophisticated driving the consumed content for viewers. But after running TripleA for a few weeks, we could see that users are using the platform to discover not only new blockbusters but also to find new “old” movies or get the urge to see a movie again based on a review.

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VZy9PsP2h7BNoVXMTGqRsCzGnCWrhyxGok1CKB6k9ExN/movie-list-en.png [Upcoming UI Change for Phase II of TripleA](https://steemit.com/aaa/@jayplayco/triplea-changing-the-way-how-we-consume-content-on-steem)

With the upcoming UI change of TripleA, we believe that reviewers will have an optimized place to post their reviews and also have the chance for a fair reward for their insights based on Steem and AAA rewards.

d. About SteemPower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Wkv03I77-image.png)

e. About Powerdown

![image.png](https://files.steempeak.com/file/steempeak/jayplayco/n4fuYjYr-image.png)
The required liquid Steem will be financed in the beginning from TripleA and will be retrieved later from the curation rewards.

f. About Steempower reward

![](https://cdn.steemitimages.com/DQmYANF9PdwHMdks5iTsPUHh36GQCRCerkLCzindHstFZDG/image.png)
The simple version is, that a delegator will get their reward distributed based on the collected curation reward after excluding the fee for the curation project.

g. Curation rules

![](https://cdn.steemitimages.com/DQmUS7q3kTVKWNxZ4RDbFKf45fvHFda46p43N2o6TSPV4X1/image.png)

The general curation rule is that we will curate reviews that are going to support the TripleA and Steem community.

2. Closing

The account is at the time of this article at a level of about 350K SP and increasing and we suppose to reach at least 700K SP within the next week. Movie and TV show lovers are invited to TripleA to write their first reviews, as we are looking for more English and German content on the platform.

We look forward to creating an attractive playground for Movie and TV-show lovers with the Steem community and an inspirational place to find your next movie to watch.

**Delegate Steempower to @triple.aaa**: [1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1000%20SP) |[5000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5000%20SP) |[10K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10000%20SP) |[20K SP](https://steemconnect.com/sign/delegateVestingShares?delegator=&delegatee=triple.aaa&vesting_shares=20000%20SP)

[Coinnews] 해킹피해자 거래소에서 배상으로 판결

![](https://cdn.steemitimages.com/DQmcFXvQqZURp4A6jhy5PS5X2bgjb81ehbcj2k35A4qwGno/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코인원과 해킹당한 고객사이에서 일어난 당시 약 5천만원 정도의 규모의 피해사례가 일부 코인원의 배상으로 판결이 나서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해당건은 해커가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가지고 로그인후 기존 암호화폐를 팔고 BTC를 구매후 2회에 걸쳐 출금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때 특이한 것은 로그인시 비밀번호와 구글 OTP까지 세팅이 되었다는 것과, 1일 출금한도가 2천만원인데, 그 이상의 암호화폐가 출금이 된 경우입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QM62htU4W2dgh73K98skjR1c3LQTWL1pmuZEV8FvpJfh/image.png) [소스 - 코인원](https://coinone.co.kr/support/guide)

보통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2 factor 인증이라고 해서 구글의 2FA를 많이 사용합니다. 특수한 구글 앱을 설치하면 일정 시간마다 새로운 6자리 번호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핸드폰이 바뀌면 사실상 더 이상 작동을 하지 않아야 정상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 2FA 인증 방식도 해킹이 완전 불가능한 것이 아닙니다. 결국 언제나 해킹에는 사람이라는 완벽하게 지킬 수 없는 존재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 비교적 해킹하기 용이하지 않은 구글의 OTP까지 뚫어서 해킹을 한 범인은 성공적으로 BTC로 전환후 출금을 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는 거래소도 크게 잘못을 했다고는 볼 수 없긴 합니다. 계정정보가 해킹되는 것은 거래소 전체가 해킹된것이 아니면 사용자측에서 일어나는 일이니까요. 이는 구글 OTP 해킹까지도 부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물론, 해커는 해외 VPN을 통해서 그동안 일상적이지 않은 IP로 접속을 했고, 그에 따른 조치가 전혀 없었다는 것은 그만큼 거래소의 보안이 허술하다는 것도 뜻할 수 있습니다.

일부 보안이 보완된 거래소들은 2FA (2 factor authentication)외에도 IP에 대한 추적을 통해 이상이 감지되었을때 문자로 재확인을 하거나, 이메일로 재확인을 하도록 하는 보안장치를 마련하기도 합니다. 업비트의 경우는 출금시 아예 카카오톡과 카카오 머니까지 연동이 되어서 승인을 해야 하는 관계로 해킹이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조금더 어렵게 설정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외에도 이메일 승인후에야 출금이 되는 거래소도 있기도 합니다.

판결 역시 이부분에 대해서는 거래소에 손을 들어준 상황입니다.

그러나 일일 출금 제한의 경우는 거래소가 2천만원까지만 출금이 되도록 조치를 했어야 했는데, 이를 막지 않고, 전량 출금이 되어 버려서 이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을 2천5백만원을 하도록 판결을 내렸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매번 거래소들은 정기적으로 털리는 것 같습니다. 전세계 거래량이 가장 많고 규모가 가증 큰 바이낸스도 불과 몇달전에 7000 비트코인을 해킹 당했고, 빗썸 3천만불 해킹이 6월달에, 코인레일 3천 7백만불, 일본의 코인체크는 5억 3천만불치의 해킹을 당했었습니다.

결국 거래소는 지속적으로 해킹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너무 많은 자금이 한곳에 모여있으며, 그 실질적인 자금이 암호화폐라는 형태로 실체를 가지고 각 Hot wallet과 cold wallet에 보관이 되어 있어 결국은 어떤 거래소도, 그리고 거래소를 이용하는 그 어떤 사용자도 타겟이 될 수 있습니다.

은행 온라인 거래와 비슷하게 암호화폐 거래시에는 깨끗한 PC,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사실상 거래소보다는 개인 지갑이 더 안전하다고 하기는 하나, 이것도 각각의 관리여부에 따라 결정지어지는 것 같습니다.

암호화폐판만큼 다이나믹한 은행권 파생결합증권 제품들 - feat. ELS.DLS.DLF

![](https://cdn.steemitimages.com/DQmZU3RvhFzu88qX79mVuZsfq9zv2vguiV4GVoDXHMSxeNh/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도박이 규제대상입니다. 도박이 가지고 있는 중독성과 특히 빠르고 높은 리스크를 안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희망을 파는 것이 도박의 진정한 상품입니다. 현재 정부도 블록체인과 FATF의 움직임에 따라 암호화폐 관련 전반적인 규제를 준비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지난 2017년 폭등하던 암호화폐 시장에서 도박판과 비슷하게 빠르게 수익을 보는 일부 투자자들의 모습을 보고 일반 개인 투자자까지 몰리면서 시장이 활활 타오르고 그만큼 급격하게 꺼지는 것과 더불어 정부가 가능한 규제는 당시에 꺼내들어서 반격을 했던 것으로 기억이 됩니다.

하지만 우리 실생활에 조용하게 파고 들어오는 상품들이 있고, 그에 따른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 붉어지고 있는 독일 국채의 이자값을 바탕으로 내기성 제품을 만든 DLS나 DLF들이 연달아 망가지고 일반적인 알트코인의 현재 수익률과 비슷한 -95%를 기록하면서 우리 은행과 하나은행은 이 상품들을 8천억원어치나 팔았다는 놀라운 사실들이 집계되고 있습니다.

1. DLS, DLF는?

금융계에서는 파생결합증권이라고 부르고 DLS는 Derivated Linked Securities의 약자이며 DLF는 Derivates Linked Fund의 약자입니다. 필자의 경우는 파생상품의 경우 상품을 정말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원천을 이해하지 못하면 리스크 판단이 되지 않는 주의입니다. 이는 결국 개인적인 경험과 실패에 의해서 만들어진 원칙이기도 합니다.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의 가격, 이자율, 통화, 실물자산, 신용위험 등의 변동과 연계하여 미리 정하여진 방법에 따라 이익이 결정되는 증권을 말한다. 소스

즉, 쉬운 말로 특정 자산의 수치를 바탕으로 내기를 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해를 위해서 간단하게 DLS를 하나 만들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어떻게 돈을 버는지 확인해보겠습다.

a. SBD (Steem Dollar) 기초 DLS - 상품 A

  • 제품 주기: 6개월
  • 시작시기 : 2019년 10월 1일 00시 - 만기 2020년 3월 31일 00시
  • 내용: SBD가 2020년 3월 31일까지 5000원 이하의 가격이면 원금의 연 이자 5%를 지급. 5000원 이상의 가격이 될 경우 원금 손실.

b. SBD 기초 DLS 상품 A 판매. (참고로 이렇게 판매하면 안됩니다. ^^)

  • 고객님, SBD가 2018년 3월 이후로 4천원 이상 올라간 경우는 한번도 없습니다.
  • SBD는 암호화폐계에서 Stable 코인이라고 불리는 종류에 포함이 되어서 일반 암호화폐처럼 가격이 막 널뛰기 하고 그런게 아닙니다.
  • 지난 12개월간 가격변동만 보더라도 1200원을 넘긴적이 없으며 안정적으로 1000원대에서 머물거나 그 이하입니다.
  • 스팀달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스팀의 경우는 지난 일년간 지속적으로 하락을 해서 초기 런칭했을때보다 약 70%정도 떨어져있어서 다음 6개월 동안 SBD의 가격이 떨어졌으면 떨어졌지, 그 근처로 갈 확률은 절대로 없습니다.
  • 암호화폐들이 다 뛴다 뛴다 하지만, 스테이블 코인의 스테이블은 “안정적이다”라는 영어입니다. 그만큼 가격의 변동이 없어서 안정적인 것이죠.
  • 비트코인 다음 6개월동안 10억되지 않는 한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것을 믿으신다면 비트코인에 투자하시는게 좋죠. (실제 독일이 망하지 않으면 원금손실이 없다는 어이 없는 연관성을 만들어 판매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이렇게 안정적으로 5% 이자쳐주는 상품도 없는거죠.

2. 판매에 대한 실태와 리스크에 대한 이해

사실상 파생상품이 전반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이리스크 시장에서 하이리턴을 주는것이면 그만큼 알고 들어가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위의 판매 예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연관이 있을 듯한 그럴듯한 말들을 열거해서 안전함을 어필하는 수법으로 판매를 하면 안된다는 것은 필자의 글을 읽는 분들이면 아실걸로 봅니다. 제가 만든 가상의 상품의 실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 수익률 5%에 반해 일어날 확률이 적을 수도(?)있는 6개월내 SBD의 5천원에 상대적으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 원금 전액 손실입니다. 즉, 혹이라도 일어나게 되면 수익률이 -100%에 가깝게 수렴하는 상품입니다. 파생상품중에 원금보장이 95%, 90% 이런식으로 되는 상품들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수익대비 손실도 적당하지만, 100% 손실에 대한 리스크를 절대 일어날 수 없다는 영업으로 풀어나가는 형태의 제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영업의 방식이 상대방이 이해를 하지 못한다고 하면, 전통적으로 상대방에 대한 신뢰로 이루어집니다. 즉, 은행에서 나에게 현재 영업을 하고 있는 은행원이 나보다는 잘 알고 거짓말을 하면서까지 손실이 없다고는 하지는 않겠지, 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 문제는 저런 방식의 영업으로 상품을 판매했다면, 정말로 거짓말을 하고 있거나, 자기 자신도 상품의 대한 이해 없이 판매를 하고 있다는 결론밖에 나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러기에는 좀 많이 팔리긴 했습니다… 8천억…)

3. 비트코인, FATF와 그 이후

규제를 하더라도 법적인 절차하에서 합법적으로 도박 상품을 만들어서 안전한 제품으로 포장해서 판매하는 은행권들만 보더라도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는 근본적으로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는 대목입니다. 현재도 비트코인 마진 거래등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대한 투자자의 이해 없이 손해를 보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마진 거래시 최악의 거래는 원금 손실이 아니라, 마진에서 일어났던 손실액 전부를 떠안게 되는 상품과 거래도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이미 FIAT권에서의 투자상품들도 다변화되고 있고, 제품 자체에 대한 이해없이 투자해서 손해보는 경우도 많이 일어나는 상황입니다. 일반 투자던 암호화폐 투자던, 언제나 투자는 본인의 책임과 리스크 관리하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볼 수 있고 금융 상품도 뒤에 있는 실질적인 제품이 무엇인지를 알고 투자를 해야한다는 근본적인 룰을 되새겨주는 것 같습니다.

[Coinnews] EOS 재단 워싱턴에 HQ 설립 예정

![](https://cdn.steemitimages.com/DQmVARuSXcbuAa34FAzbyothr3a93bYUrftZ4VB1N3qBHQM/image.png) [소스-EOS 페북](https://www.facebook.com/blockoneofficial/photos/rpp.240536563111750/620948211737248/?type=3&theater)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EOS가 워싱턴 DC 에 있는 Arlington에 총 1천만불을 투자해서 EOS의 소프트웨어와 실질적인 EOS 재단인 Block.one의 본사를 설립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버지니주의 지원을 60만불까지 받고 진행하는 것입니다.

버지니아에는 이미 80명의 직원이 있는 블랙스버그에 오피스가 하나 있으며, 이는 CTO과 EOS의 머리인 댄 래리머의 거주지가 블랙스버기인 점과 연관이 있습니다.

이번에 새로 지을 본사의 경우는 약 170명의 직원을 수용할 것으로 보이며, 이전 블랙스버그의 비공식 HQ의 자리를 넘겨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블록원의 경우는 이미 LA와 홍콩에 지사를 두어서 운영중에 있는 상황입니다.

전반적으로는 워싱턴에 HQ를 설립하는 배경은 한편으로는 지리적으로 댄 래리머의 위치와도 연관이 있을것으로 보이긴 합니다만, 더 중요한 것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밀고 나가기 위해서 필요한 정치적인 로비를 위한 미국 정계와의 거리를 좁히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개인인증을 통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 앱인 Voice 런칭및 운영을 위해 이미 3천만불을 도메인 사용을 위해서만 지불된 상황에서 공격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는 내면을 공개적으로 표출하기도 했습니다.

다음 3년동안 워싱턴에서 170명의 직원들을 고용해서 EOS에 대한 개발을 하고자 하는것으로 보아, 현재 재단이 들고 있는 EOS 판매나 지분 판매외에는 추가적인 수입원이 없는 BM이라 VOICE를 이용해서 cash burn rate에 맞춰 수익을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물론 Burn rate는 현재 cash가 약 4조원정도는 되는 관계로 200명의 인건비를 인당 최소 비용 연간 150K USD로 산정했을때 연간 3천만불로 5년을 운영해도 인건비는 1억 5천만불정도밖에 안되는 관계로 Voice를 밀고 나갈 마케팅 비용의 burn rate가 관건이 될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Coinnews] 리브라의 바스켓에 포함될 통화

![](https://cdn.steemitimages.com/DQmVv5FeCfFnHFEr7k8YPBgBfKKViV22jgrS7h9SWr7gvTV/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페북의 리브라 프로젝트에서 리브라를 발행할때 받을 담보성 통화들의 합을 바스켓이라고 부릅니다. 이 통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공개가 되었으나, 각 통화에 대한 보유 타겟 % 까지 공개가 되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 USD : 50%
  • EUR : 18%
  • JPY : 14%
  • GBP : 11%
  • SGD : 7%
![](https://cdn.steemitimages.com/DQmPXfNzvct9Q5R54vECAN3Tf5Qd1cEJP47SxZVAcFQdoxi/image.png)

보시는 것과 같이 세계 기축통화로 자리잡은 USD에 대한 비율이 가장 높으며, EUR의 비중은 생각보다 작은 상태입니다. Risk관리면에서 중국의 통화인 위안화는 제외가 된것을 주목해야 하며, 바스켓 자체는 운영이 될 경우 추후 비율에 대한 변경이나 통화에 대한 추가및 교체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긴 합니다.

다만 현재까지는 담보성 통화가 리브라로 교환이 될 경우, 그 이후 이 담보를 다시 리브라를 받고 내주는 절차는 확인되지 않고 있어서, 한번 입금된 통화는 지속적으로 바스켓 포트폴리오에 남으면서 영향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 바스켓 통화의 사용은 비교적 안전하게 ROI를 낼 수 있는 상품에 투자될 수도 있고, ROI의 정도를 높이는 투자상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긴 합니다.

재미있는 컨셉은 여전히 담보라는 개념을 쓰기에는 환원이 되지 않는다는 가정이 있어서 사실상 구매자 입장에서는 리브라를 구매하고, 리브라 재단은 원금은 가능한 건들지 않고, 원금을 이용해서 운영을 해서 LIT (즉, 노드 운영자)에게 STO와 같은 형식의 코인을 지급함으로써 ROI르 보장하겠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분위기로 보면 조금씩 문화세력권간 다툼으로 번지고 있는 듯한 양상도 보입니다만, 중국이 자체적인 CBDC (중앙은행 디지탈 통화)를 밀고 나가는 관계로, Libra 프로젝트와는 달리 별 탈 없이 적어도 중국 내에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고 자리를 잡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혹여라도 이런 위안화 패깅이된 중국의 CBDC가 리브라가 태생도 하기 전에 생태계를 생성해서 중국 밖으로 활동이 가능해진다고 하면 서양권에서는 이에 대한 압박을 느끼고 서둘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다만 이것이 리브라를 지원하는 계기가 될지, 각 정부측에서 CBDC를 발행하게 될지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Coinnews] 리브라에 대한 해외의 시선

![](https://cdn.steemitimages.com/DQmW32J2xZPeWcZCTASja3MWMe5AsZjEh95UGKZBMqCbBPp/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주기적으로 리브라의 움직임에 대해 알아보면서 주로 제가 볼 수 있는 영문권과 유럽 독일어권 정보를 종합해서 상황에 대한 정리를 하는 편입니다.

이번에는 독일에서 비교적 저명한 신문사인 Zeit지의 온라인 출판사에서 Libra에 대한 기사를 올려서 들여다봤습니다만, 사실상 기사 내용보다도 댓글에 더 관심을 가지긴 했습니다. 현재 독일의 일반인들이 바라보는 암호화폐 움직임에 대한 견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반적인 기사의 내용은 리브 재단측과 유럽의 중앙은행의 미팅이 있었으며, 정확한 미팅 내용은 공개된 것은 없으나 중앙은행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리브라가 담보로 가지고 있을 패깅된 자원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였다고 합니다. 결국 패깅되는 자원이 있는 관계로 리브라가 실질적인 가치를 가지게 되는것인데, 이는 자원은 특정 화폐가 (유로나 USD) 아닌 여러종류의 화폐로 패깅된 바스켓을 형성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즉, 리브라의 패깅되는 가치는 리브라를 구매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입금이 되며, 그에 상응하는 가치의 리브라가 주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쯤 되면, 패깅된 자원의 리브라를 리브라 재단이 다 구입하는 경로가 없다는 것이 특이합니다. 즉, 자원 패깅은 지속되는 것이나, 그 자원이 리브라 재단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다시 전환되는 절차가 밝혀지지는 않았다는 것입니다.

이 논리를 바탕으로 한다면, 리브라 재단은 mint되는 리브라 코인마다 실질적 자원이 받혀주는 것은 맞으나, 한번 유통된 리브라는 자체적인 실물 경제를 통해서 계속 주고 받아지는 것이지, 리브라가 이를 위해 패깅된 가치를 풀어서 다시 주는 형태는 아닙니다.

기사에서 앞으로의 방향성을 봤을때 세가지 명제를 언급했습니다.

  • E-Money없이는 안된다.
    즉, 지금도 삼성페이, 애플페이와 같이 디지털 화폐의 사용이 잦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현금을 쓰는 경우가 점점 적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결국 중앙은행들이 직접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돈이 점점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움직임을 감지했다면, 이러 기류에 반대를 하지 말고 차라리 중앙은행에서 보증하는 전자 Cash를 생성하는 것이 경쟁력을 만들것이라고 했습니다.

  • 중앙은행은 기업들이 필요합니다.
    어차피 가장 많은 돈흐름을 담당하는 것은 기업들입니다. 그렇기에 중앙은행들도 이러한 “고객”들이 여전히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일반 은행들이 자금을 관리하는 곳들은 좀더 고객편의를 생각하고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제는 중앙은행들도 독점적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리브라를 일방적으로 금지하기 보다는 같이 일하는 것이 이득일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배경에는 매우 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경쟁이 필요하다
    중앙은행들이 이제 직접 디지털 화폐를 만드는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경쟁이 없으면 도퇴되거나, 리브라와 같은 독점 시스템들이 탄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 그 누구도 페이스북이 전세계를 지배하는 화폐를 컨트롤 하는 것을 진심으로 바라지는 않을 겁니다.

글에는 약 200개가 넘는 댓글들이 달렸습니다만, 역시나 두가지 진영으로 나뉘네요. 한쪽은 암호화폐 자체를 옹호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는 쪽과 그 반대입니다. 실제 지금 금융시장의 경우도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워낙 작기 때문에 “뱅크런”과 같은 사태가 일어날때 은행들이 현금을 보유하지 않아서 파산되는 것과 같은 비유 그리고 아직도 비트코인은 그냥 디지털 숫자일 뿐이라서 아무런 가치가 있지도 않은데 무엇을 보고 투기상품에 투자하는지 모르겠다는 등의 반응입니다.

전반적으로는 리브라의 경우는 페이스북이 만들었다는 사실때문에 가장 크게 경계하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기존 사용자의 data 보호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던 사례들과 이미 규모 경쟁에서 타사에 비해 너무 커져버린 경향때문에 이 집단에 화폐발행까 넘겨줬다가는 큰일이 날것으로 보이는 것과 같은 인식이 퍼져있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는 계속 진행되고는 있습니다. 각 중앙은행들의 가상화폐가 (꼭 암호화폐가 아니여도 가능해서) 먼저 나오겔 될지 (중국과 같이) 아니면 리브라가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로비를 통해 먼저 풀어 나갈지, 중앙은행들의 규제하에 리브라가 공생을 하게 될지 궁금해지긴 합니다.

트리플A 봇을 닫으면서

![](https://cdn.steemitimages.com/DQmQMms76kUsjsmX6gTUmT6aVtBMiyStKcD2TnMRrUfBUuw/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입니다.

공식적으로 잠시의 운영을 뒤로 하고 트리플A의 보팅봇은 현재 상황에 맞게 #newsteem에 따른 조치로 임대회수 요청및 이후 closing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보팅봇 관련해서는 사실상 생각도 할말도 많긴 하지만, 트리플A의 전략적 방향으로만 봤을때는 있으면 코인 생태계적으로 일부 도움이 되긴 하나, 전반적인 프로젝트 전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AAA 토큰은 현재 기술적 특성상 스팀을 기축으로 하고 있으며, 그러한 봇은 스팀의 POB와 리워드풀에서의 보상체계에 따라 토큰을 지불하고 업보팅을 받을 수 있는 생태계가 정확히 따지면 스팀의 파워에 의존했던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생각을 해봐야 하는 것은 어떠한 이유에서든 임대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보상이 스팀이 아닌 AAA 토큰이였던 관계로, 그만큼 프로젝트를 믿고 임대를 해주신 여러분들께는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트리플A와 JJM은 언제나 그랬던 것 처럼 프로젝트와 제품과 커뮤니티를 우선시 하고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것에 집중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의 마법사 @segyepark님이 마법봉을 지속적으로 휘둘러서 더욱더 탄탄한 시스템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코딩되는 양이 많아지고 있으며, 커뮤니티와 팀은 기능과 성능 향상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노력을 하면서 새로운 paradigm을 만들기 위해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전업이 아닌 사이드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는 트리플A와 JJM이지만서도 완성도면에서만은 전업에서 제공하는 완성도를 위해 팀원 전부는 하루하루 고민하면서 벌써 6개월을 넘게 시간과 리소스를 투자를 했으며, 속도 only 보다는 scaling이 가능한 제품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에 동의했기에 결과물은 생각보다 늦게 나왔을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트리플A 제품의 첫 단계를 공개하는 것을 앞두고 실질적인 유저를 위한 플랫폼이 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는 기점이 되어서 오히려 #newsteem을 전환점으로 불필요함을 제거하고 실질적인 제품및 유저에 집중하는 계기로 기억되기를 기원해봅니다.

트리플A 으쌰으쌰~~!

[Coinnews] EOS BP의 현재 상황

![](https://cdn.steemitimages.com/DQmREwUsFPRmK4hWFD3Zvz7pfYAQXsn5VRiWN6zoRtfU22P/image.png)

안녕하세요, @jayplayco 입니다.

어느 프로젝트나 각각 나름의 고민들이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금일은 스팀잇에 포스팅을 약 15일전에 하고 코인데스크에서 상당히 길게 기사화된 내용을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EOS의 증인, 즉 노드를 운영하는 주체인 BP(Block Producer)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초기부터 메인넷 런칭 전부터 참여하였던 eostribe라는 BP가 수익성 때문에 문을 닫으면서 스팀잇 긴 글을 남기면서입니다.

EOS의 경우는 스팀을 같이 만들었던 댄 래리머의 손끝에서 만들어진 그의 3번째 블록체인 프로젝트이기도 합니다. 하나를 만들어놓고 다음 프로젝트로 옮기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는 그의 행보이기는 합니다만, 그래 블록체인계에서 큰 자취를 남겼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스팀에서는 프리세일 없이 진행했던 터라 생각보다 돈이 안되었으나, EOS의 프리세일로 4조원이 넘는 자금을 확보하고, 또한 이를 초기부터 BTC와 비교적 큰 %를 현금화하여 안정적인 ROI를 제공할 수 있는 국채같은 곳에 투자를 해서 Block.one의 경우는 앞으로 몇년간은 문제없이 개발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이런 EOS의 경우도 사실상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바로 자금을 많이 모았지만, 결국 자금의 출처가 된 고래들의 행동 패턴과 그에 대한 영향으로 그 주변에 있던 기존의 커뮤니티가 와해되고 있는 느낌을 받기 때문입니다.

많은 자금, EOS의 경우에는 많은 EOS를 들고 있는 사람을 고래라고 부르는데, 프리세일 당시 많은 자금이 투입되었던 것은 중국 자본입니다. 즉, 고래들이 대부분 중국에 포진해 있다는 것입니다. EOS의 경우도 댄 래리머의 머리에서 설계가 되었는지 스팀과 같은 DPOS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똑같이 30개의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댄 래리머가 스팀을 거치고 배우면서 EOS에서 많은 것을 수정했는데요, 이 부분은 확실히 놓친것 같습니다. 30개의 투표권은 사실상 잘못되었다고 봐도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발생한 현상이 EOS BP들의 각종 부정행위 입니다. DPOS의 경우는 투표를 받아서 상위 랭킹이 되며, 이에 따라 상위 20위권 정도까지만 메인 BP가 되며 그 이후 약 100개의 BP는 예비 BP로 블록 보상을 아예 못 받거나 일부만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EOS BP들이 블록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지원되는 EOS로 생태계에 도움이 되는 시스템, 툴, 댑 개발도 하라는 취지가 있습니다만, 사실상 그런 의지를 가지고 활동하는 대부분의 BP들은 뒤로 밀리고, 미니멈 사양의 노드운영으로 고래 투표를 받 상호 보팅을 통해 상위권을 유지하는 행위가 계속되고, 일부 BP를 단순히 최대 이윤추구 도구로 이용하는 BP들이 자기의 새끼 BP까지 올리면서 노드의 퀄러티는 떨어지고 블록을 놓치는 경우등도 생기는 현상이 있어 EOS 생태계에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스팀을 아시는 분들은 많이 겹치는 부분들이 보이기도 할 겁니다. 또한 EOS 재단인 Block.one의 경우도 스팀과 비슷하게 최대 지분을 들고 있는 관계로 사실상 30개 투표권으로 원하는 BP를 세울 수도 있고, 제거도 가능할텐데, 아직까지는 스팀과는 다르게 그 투표권을 행하지는 않고 있다고 합니다.

결국 단기적인 이윤 추구로 인해 거위의 배를 가르는 행위를 하는 고래들이 될지, EOS 재단인 Block.one의 개입까지 필요하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상 지금은 VOICE 개발 때문에 정신이 없어서 이런 사태에 대한 priority를 전혀 안두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은 듭니다.

결론적으로는 정말로 BP의 퀄러티가 문제가 된다면 EOS 재단도 스팀과 같이 BP 투표에 참여를 해서 원하는 BP로 교체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만, 탈중이 아닌 중앙화에 대한 우려가 같이 나오면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긴 합니다.

Your browser is out-of-date!

Update your browser to view this website correctly. Update my browser now

×